목차
1. 자기장
2.지자기
2.지자기
본문내용
의 표시법
지자기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서로 독립인 3요소가 필요합니다.
< 지자기측량기(MAG-01H) > < 지자기관측소 >
< 자기점 > < 지자기측량 >
3)분포
우리나라 편각은 38 위도선 부근에서 7 30 W이며 남으로 내려가면서 작아져 남해안 서측에서 5 30 W이고 제주도에서6 00 W를 나타내며 복각은 38 위도선 부근에서53 20 이고 남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남해안 서측에서 49 21 로 나타내며 제주도에서 48 00 을 나타내며 수평분력은 38 위도선 부근에서 30200nT이고 남으로 갈수록 증가하여 남해안 서측에서 3180nT 제주도에서 32500nT를 나타내고 있다.
①GDS(Geo-magnetic Depth Sounding: 심부 지자기 수직탐사)를 이용한 지자기 분포조사
한반도에 위치한 5곳의 정밀 지자기 관측소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지자기 자료는 0.01nT의 정밀도를 가지고, 1초 혹은 5초 간격을 측정하였으며,
이 해석을 위해 16일 분량의 자료를 이용하였다고 한다. 또한 지자기 수직탐사는 그 특성 상 주변에 해양이 존재할 경우 그에 의한 영향이 매우 크지만, 위의 분포 자료를 처리한 결과, 인근 해안에 의한 표과 보다는 심부의 전기적 구조에 의한 효과를 많이 반영하였다고 한다.자료 해석 결과 전기 전도체의 방향을 표시하는 유도 표시자(induction arrow)는 한반도의 대표적 지구조를 가리켰으며, 이를 통해 한반도 심부 구조를 지전기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림1은 한반도 주변의 주요 지질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본 연구에 사용된 5지점의 고정 지자기 관측소의 위치를 함께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와 같이 한반도의 대표적 지구조는 동북-남서 방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남한을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는 옥천대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표 1은 각각의 고정관측소에서 획득한 자료의 획득 지속시간과 샘플링 간격을 보여준다. 지하에 이상체가 존재한다면, 지자기장의 수직 및 수평성분을 다음의 관계를 갖게 된다.
H_z ~=T_zx H_x + T_zy H_y
여기서 각각의 T 는 복소 성분으로서 tipper 라고 불리우며, 수평 성분과 수직 성분의 성질을 결정하는 양이 된다. 각 H 는 자기장 성분을 의미한다. GDS 연구에서는 이를 전달함수로 부른다.
그림 2는 용인과 이천 관측소에서 처리된 주파수에 따른 유도 지시자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유도 지시자는 GDS자료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도도가 높은 방향을 가리키도록 되어 있으며, 화살표의 길이는 전도도 이상체의 세기를 의미한다.
GDS 연구에서는 해양의 전도도가 워낙 커서 지하의 이상체 해석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지자기 지전기(MT: Magneto-Telluric) 해석 기술을 이용하여 한반도 전역에 대한 해양효과 모텔링을 수행하였다. 그림3 은 MT 방식에 의해 추정된 해양효과에 의한 유도 지시자의 모텔링 결과이다. 이 자료에서는 그림 2의 관측 결과에 대해 이와 같은 해양효과를 반영하여 결과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림 4는 가장 대표적인 주기인 10분과 60 분 주기 자료에 대한 한반도 주변에서의 유도 지시자 관측 양상을 보여준다. 관측된 유도 지시자 관측 양상은 크게 4가지로 분류 될 수 있을 것이다.
①먼저 가장 위에 위치하고 있는 용인과 이천의 관측결과는 중국 탄루 대단층의 연장으로서 생각되는 임진강 대의 존재를 암시하고 잇고,
②대전의 관측결과는 옥천대의 광범위한 퇴적층을 지시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③경주에서의 결과는 해양효과를 고려할 때, 대한해협 부근의 이상대를 암시하고 있다.
④마지막으로 제주도의 관측 결과는 일본 규슈에서 동중국해에 이르는 저비저항대를 가리치고 있는 한반도 부근의 GDS이다.
②제주도의 지자기관측 데이터
참고 문헌
www.naver.com
의 백과사전
고지자기학 도성재
한국풍수지리연구소 자료실 (
http://www.fengshuikorea.co.kr/index_feng.html
)
풍수지리학회지
한국자기학회 자료실 (
http://www.kofst.or.kr
)
한국자기학회 학회지
한국 과학기술 정보연구원 (
http://www.kisti.re.kr/kisti/index.jsp
)
===>많은 자료가 있습니다. 저는 데이터가 없어져서 올리지는 못하지만
시험전에 읽어본 많은 논문에서는 지자기 분포에 대해 정확한게 많았습 니다.
