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 행동주의 인지주의 사회심리학적 비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분석 행동주의 인지주의 사회심리학적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행태주의학파

(3) 정신분석학파

(4) 인지학파

(5) 동양사상의 사회심리학적 함의

본문내용

인지적 관계가 개입되지 않는다. 여기도 선택은 작용하지만 의식이나 반성적 지능이 작용하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그러나 하나의 인간이 되면 그 행위에는 반드시 계산이 따르기 마련인데 인간이 자기 행위의 결과를 고려하게 된다는 것은 그에게 마음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음\'이란 곧 우리들의 반성적 사고와 추상적 사고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5) 동양사상의 사회심리학적 함의
동양 전통사상에서는 시종 인간의 본성을 도덕론적 차원에서 다루고 있다. 동양의 전통사상은 불교와 노장사상, 그리고 유교의 세 갈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유교사상
㉠ 공자
공자의 핵심사상은 인이다. 인이라는 중심개념을 통해서 인격적 인간관계를 중시했던 공자의 가르침은 한마디로 군자학이라 할 수 있다. 논어에서의 덕은 인간의 천부적 도덕성인데 이러한 도덕적 가능성을 실현하는 것이 인이라는 것이다. 결국 성인은 천부적 도덕가치를 완성한 사람으로서 군자가 지향하는 이성적 인간상이라 할 수 있다.
㉡ 맹자
맹자는 동물과는 다른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본성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인의예지 사단이라는 것이다. 그는 의를 강조했는데 의는 인을 그대로 실천하는 것이다.
맹자는 인간을 능동적·주체적 존재로 파악하였으며 교육목표는 인간 각자가 갖추고 있는 인의의 도를 깨달아 스스로 자각하도록 하는데 있다.
㉢ 순자
의를 강조한 맹자와는 달이 순자는 예를 강조하고 있는데 순자는 인간을 하나의 자율적 유기체로 보면서 심이야말로 사람의 오관과 모든 분별행위의 주재자가 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았다.
㉣ 주자
그는 사람이 사사로운 인욕을 다스리고 천리에 좇아 사는 길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이와 기가 합하여 만물이 형성되는데 이는 사물의 근본이자 원리이고 기는 사물의 형체를 구성하는 재료로 보았다.
㉤ 왕수인
주자의 이학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우리가 탐구해야 할 이는 바깥의 사물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들의 마음 안에 있는 것이라 했다.
㉥ 퇴계
천명은 곧 이인데 이 이에는 원(元), 형(亨), 이(利), 정(貞)의 사덕이 갖추어져 있고 이 네가지의 실(實)이 성(誠)이다. 그의 인성론은 성리학적 기초 위에서 체계화된 것이다.
2) 노장사상
㉠ 노자
무위자연사상을 본으로 하는 노자는 공자의 세속적 규범을 위주로 하는 사상을 자연에 반하는 것이라는 이유로 거부하고 인간은 어디까지나 무욕, 허정, 겸하, 유약의 자세로 살아가는 것이 현명하다고 하여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사회 또한 도원향적 소국과민의 사회이다.
㉡ 장자
장자는 자연스러운 삶을 이상적인 것으로 생각했다 여기서 자연스러운 삶이란 자기 본래의 성품인 성명지정에 좇아서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 왕필
왕필의 인성론 중에서 주목되는 것은 그가 성인도 감정은 있다고 한 점이다.
3) 불교사상
㉠ 석가모니
석가모니의 가르침은 우리들을 고로부터 벗어나서 해탈하도록 이끄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실천적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제시된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사성제, 팔정도로 가르칠 수 있다.
㉡ 세친과 원효
4) 동양 삼교의 바람직한 인간과 사회
유교는 인자하고 예절 바르고 사리사욕보다는 공의를 소중히 하는 사람이 유교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람직한 인간상이라 할 수 있다. 공자가 생각했던 바람직한 사회는 천하가 한 가족처럼 화목하게 사는 것을 이상으로 했던 주나라 초기의 종법사회였다.
노장사상의 이상적 인간은 어린이와 같이 순박하고 자연에 순응하는 소박한 삶을 살 수 있는 사람이며, 이상적 사회도 자연히 소국과민적 공동체사회이다.
불교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상적 인간은 해탈의 경지에 든 사람이고 이상적 사회는 불국토이다.
5) 동양 삼교의 공통점과 그 사호심리학적 함의
삼교의 기본적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고학주의적 현대사회심리학과 대비시켜 볼 때 공통점은 특히 크게 부각된다.
첫째 삼교는 모두 인간의 도덕성 함양을 중심과제로 하고 있다. 둘째, 사회제도나 a문화 또는 인간의 외형적 행동보다는 마음가짐을 중시하고 있다. 셋째, 마음가짐을 위해 수행을 강조하고 있다. 넷째, 현대사회심리학이 객관주의를 강조하고 있다면 동양 삼교는 주관주의적이라 할 수 있다. 다섯째, 가치가 중심이 된 공부를 하고 있고 사실과 가치의 분리는 가능하지도 않을 뿐 아니라 결코 바람직한 것도 아니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
《 참고문헌》
1. 전병재, <인간과 사회>, 경문사, 1997
2. 김동배·권중돈 공저,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2001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10.25
  • 저작시기2007.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69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