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 목적 -------------------------- 3p.
2) 연구 방법 -------------------------- 3p.
Ⅱ. 본론
1. 매스미디어 효과이론
1) 의제설정 이론 ----------------------- 4p.
2. 매스미디어 효과 이론의 대선 기사 적용
1) 조선일보 기사 검색 결과 -------------- 5p.
2) 한겨레 기사 검색 결과 ---------------- 5p.
3) 의제설정 이론에 따른 대선 기사 경향 분석 ----- 6p.
Ⅲ. 결론 -------------------------------- 6p.
Ⅳ. 참고문헌 ----------------------------- 7p.
V. 참고자료 ----------------------------- 8p.
1) 연구 목적 -------------------------- 3p.
2) 연구 방법 -------------------------- 3p.
Ⅱ. 본론
1. 매스미디어 효과이론
1) 의제설정 이론 ----------------------- 4p.
2. 매스미디어 효과 이론의 대선 기사 적용
1) 조선일보 기사 검색 결과 -------------- 5p.
2) 한겨레 기사 검색 결과 ---------------- 5p.
3) 의제설정 이론에 따른 대선 기사 경향 분석 ----- 6p.
Ⅲ. 결론 -------------------------------- 6p.
Ⅳ. 참고문헌 ----------------------------- 7p.
V. 참고자료 ----------------------------- 8p.
본문내용
거액의 강사료를 받은 문제 등과 관련해 공인의식에 문제가 있지 않으냐는 지적을 한다.
―유권자들은 온갖 네거티브(음해·비방)에도 불구하고 이 후보에게 ‘1등지지’를 보내고 있다. 당선된다면 어떻게 보답할 생각인가.
[정책 및 공약]
―한나라당 대선후보가 된 이후 4개월간 국민들에게 감동을 줄만한 상품을 생산해 내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다.
―지난 10월 남북정상회담 이후 총리급 회담 등에서 수많은 합의가 쏟아지고 있다. 이 후보가 집권할 경우 이 합의를 그대로 이행할 것인지 궁금하다.
―40대 수도권 시민들이 이 후보에게 강한 지지를 보내는 두 가지 이유가 교육과 부동산이라고 한다. 어떻게 해결할 생각인가.
―고교 평준화에 대한 입장은.
―종합부동산세와 양도세에 대해서는 어떤 입장인가.
―이 후보는 기독교 장로이면서 불교에 대해 7가지 공약을 내놓았는데.
―국민 반대가 더 많은 한반도 대운하 사업을 계속 추진할 생각인가.
[정책 및 공약 비판]
―경제공약으로 ‘747’ 성장공약을 제시했는데, 7% 성장이 진짜 가능하다고 보나.
―이 후보는 ‘경제 대통령’ 이미지가 강한 반면 문화예술계에선 이 후보가 문화는 모르는 게 아닌가 걱정하는 이들도 있다. 혹시 문화도 돈으로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국민이 저를 지켜줬다… 경제 살리기로 감동 줄 것”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2/07/2007120700115.html
-------------------------------------------------------------------------------------
<정동영 대선후보 인터뷰>
[정치]
―대선이 열흘 앞으로 다가왔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와 2위 싸움을 하고 있지만 지지도가 아직 20%에 못 미친다. 유권자가 무섭지 않은가.
―정 후보는 최근 TV 연설에서 “대통령 눈치 봤다” “민생 못 챙긴 죄 백배사죄한다”고 했다. 뒤늦은 깨달음인가, 아니면 선거 전략인가.
―한때 ‘노무현의 황태자’ 말까지 들었는데….
―노무현 정권 5년의 가장 큰 잘못은 뭔가.
―후보가 된 후 노 대통령과 각을 세우거나 비판한 적이 별로 없다. 버거워서 인가?
―최근 “간절하면 기적이 온다.”고 했는데, 대통령 당선이 어렵다는 것을 인정하는 뉘앙스 같다.
―삼성 비자금 특검은 이건희 회장이건, 노 대통령이건 성역 없이 수사해야 하나.
―창조한국당 문국현, 민주당 이인제 후보 등과의 후보 단일화 협상이 모두 실패했다. 범여 통합은 물 건너간 것인가.
