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NIE의 한계와 문제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 NIE의 한계와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실용교육 수단으로서의 NIE

3. 글짓기 교재로써의 신문

4. 독서교육 수단으로써 NIE

5. 민주주의 교육 수단으로써의 NIE

6. 맺는 말

본문내용

지역의 고등학생, 혹은 대학생들에게 신문사 인턴 기회를 수시로 제공한다. 신문 기자가 되기를 원하는 학생들에게 NIE의 일환으로 신문사에서 기자일을 배우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신문들은 미래의 기자들에게 언론자유의 소중함을 알리고 신문이 민주주의를 위해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미국에서는 우리 나라 정보공개법의 모델이 되었던 정보자유법이 있다. 이 법은 국민이 정부를 상대로 알고자 하는 정보를 청구하면 몇 가지 예외적인 사항을 제외하고 정부가 이를 국민에게 공개해야 한다는 법이다. 미국 국민들은 정보자유법에 의해 한 해에 60만 건의 정보를 정부로부터 공개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이렇게 알 권리 차원에서 국민 개개인이 정부에게 정보를 요구하는 행동을 당당하고 자연스럽게 여기는 것도 다 신문의 역할을 교육한 NIE 덕분이다.
최근 세계 NIE 대회에서는 학생기자들에게 기자 윤리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학생기자축제를 열어준 러시아의 한 신문사에게 특별상을 준 사례가 있다. NIE는 미국뿐만이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학생들에게 신문을 가르치고 그 과정에서 민주주의의 수호자인 기자가 되려는 꿈을 심어 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6. 맺는 말
열린교육의 수단으로써의 NIE는 실용주의 교육철학을 좀더 숙지하고 참고할 필요가 있다. 글쓰기 수단으로써의 NIE는 신문이 바른 글을 사용해야 한다는 전제가 있어야 가능하다. 그리고 장기적인 투자의 일환으로, 그리고 신문들이 국민독서운동의 차원에서 NIE에 좀더 재정적인 투자를 해야 한다.
그러나 신문이 무슨 일을 하는지, 언론의 자유가 왜 중요한지, 신문이 없으면 민주주의는 왜 불가능한지와 같은 NIE의 또 다른 핵심 취지를 교육할 전문교사가 국내에는 없다. 그런 과목이 초중고등학교에 있지도 않으며, 교육부의 몇 차례 교육과정 개편에서도 신설될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 각 대학의 신방과에서 신문제작 NIE 과목을 담당할 교사들을 배출할 수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학들이 실무교육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신방과 교수들조차 언론의 자유가 무엇이며, 신문이 어떻게 해야 민주주의에 기여하는 것인지에 대해 기초적인 공감대를 갖지 못하고 있다.
국내 NIE는 일부 그 취지를 잘 살리고 있는 면도 있지만, 현실적으로 NIE의 취지를 전혀 살릴 수 없는 안티 NIE적인 신문환경이 있다는 사실을 이제는 한 번쯤 짚고 넘어갈 때가 되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0.20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64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