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VDT 증후군
2. VDT증후군 유발요인
3. VDT 증후군의 증상
4. VDT증후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5. VDT 작업 관리요령
6. VDT 증후군의 예방대책
※ VDT 증후군 예방 체조
2. VDT증후군 유발요인
3. VDT 증후군의 증상
4. VDT증후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5. VDT 작업 관리요령
6. VDT 증후군의 예방대책
※ VDT 증후군 예방 체조
본문내용
사용)
6. VDT 증후군의 예방대책
VDT가 일찍 도입된 외국에서는 일찍부터 건강장해의 연구가 시작되었고 정부주도하의 예방지침도 나왔다. 스웨덴 1978년, 서독 1980년, NIOSH 1981년, 일본 1986년 등이다.
(1) 컴퓨터 이용자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눈의 결막충혈과 따가움, 피로 감등 VDT(영상단말기)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화면을 낮추고 실내습도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 미국 국립직업안전보건원은 VDT증후군을 최소화하기 위해
① 화면높이 밝기 실내조명 의자높이 등 작업도구를 인체공학적으로 개선
② 단말기를 눈높이의 10~20도 아래에 배치
③ 보안경설치
④ 1시간에 최소한 15분 휴식
⑤ 정기적인 안과검사 등을 작업조건으로 제시했다.
(3) 가장 중요한 것은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업무 중 잠깐씩이라도 휴식을 취하는 것이다. 특히 근골격계 장해를 예방하려면 바른 자세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VDT 증후군 예방 체조
최근 한신대 특수체육학과 정훈교 교수는 컴퓨터 단말기 증후군을 예방하는 체조를 개발,소개했다. 이 체조의 목적은 목과 허리, 그리고 손부위 운동, 단순작업으로 굳어진 근육과 관절을 풀어주고, 늘려주는 것이다. VDT 증후군은 주로 목의 긴장과 어깨 결림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이 부위를 집중적으로 풀어주어야 한다.
목 운동- 목을 앞으로 뺀 상태에서 턱을 들고 원을 그린다. (1회 15초 세차례)
승모근 운동- 주먹을 쥐고 허리에 댄다. 가슴을 내밀어 어깨근육이 귀에 닿을 때까지 천천히 끌어올린 뒤 3 5초 정지했다가 순간 탄력적으로 이완시킨다. (1회 10초 세차례)
손목 운동- 손가락을 깍지 끼고 손목을 전·후, 좌·우로 빠르고 경쾌하게 움직인다.
손가락 운동- 양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해 손가락을 적당히 깍지 낀 상태에서 지긋이 눌러준다. (1회 5초 세차례)
허리 운동- 양팔을 위로 들어 손가락을 깍지 긴 다음 좌우로 허리를 기울여 준 뒤 몸통을 원을 그리며 돌려준다. (1회 20차례)
무릎 관절 운동- 무릎에서 발가락까지 쭉 뻗었다가 구부려주면서 무릎 주변을 열 손가락 끝으로 강하고 경쾌하게 두드려준다. (1회 50번 두차례)
눈 체조- 손바닥을 뜨겁게 비벼 열이 나게 한 뒤 눈두덩에 대고 가볍게 돌린다. 또 집게 손가락과 중지를 눌러 마사지하고, 엄지와 검지로 좌우의 코 안쪽을 문지른다. (1회 50번 한 차례)
6. VDT 증후군의 예방대책
VDT가 일찍 도입된 외국에서는 일찍부터 건강장해의 연구가 시작되었고 정부주도하의 예방지침도 나왔다. 스웨덴 1978년, 서독 1980년, NIOSH 1981년, 일본 1986년 등이다.
(1) 컴퓨터 이용자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눈의 결막충혈과 따가움, 피로 감등 VDT(영상단말기)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화면을 낮추고 실내습도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 미국 국립직업안전보건원은 VDT증후군을 최소화하기 위해
① 화면높이 밝기 실내조명 의자높이 등 작업도구를 인체공학적으로 개선
② 단말기를 눈높이의 10~20도 아래에 배치
③ 보안경설치
④ 1시간에 최소한 15분 휴식
⑤ 정기적인 안과검사 등을 작업조건으로 제시했다.
(3) 가장 중요한 것은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업무 중 잠깐씩이라도 휴식을 취하는 것이다. 특히 근골격계 장해를 예방하려면 바른 자세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VDT 증후군 예방 체조
최근 한신대 특수체육학과 정훈교 교수는 컴퓨터 단말기 증후군을 예방하는 체조를 개발,소개했다. 이 체조의 목적은 목과 허리, 그리고 손부위 운동, 단순작업으로 굳어진 근육과 관절을 풀어주고, 늘려주는 것이다. VDT 증후군은 주로 목의 긴장과 어깨 결림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이 부위를 집중적으로 풀어주어야 한다.
목 운동- 목을 앞으로 뺀 상태에서 턱을 들고 원을 그린다. (1회 15초 세차례)
승모근 운동- 주먹을 쥐고 허리에 댄다. 가슴을 내밀어 어깨근육이 귀에 닿을 때까지 천천히 끌어올린 뒤 3 5초 정지했다가 순간 탄력적으로 이완시킨다. (1회 10초 세차례)
손목 운동- 손가락을 깍지 끼고 손목을 전·후, 좌·우로 빠르고 경쾌하게 움직인다.
손가락 운동- 양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해 손가락을 적당히 깍지 낀 상태에서 지긋이 눌러준다. (1회 5초 세차례)
허리 운동- 양팔을 위로 들어 손가락을 깍지 긴 다음 좌우로 허리를 기울여 준 뒤 몸통을 원을 그리며 돌려준다. (1회 20차례)
무릎 관절 운동- 무릎에서 발가락까지 쭉 뻗었다가 구부려주면서 무릎 주변을 열 손가락 끝으로 강하고 경쾌하게 두드려준다. (1회 50번 두차례)
눈 체조- 손바닥을 뜨겁게 비벼 열이 나게 한 뒤 눈두덩에 대고 가볍게 돌린다. 또 집게 손가락과 중지를 눌러 마사지하고, 엄지와 검지로 좌우의 코 안쪽을 문지른다. (1회 50번 한 차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