기상연구 newsletter 제 18호
지자기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서로 독립인 3요소가 필요합니다.
< 지자기측량기(MAG-01H) > < 지자기관측소 >
< 자기점 > < 지자기측량 >
3)분포
우리나라 편각은 38 위도선 부근에서 7 30 W이며 남으로 내려가면서 작아져 남해안 서측에서 5 30 W이고 제주도에서6 00 W를 나타내며 복각은 38 위도선 부근에서53 20 이고 남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남해안 서측에서 49 21 로 나타내며 제주도에서 48 00 을 나타내며 수평분력은 38 위도선 부근에서 30200nT이고 남으로 갈수록 증가하여 남해안 서측에서 3180nT 제주도에서 32500nT를 나타내고 있다.
①GDS(Geo-magnetic Depth Sounding: 심부 지자기 수직탐사)를 이용한 지자기 분포조사
한반도에 위치한 5곳의 정밀 지자기 관측소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지자기 자료는 0.01nT의 정밀도를 가지고, 1초 혹은 5초 간격을 측정하였으며,
이 해석을 위해 16일 분량의 자료를 이용하였다고 한다. 또한 지자기 수직탐사는 그 특성 상 주변에 해양이 존재할 경우 그에 의한 영향이 매우 크지만, 위의 분포 자료를 처리한 결과, 인근 해안에 의한 표과 보다는 심부의 전기적 구조에 의한 효과를 많이 반영하였다고 한다.자료 해석 결과 전기 전도체의 방향을 표시하는 유도 표시자(induction arrow)는 한반도의 대표적 지구조를 가리켰으며, 이를 통해 한반도 심부 구조를 지전기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림1은 한반도 주변의 주요 지질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본 연구에 사용된 5지점의 고정 지자기 관측소의 위치를 함께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와 같이 한반도의 대표적 지구조는 동북-남서 방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남한을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는 옥천대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표 1은 각각의 고정관측소에서 획득한 자료의 획득 지속시간과 샘플링 간격을 보여준다. 지하에 이상체가 존재한다면, 지자기장의 수직 및 수평성분을 다음의 관계를 갖게 된다.
H_z ~=T_zx H_x + T_zy H_y
여기서 각각의 T 는 복소 성분으로서 tipper 라고 불리우며, 수평 성분과 수직 성분의 성질을 결정하는 양이 된다. 각 H 는 자기장 성분을 의미한다. GDS 연구에서는 이를 전달함수로 부른다.
그림 2는 용인과 이천 관측소에서 처리된 주파수에 따른 유도 지시자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유도 지시자는 GDS자료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도도가 높은 방향을 가리키도록 되어 있으며, 화살표의 길이는 전도도 이상체의 세기를 의미한다.
GDS 연구에서는 해양의 전도도가 워낙 커서 지하의 이상체 해석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지자기 지전기(MT: Magneto-Telluric) 해석 기술을 이용하여 한반도 전역에 대한 해양효과 모텔링을 수행하였다. 그림3 은 MT 방식에 의해 추정된 해양효과에 의한 유도 지시자의 모텔링 결과이다. 이 자료에서는 그림 2의 관측 결과에 대해 이와 같은 해양효과를 반영하여 결과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림 4는 가장 대표적인 주기인 10분과 60 분 주기 자료에 대한 한반도 주변에서의 유도 지시자 관측 양상을 보여준다. 관측된 유도 지시자 관측 양상은 크게 4가지로 분류 될 수 있을 것이다.
①먼저 가장 위에 위치하고 있는 용인과 이천의 관측결과는 중국 탄루 대단층의 연장으로서 생각되는 임진강 대의 존재를 암시하고 잇고,
②대전의 관측결과는 옥천대의 광범위한 퇴적층을 지시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③경주에서의 결과는 해양효과를 고려할 때, 대한해협 부근의 이상대를 암시하고 있다.
④마지막으로 제주도의 관측 결과는 일본 규슈에서 동중국해에 이르는 저비저항대를 가리치고 있는 한반도 부근의 GDS이다.
②제주도의 지자기관측 데이터
참고 문헌
www.naver.com
의 백과사전
고지자기학 도성재
한국풍수지리연구소 자료실 (
http://www.fengshuikorea.co.kr/index_feng.html
)
풍수지리학회지
한국자기학회 자료실 (
http://www.kofst.or.kr
)
한국자기학회 학회지
한국 과학기술 정보연구원 (
http://www.kisti.re.kr/kisti/index.jsp
)
===>많은 자료가 있습니다. 저는 데이터가 없어져서 올리지는 못하지만
시험전에 읽어본 많은 논문에서는 지자기 분포에 대해 정확한게 많았습 니다.
기상연구 newsletter 제 18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