―호남 이외 지역에서 지지율이 낮다. 지지율을 올릴 복안은.
―과거 선거를 치르면 청와대에서 돈도 내려 보내주고 했는데.
―이번 대선에 올인하겠다고 했는데, 무슨 뜻인가.
―기자출신인 정 후보가 노무현 대통령이 밀어붙이는 기자실 통·폐합 현장을 직접 방문하거나 “당장 중단하라”고 노 대통령에게 건의하지 않은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
[BBK]
―검찰 탄핵안 발의하겠다고 했는데, 검찰은 안 믿고 사기꾼 말에 의지하겠다는 건가.
―최근 신당의 검찰 규탄은 BBK 수사 결과에 대한 보복이란 인상을 준다.
―하지만 노무현 정부에서 임명한 검찰 아닌가.
―정 후보의 특보단이 ‘노무현·이명박 커넥션’ 의혹을 제기했다가 취소했다. 검찰 수사 결과가 노 대통령과 이 후보 간의 담합의 결과라는 말인가.
[정책 및 공약]
―노무현 정부와 경제 정책 부문에서 어떻게 차별화할 것인가.
―네거티브에 치중하다 보니 ‘정동영 브랜드’가 뭔지 모르겠다는 의견 있다. 왜 꼭 정동영이 대통령이 되어야 하는가를 설명해달라.
―‘정동영 대통령’ 시대가 현 정부와 무엇이 달라지나.
―현 정부의 고교 평준화 등 교육 정책과 관련해 ‘하향평준화’라는 지적이 적지 않다. 정 후보의 교육 공약도 현 정부의 골간과 비슷한 것 같다.
―현 정부 부동산 정책 중 어떤 부분이 실패한 것이고, 정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어떻게 고쳐갈 것인지 구체적으로 말해달라.
―정 후보는 최근 현 정부가 도입한 종합부동산세에 대한 선의의 피해자가 있다고 했다. 세금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한국 교육에서 교육부 관료의 기득권이 문제로 지적되기도 한다.
[정책 및 공약 비판]
―정 후보의 경제 공약은 이명박 후보에 비해 각론 부분에서 구체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한나라당의 ‘잃어버린 10년’ 주장에 대해 ‘되찾은 10년’이라는 논리로 대응하고 있지만, 정권교체 여론이 60%대에 이르는 상황에서 이런 주장이 먹힐 공간이 적은 것 아닌가.
―정 후보는 “전쟁시대로 돌아갈 수 없다”면서 남북관계의 연속성을 이어가기 위해서라도 자신을 지지해달라는 호소를 하고 있다.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의 ‘햇볕정책’을 5년 더 연장하겠다는 얘기인가?
“국민상처 이렇게 깊은줄 몰랐다… ” 2007.12.10 (월) / 배성규 기자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2/10/2007121000110.html
[참고자료 2] 기사 검색결과 산출과정
[조선일보]
134\'BBK’ 언급된 기사-(6‘대선’과 ‘정책/공약’언급된 기사-61‘대선’과 ‘BBK’ 언급한 기사+20‘대선’과 ‘BBK’, ‘정책/공약’ 언급된 기사-26‘BBK’와 ‘정책/공약’언급된 기사+20‘대선’과 ‘BBK’, ‘정책/공약’ 언급된 기사)93건=bbk만 언급된 기사 41건
26‘정책/공약’과 ‘BBK’ 언급된 기사+46‘정책/공약’과 ‘대선’언급된 기사-20‘대선’, ‘BBK’, ‘정책/공약’언급된 기사+10‘정책만 언급된 기사’, ‘공약만 언급된 기사’(구글)=정책/공약관련기사
-132대선정책orbbk-104대선공약orbbk+6대선정책공약bbk+61대선bbk=85 대선만 언급
[한겨레]
145‘BBK’, ‘대선’ 언급된 기사+89‘BBK’, ‘대선’ ,‘정책/공약’ 제외한+12‘BBK’, ‘정책/공약’ 언급한 기사(‘대선’제외된)=246건(구글검색 결과와는 12건 오차)
차)
대선만 언급된 기사: 411대선-145대선+bbk-101대선+정책/공약(대선+정책 검색결과에서 관련없는 기사 제외)+73대선+정책/공약+bbk=238개
―유권자들은 온갖 네거티브(음해·비방)에도 불구하고 이 후보에게 ‘1등지지’를 보내고 있다. 당선된다면 어떻게 보답할 생각인가.
