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DISPLAY TERMINAL[ VDT syndrome]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VDT 증후군이란?

VDT 증후군의 원인

VDT 증후군의 유발요인

VDT 증후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VDT 증후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의 예

VDT 증후군의 예방

VDT 증후군 예방하기

본문내용

여 사용한다.
다소 비용을 투자해서라도 쓸만한 무광택 보안경(Filter)을 사용한다.
근시나 노안이 있는 경우에, 의사의 처방을 받아 VDT 작업용 안경을 착용한다.
모니터의 바탕 화면이나 프로그램의 바탕을 눈에 자극이 되지 않는 색으로
조정한다.
작업을 한동안 중단할 경우엔 모니터라도 꺼둔다.
스크린세이버라는 너무 밝거나 빠른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선택한다.
필요하지 않은 경우엔, 모니터에 스크롤 되는 것에서 시선을 돌린다.
눈이 피로하면 잠깐이라도 휴식을 취한다.
눈이 아프거나, 시리고, 눈곱이 많이 끼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안과에서 진료를 받는다.
C. 목과 어깨를 위하여
모니터를 정면으로 볼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작업할 서류는 눈높이로 바로 옆에 두어 가능한 고개를 많이 돌리지 않도록 한다.
의자를 조정하여 모니터보다 눈의 높이를 높여 약간 내려보는 자세를 취한다.
전화를 목으로 누른 채 받지 않는다.
목과 어깨가 피로하면 근육을 풀기 위해 가벼운 운동을 한다.
키보드의 위치는 가능한 낮게 위치하여 어깨를 들어올리지 않도록 한다.
키보드와 몸과의 거리를 너무 멀지도 가깝지도 않게 위치 시켜, 어깨와 팔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D. 손과 손목을 위하여
하루의 키보드 작업은 4만타를 넘지 않도록 하고, 시간당 1만 2천타 이상은 좋지 않다.
반복적으로 키보드 작업만을 해야 하는 경우 자주 쉬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손을 올려 키보드를 사용시 손목 받침대를 사용하여, 손등이 뒤로 꺽이지 않도록 한다.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키보드가 편안하다면 사용해 보는 것도 좋다.
키보드를 낮추어 팔을 무릎 위로 떨어뜨려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필요하다면 책상에 부착하는 보조 장비를 사용한다.
팔 굽는 각도는 너무 굽히지도 펴지도 않은 90도 전후가 좋다.
E. 허리를 위하여
책상을 당겨 엉덩이를 넣고 깊이 앉고 허리를 세운다.
허벅지는 바닥과 평형을 이룰 수 있도록 의자를 조정한다.
발은 바닥에 붙이고 편안히 힘을 뺀다. 다리를 꼬는 것은 좋지 않다.
현재 사용하는 의자가 불편하다면, 과감히 허리에 부담이 가지 않은 의자로 바꾼다. 이에 대한 투자는 전혀 아끼지 말아야 한다.
의자를 책상 가까이 당겨 앉아 허리를 펴도록 한다.
짐을 들거나 하는 허리에 하중이 걸리는 운동을 할 경우에는 허리의 자세를 고정시키고, 다리의 힘을 많이 이용하도록 한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1.02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70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