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제설정 이론(Agenda setting)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의제설정의 개념

Ⅲ. 의제설정이론의 등장
1. 한정효과(소효과 이론)에 대한 도전
2. McCombs & Shaw에 의한 이론화

Ⅲ. 의제로 설정되기 위한 요건

Ⅳ. 미디어의 의제설정의 성패 사례
☻ 미디어의 의제설정이 성공을 거둔 사례
ex.1) 워터게이트 사건
ex.2) 대우자동차 노동자, 경찰의 폭력진압 사건
ex.3) 걸프위기프로젝트와 Deep Dish TV
☻ 미디어의 의제설정이 실패한 사례
ex.1) 사이버공간에서 미디어에 의해 설정된 의제와 회자되는 의제 간의 비동일성
ex.2) 한양대학교 캠퍼스 내 학생식당 가격인상에 대한 통합투쟁

Ⅴ. 의제설정이론에 대한 비판
1. 명확하지 않은 미디어 의제와 수용자 의제의 관계
2. 모호한 기본 가정들

Ⅵ. 의제설정이론에 대한 평가와 나가야할 방향
1. 이차적 효과에 대한 연구 필요
2. 의제융합(agenda melding)현상에 주목

본문내용

다.
Ⅵ. 의제설정이론에 대한 평가와 나가야할 방향
1. 이차적 효과에 대한 연구 필요
Mcleod 등은 의제설정이론에 대한 기존의 검증연구들에서는 이슈들의 중요성에 관한 수용자들의 지각에 미치는 미디어의 의제설정 기능의 효과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을 뿐 그 다음에 나타나는 후속적 효과(subsequent effects)는 경시했다고 지적했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의제설정 효과는 언론의 ‘일차적 효과’이며, 보다 강력하며 사회적 중요성을 갖는 ‘이차적 효과’를 유발하는 전제조건이라고 한다. 이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언론의 점화효과(priming effects)와 틀 짓기 효과(framing effects)에 대한 검토를 요구한다. 따라서 의제설정 효과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는 이러한 ‘이차적 효과’에 대한 검토를 거쳐 내려야 할 것이다.
2. 의제융합(agenda melding)현상에 주목
1970년대에 만들어진 의제설정 이론이 인터넷,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등 뉴미디어가 올드미디어와 혼재하는 현대에도 적용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그렇다’라고 대답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 과거에는 신문과 방송 등 전통적 미디어가 ‘무엇을 생각할 것인가’인 의제설정과 함께 무엇을 생각할 것인가‘인 해석(interpretation)까지 전담했다면 오늘날에는 인터넷 등의 뉴미디어가 기존 미디어의 해석 영역을 일부 대신하고 있다. 지금도 기존 미디어의 의제설정에 대한 영향력을 여전히 강하지만 인터넷 등의 발달로 블로그와 시민기자 등 뉴미디어 환경에 따라 의제에 관한 해석이 다양해지고 있다. 유명한 매스컴 이론인 ‘의제설정’이론을 제기한 도널드 쇼 노스캐롤라이나대학 교수는 지난 5월 18일 한국언론학회가 주최한 학술대회에서 이러한 뉴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의제융합’ 현상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의제융합이란 미디어가 일방적으로 의제를 설정하기보다 수용자가 자발적으로 자신이 좋아하거나 관여도가 높은 매체를 찾아 그 매체 안에서 의제와 정보에 녹아들어 가는 적극적 수용을 말한다. 과거에는 의제를 설정하는 미디어가 신문과 방송 뿐 이었으나 현재는 인터넷과 케이블TV 에 의한 ‘의제융합’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도날드 쇼 교수는 ‘뉴미디어는 의제설정을 넘어 수용자가 미디어를 통해 ‘사회적 지지’를 형성하는 ‘의제융합’양상을 가능하게 하고 있고 뉴미디어가 발달하면서 전통적 미디어의 역할이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0.26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71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