[정책 및 공약]
―한나라당 대선후보가 된 이후 4개월간 국민들에게 감동을 줄만한 상품을 생산해 내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다.
―지난 10월 남북정상회담 이후 총리급 회담 등에서 수많은 합의가 쏟아지고 있다. 이 후보가 집권할 경우 이 합의를 그대로 이행할 것인지 궁금하다.
―40대 수도권 시민들이 이 후보에게 강한 지지를 보내는 두 가지 이유가 교육과 부동산이라고 한다. 어떻게 해결할 생각인가.
―고교 평준화에 대한 입장은.
―종합부동산세와 양도세에 대해서는 어떤 입장인가.
―이 후보는 기독교 장로이면서 불교에 대해 7가지 공약을 내놓았는데.
―국민 반대가 더 많은 한반도 대운하 사업을 계속 추진할 생각인가.
[정책 및 공약 비판]
―경제공약으로 ‘747’ 성장공약을 제시했는데, 7% 성장이 진짜 가능하다고 보나.
―이 후보는 ‘경제 대통령’ 이미지가 강한 반면 문화예술계에선 이 후보가 문화는 모르는 게 아닌가 걱정하는 이들도 있다. 혹시 문화도 돈으로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국민이 저를 지켜줬다… 경제 살리기로 감동 줄 것”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2/07/2007120700115.html
-------------------------------------------------------------------------------------
<정동영 대선후보 인터뷰>
[정치]
―대선이 열흘 앞으로 다가왔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와 2위 싸움을 하고 있지만 지지도가 아직 20%에 못 미친다. 유권자가 무섭지 않은가.
―정 후보는 최근 TV 연설에서 “대통령 눈치 봤다” “민생 못 챙긴 죄 백배사죄한다”고 했다. 뒤늦은 깨달음인가, 아니면 선거 전략인가.
―한때 ‘노무현의 황태자’ 말까지 들었는데….
―노무현 정권 5년의 가장 큰 잘못은 뭔가.
―후보가 된 후 노 대통령과 각을 세우거나 비판한 적이 별로 없다. 버거워서 인가?
―최근 “간절하면 기적이 온다.”고 했는데, 대통령 당선이 어렵다는 것을 인정하는 뉘앙스 같다.
―삼성 비자금 특검은 이건희 회장이건, 노 대통령이건 성역 없이 수사해야 하나.
―창조한국당 문국현, 민주당 이인제 후보 등과의 후보 단일화 협상이 모두 실패했다. 범여 통합은 물 건너간 것인가.
―호남 이외 지역에서 지지율이 낮다. 지지율을 올릴 복안은.
―과거 선거를 치르면 청와대에서 돈도 내려 보내주고 했는데.
―이번 대선에 올인하겠다고 했는데, 무슨 뜻인가.
―기자출신인 정 후보가 노무현 대통령이 밀어붙이는 기자실 통·폐합 현장을 직접 방문하거나 “당장 중단하라”고 노 대통령에게 건의하지 않은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
[BBK]
―검찰 탄핵안 발의하겠다고 했는데, 검찰은 안 믿고 사기꾼 말에 의지하겠다는 건가.
―최근 신당의 검찰 규탄은 BBK 수사 결과에 대한 보복이란 인상을 준다.
―하지만 노무현 정부에서 임명한 검찰 아닌가.
―정 후보의 특보단이 ‘노무현·이명박 커넥션’ 의혹을 제기했다가 취소했다. 검찰 수사 결과가 노 대통령과 이 후보 간의 담합의 결과라는 말인가.
[정책 및 공약]
―노무현 정부와 경제 정책 부문에서 어떻게 차별화할 것인가.
―네거티브에 치중하다 보니 ‘정동영 브랜드’가 뭔지 모르겠다는 의견 있다. 왜 꼭 정동영이 대통령이 되어야 하는가를 설명해달라.
