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
Ⅱ. 本
Ⅲ. 結
Ⅱ. 本
Ⅲ. 結
본문내용
볼 수 있다. 저자의 의도 역시 우리도 맹목적으로 특정한 철학적 사상에 동화될 필요는 없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스스로 생각하고 찾아보라는데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유명한 철학자의 사상이 후세에 영향을 많이 끼친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는 우리 나름대로의 철학을 누구나 가지고 있지 않은가? 그들은 각자 그들 환경에 적합한 철학을 탐구하였던 것이지, 우리에게 획일적인 철학적 사색을 강요하지 않으며, 또한 그렇게 해서는 안되는 것이기에 철학자들의 업적은 다만 우리들에게 하나의 지침이 될 수 있는 폭넓고 우수한 철학 경험의 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철학에 대한 기준이나 각자의 올바른 삶에 대한 철학적 고찰은 정답이 없는 것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인간다운 삶에 대한 고찰은 우리 스스로 해야 하며 그 답도 스스로 찾아야 한다고 본다. 무엇이 의미가 있고 무엇이 참된 것인지는 스스로 고찰하는 가운데 우리 스스로가 더욱 잘 알 수 있고, 여기서 개방적인 태도에 의해 철학적 비판을 수용하는 과정을 거친다면 보다 성숙하고 행복한 자기 인생을 영위할 수 있는 "자아실현"의 계기를 마련할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이는 철학이 "인간의 참다운 삶"의 고찰에 대한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능동적 과정이며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닌 자아실현의 도구로서 소중하다고 생각되는 이유일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순수 학문으로서 현대 철학이 사회적인 무관심(호서대 철학과 폐지에 관련된 소식을 접하며)과 냉대를 받고 있음을 직시할 때에 우리의 진정한 삶에 대한 조건은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추천자료
헤겔철학연구
인도철학과 불교
인도철학
칸트철학- 선천적 지식은 어떻게 가능한가.
자연관에 대한 동양철학적 이해와 서양철학적 이해 비교
철학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이유
중국철학에 관한 모든것
조선의 역사와 철학의 모험「철학가의 진실성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
[정의][정의관][절차적 정의][형식적 정의][정의에 대한 다양한 견해][철학자의 다양한 정의...
[공자][철학][정치사상][학문관][군자교육론][교육실천][제자백가]공자의 일생, 공자의 철학,...
[종교]][종교의 세속화][종교와 철학][종교와 종교적 경험][종교의 공존화 방안]종교의 정의,...
방통대 중간과제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A형 철학의 개념과 주요문제
2017/유교과/동서양고전의이해/철학,삶을묻다/철학삶을묻다/방송통신대학교/방통대/독후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