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근대 사회와 아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중국 근대 사회와 아편

2. 아편이 야기한 중국 사회의 제문제

본문내용

농민이나 군대를 이탈한 사병들로 이루어졌다. 지역을 불문하고 토비에게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은 모두 높은 이윤을 보장받는 아편과 연계되어 있었다는 사실이다. 토비가 출몰하는 지역은 아편이 범람하는 지역으로 아편은 토비의 중요한 재원이었고 토비 입장에서 볼 때 아편은 곧 무기이며 금전이었다. 이들 토비 가운데는 한 지역의 아편과 재배농민의 보호자가 되어 아편을 공급받기도 하고, 혹은 농민들에게 강제로 아편을 재배시키기도 하였으며, 혹은 아편의 판매와 운반에 적극 참여하거나 보호하기도 하였다.
한편 중국 전역에서는 도적이 창궐했고 무질서한 상태가 광범위하게 퍼져나갔다. 산적들도 아편에 대부분 중독되어 있었다. 베이징연합의과대학의 미국인 안과의사 하비 J 하워드 박사는 1926년에 출판한 《중국 도적들과의 10주》에서 북만주에서 활동하는 도적들의 일생을 기록했다.
그들의 유일한 위안은 아편이었고, 그것을 얻기 위해서라면 무슨 일이든 서슴지 않았다. 서양의 군인들의 위스키와 맥주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과 같이 그들은 아편의 가격과 공급에 대한 정보를 교환했다. 그들에게 아편은 귀중품보다 소중한 것이었으며 그것을 탐닉하는 것만이 그들의 유일한 낙이었다. 또한 충분한 생아편을 갖고 있을 때, 완전한 행복을 느끼는 듯했다. 그러나 아편이 없으면 악마였으며, 아편에 대한 욕망을 억누르지 못한 사람들은 다시 도둑질을 하였다.
또한 아편의 확산은 중국 농촌사회에도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는데 그 가운데 식량생산의 감소현상이 가장 심각한 문제였다. 중국 내에서 아편 재배가 급격히 확산되자 식량 생산에만 전용되었던 토지가 아편 재배지로 바뀌여 그 결과 심각한 식량부족 사태가 유발되어 어떤 지역에서는 굶주리는 사람들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농촌을 붕괴시키고 중국을 병들게 하는 아편 산업에 대해 분노하고 있었다.
1870년대에 들어와서 일부 관리들은 청정부의 재정수입을 위해 각성에 아편을 재배케 하여 중국산 아편으로 외국산 아편을 제압하자는 주장까지 하였다. 이러한 관리들의 제창과 투기성 작물인 아편이 농민에게 주는 높은 이익 때문에 1870년대부터 80년대에 이르기까지 전국 18개 성에 거의 모두 아편이 재배되었다. 아편 재배가 급격히 확산된 데는 밀이나 쌀보다 아편이 더욱 큰 수익을 안겨주었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아편은 생명력이 강하고 병충해에 강해 실패할 염려가 거의 없었다. 중국산 아편의 생산은 놀라운 속도로 증가해 1870년대에는 이미 수입아편을 초과하였으며 80년대에는 수입아편의 2~4배를 생산하였다는 주장이 나올 정도였다. 청말 민국초에 효과적인 금연정책이 시행되어 아편생산이 일시적이나마 감소되기도 하였으나 군벌통치기를 거치면서 혼란된 정국을 틈타 아편생산이 다시 급증하였다. 1930년 중국의 아편생산량은 12,000톤으로 중국을 제외한 전세계의 1년 아편생산량 1,770톤에 비해 7배나 많은 양이었다. 1870년 감찰관 유 페츄안은 아편이 식량 생산을 저해함으로써 국가의 가장 큰 위험이 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무분별한 아편의 재배를 경고했다. 중국 내륙을 두루 여행하면서 선교를 펼친 영국인 성직자 J. 허드슨 테일러도 다음과 같은 말로 아편이 안겨주는 문제점들에 대해 지적했다.
1854년 내가 처음 중국에 도착했을 때 아편 중독은 비교적 드문 편이었다. 그러나 지난 20년간 아편은 넓은 지역에 빠르게 퍼졌으며, 지난 10년 동안에는 이보다도 빠르게 퍼져나갔다. 그리고 이제는 무서울 정도로 널리 퍼져 일반적인 일이 되고 말았다.
1890년까지 중국에서 아편의 재배는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졌지만, 그해 황제가 모든 금지 칙령들을 철회하면서 아편이 합법화되었다. 황제의 결정은 수입품을 막기 위한 필사적인 수단이었으나 이 조치는 결국 아편 확산을 광범위하게 촉진시켰을 뿐만 아니라 근절시킬 수 없게 만들었다. 아편생산의 확대는 곡물을 심던 많은 비옥한 토지를 아편재배지로 대체시켰던 것이므로 식량부족에 따른 식량가격의 상승을 불러왔다. 식량부족의 정도는 재해가 들었을 경우 식량부족현상이 매우 심각했던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심지어 돈을 쌓아두고도 기아로 굶어죽는 경우까지도 발생하였을 정도였다. 1921년에 중국의 아편생산량은 15,000톤이었고 당시 아편을 많이 생산한 지역은 운남, 귀주, 사천, 감숙, 섬서, 광서, 호남, 강서, 복건, 열하 등이었다. 그중 운남, 귀주, 광서성의 경우 당국의 강제에 의해 모든 비옥한 논밭에 아편이 재배되었다. 그 결과 곡물생산이 감소하게 되어 식량작물 가격이 폭등하였고 기근으로 굶어죽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농촌에서의 아편생산은 농민들에게 막대한 이윤을 가져다주기 보다는 농촌지역까지 아편을 물들게 하였고 경제적으로 더욱 궁핍하게 만들었다. 아편전쟁 이전까지 농촌에서의 아편재배는 매우 적었으며 농촌에서의 아편흡연 인구 역시 극히 소수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아편전쟁 이후 아편의 국내재배가 확산됨에 따라 농촌에서의 아편재배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아편재배의 확산은 농촌에서의 아편흡연 인구의 증가로 이어졌으며 1920, 30년대 아편생산지역 농민의 경우 아편흡연이 더욱 보편화되었다. 농촌에서의 아편흡연자의 확산은 체력을 쇠퇴시켜 노동력을 감퇴시킴과 함께 인구의 재생산 역시 감소시킨다. 또한 아편흡연 농민의 경우 비료 등에 드는 투하자본을 아편구입을 위해 소비함으로써 농업 수확량 역시 저하되어 농가경제는 더욱 궁핍해질 수밖에 없었다. 아편재배에 따른 이윤이 곡물생산과 비교하여 수배에 달하였다고 해서 그 경제적 이익으로 생산농민이 안정되었던 것은 아니었다. 부패한 정부와 각급 관리들의 가렴주구, 지주들의 고리대로 인해 실제 이득은 높지 않았으며 자연재해가 겹쳐 흉작이 들 경우에는 오히려 파산하는 사례가 많았다. 심지어 각 지역 군벌들은 아편을 재배하지 않은 농민에 대해 자지관(自地款), 공사세(空士稅)를 부과하여 아편을 재배한 경우와 같은 세금을 거두기도 하였다.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아편은 개인과 가정은 물론 사회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정 직업이나 연령에 구애없이 널리 확산되어 그 사회적 심각성을 더하였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10.13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57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