―‘정동영 대통령’ 시대가 현 정부와 무엇이 달라지나.
―현 정부의 고교 평준화 등 교육 정책과 관련해 ‘하향평준화’라는 지적이 적지 않다. 정 후보의 교육 공약도 현 정부의 골간과 비슷한 것 같다.
―현 정부 부동산 정책 중 어떤 부분이 실패한 것이고, 정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어떻게 고쳐갈 것인지 구체적으로 말해달라.
―정 후보는 최근 현 정부가 도입한 종합부동산세에 대한 선의의 피해자가 있다고 했다. 세금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한국 교육에서 교육부 관료의 기득권이 문제로 지적되기도 한다.
[정책 및 공약 비판]
―정 후보의 경제 공약은 이명박 후보에 비해 각론 부분에서 구체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한나라당의 ‘잃어버린 10년’ 주장에 대해 ‘되찾은 10년’이라는 논리로 대응하고 있지만, 정권교체 여론이 60%대에 이르는 상황에서 이런 주장이 먹힐 공간이 적은 것 아닌가.
―정 후보는 “전쟁시대로 돌아갈 수 없다”면서 남북관계의 연속성을 이어가기 위해서라도 자신을 지지해달라는 호소를 하고 있다.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의 ‘햇볕정책’을 5년 더 연장하겠다는 얘기인가?
“국민상처 이렇게 깊은줄 몰랐다… ” 2007.12.10 (월) / 배성규 기자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2/10/2007121000110.html
[참고자료 2] 기사 검색결과 산출과정
[조선일보]
134\'BBK’ 언급된 기사-(6‘대선’과 ‘정책/공약’언급된 기사-61‘대선’과 ‘BBK’ 언급한 기사+20‘대선’과 ‘BBK’, ‘정책/공약’ 언급된 기사-26‘BBK’와 ‘정책/공약’언급된 기사+20‘대선’과 ‘BBK’, ‘정책/공약’ 언급된 기사)93건=bbk만 언급된 기사 41건
26‘정책/공약’과 ‘BBK’ 언급된 기사+46‘정책/공약’과 ‘대선’언급된 기사-20‘대선’, ‘BBK’, ‘정책/공약’언급된 기사+10‘정책만 언급된 기사’, ‘공약만 언급된 기사’(구글)=정책/공약관련기사
-132대선정책orbbk-104대선공약orbbk+6대선정책공약bbk+61대선bbk=85 대선만 언급
[한겨레]
145‘BBK’, ‘대선’ 언급된 기사+89‘BBK’, ‘대선’ ,‘정책/공약’ 제외한+12‘BBK’, ‘정책/공약’ 언급한 기사(‘대선’제외된)=246건(구글검색 결과와는 12건 오차)
차)
대선만 언급된 기사: 411대선-145대선+bbk-101대선+정책/공약(대선+정책 검색결과에서 관련없는 기사 제외)+73대선+정책/공약+bbk=238개
추천자료
학교 효과성 및 질적 관리-우리의 대학종합평가
로저스(C. Rogers)이론에 관한 보고서
도플러 효과 예비보고서
도플러효과 예비보고서
[커뮤니케이션][대화]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고찰(커뮤니케이션이론의 연구 동향, 커뮤니케이션...
경상대학교 공학보고서 요약
광전효과를 통한 측정 조사 보고서(A+ 리포트)
[협동학습][스크립트 활용][협동학습 적용방법]협동학습의 이론, 협동학습의 역사, 협동학습...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수업설계의 이론적 기초, 중요성, 요소와 ICT(정보통신기술)활용...
대학입시정책 - 3불정책(三不政策)에 관한 정리 보고서 (내용정리 및 입장중심으로)
청주대학교 스마트한학습으로의 여행 사이버강의 기말고사 족보 9주차 ~ 15주차
[교육사회] 체벌문제 - 체벌에 대한 보고서 (체벌의 정의와 본질, 원이과 종류, 체벌실태와 ...
경상대학교 이러닝 공학보고서작성 및 발표 중간고사 대비자료
서경대학교 노화학레포트 (텔로미어이론 포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