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중․고령자 고용실태 및 문제점
1. 고령화사회의 도래와 사회경제적 효과
2. 중고령 노동시장의 특징
3. 중고령자 조기퇴직과 문제점
Ⅲ. 중고령자의 일자리 창출방안
1. 고용유지
2. 일자리창출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중․고령자 고용실태 및 문제점
1. 고령화사회의 도래와 사회경제적 효과
2. 중고령 노동시장의 특징
3. 중고령자 조기퇴직과 문제점
Ⅲ. 중고령자의 일자리 창출방안
1. 고용유지
2. 일자리창출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식비 등이 제공되며, 연 1회의 정기건강검진과 봉사중의 사고에 대한 상해보험도 제공된다(전혜정, 미발간).
우리나라에서도 자신이 일하던 회사에서 일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지라도 비이윤조직(Non Profit Organization)이나 혹은 제3섹터라고 불리는 분야에서 약간의 활동비를 받고 일하는 유급자원활동을 확산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시장에서 요구하는 노동은 아닐지라도 사회의 각 분야에는 고령자의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였을 때 크게 도움이 될 만한 일들이 산재해 있다.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자원봉사조직을 확대함에 있어서 강조되어야 할 것은 이러한 조직이 고령자의 인적특성에 따라서 각각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연한 방식으로 운영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전문지식을 가진 은퇴노인에게는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상대적으로 젊은 나이에 퇴직하였으나 새로 취업하기에는 특별한 기능을 가진 것이 없어서 문제인 사람들에게는 궁극적으로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데 도움이 되는 경력을 제공하고 훈련도 연계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단순히 소일거리가 아니라 생계를 염려하는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에서는 제외되는 차상위계층이라면 공공근로와 같이 직접적인 일자리 창출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자원봉사를 조직하는 일은 민간이나 사회단체의 노력만을 기대하고 있기에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 일은 국가가 상당한 정도의 비용을 지원하여야 할 뿐 아니라 전국의 취업알선기관을 통하여 네트워크를 짜고 이를 통해서 개인과 단체, 기관을 연결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는 고령자를 위한 취업알선 인프라의 구축과 긴밀히 연계되는 정책적 과제이다(장지연 2002)
2) 고령인력의 자원봉사 조직화
고령자 중에서 연금 등으로 생계에는 문제가 없으나 자신이 평생의 근로로 통하여 체득한 지식이나 노하우를 보람있게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전문인력 풀을 만들어 임시직이나 자원봉사를 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 필요가 있다.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자원봉사조직은 고령자의 인적특성에 따라 각각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연한 방식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즉, 전문지식을 가진 은퇴노인에게는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상대적으로 젊은 나이에 퇴직하였으나 새로 취업하기에는 특별한 기능을 가진 것이 없어서 문제인 사람들에게는 궁극적으로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데 도움이 되는 경력을 제공하고 훈련도 연계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 고령자에 대한 취업알선을 하고 있는 기관으로는 노동부의 고령자 인재은행, 복지부의 노인복지센터 등에 속한 취업알선센터,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고령자 취업알선센터가 있다. 고령자가 거주지 가까운 곳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관이 있다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이들 기관들 간에 업무가 분리되어 있고 정보 교류가 없어서 각각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취업알선의 성과는 미미한 형편이다. 그러므로 각 부처가 가지고 있는 역량과 하부기관(센터)들을 연계하고, ‘work-net’의 일부를 고령자에 적합하게 개선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한 효율적인 조직을 설계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서 다양한 시민사회단체의 자원봉사조직을 연계하면 기본적인 틀을 갖추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도 그 유례를 볼 수 없을 정도로 고령화가 급진전되는 가운데 55세 정년도 거의 채우지 못하고 있어 퇴직시점과 국민연금 수급연령, 그리고 기대수명간에 상당한 격차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고령자에 대한 일자리창출이 시급히 이루어지지 않는 한 고령자 개인과 가정은 물론 사회경제적으로도 많은 부작용을 야기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자에 대한 일자리창출은 눈높이를 낮추려는 개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준수하려는 기업, 그리고 고령자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맞물려야만 그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노동부,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1996년, 2001년.
이토 미노루(伊藤 實)(2002), 일본의 고령자 고용실태, 고령자 노동시장의 특성과 정책과제: 제3차 KLI-JIL 국제워크숍.
이혜훈(2001), 고령화와 재정의 대응과제, 한국개발연구원.
장지연(2001),『중고령자 고용촉진제도 개선방안 연구』한국노동연구원 고용보험센터 수시과제 보고서.
(2001), 중고령자 노동시장의 특성과 고용지원정책, 한국노동연구원.
(2002. 3), 보육종합대책의 내용과 문제점, 매월노동동향 한국노동연구원.
(2002), 한국의 고연령자 노동시장, 고령자 노동시장의 특성과 정책과제: 제3차 KLI-JIL 국제워크숍.
(2002), 『고령화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정책』, 한국노동연구원.
전혜정(미발간),『선진국의 고령자 고용확대를 위한 개혁사례 연구: 시간제 및 유급자원봉사활동을 중심으로』.
통계청(1999), 1999년 생명표.
______(2000), 인구통계연보.
______(2001), 장래인구동태통계연보.
______(2002), 사업체기초통계조사보고서.
_____(2001),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한국노동연구원(2001), 한국노동패널 1~4차년도 원자료, 한국노동연구원.
__________(2002), 고용보험동향, 2002.
허재준(2002), 고연령자 고용확대를 위한 정책과제, 고령자 노동시장의 특성과 정책과제: 제3차 KLI-JIL 국제워크숍.
허재준전병유(1998), 「임금의 연령프리미엄 구조」, 노동경제논집 제21권 제1호.
日本 國立社會保障人口問題硏究所(2000),『人口統計資料集』.
勞務行政硏究所(1999), 高年齡者の處遇と賃金實態, 勞政時報 第3421.
OECD(2002), “Home Economic Effects of Ageing”, http://www.oecd.org/ EN/home/ O.,EN-home-658 -nodirectorate-no-no.2002).
UN, The Sex and Age Distribution of World Population, 각년도.
UN, Demographic Yearbook, 각년도.
UN(1998), World Population Prospects.
우리나라에서도 자신이 일하던 회사에서 일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지라도 비이윤조직(Non Profit Organization)이나 혹은 제3섹터라고 불리는 분야에서 약간의 활동비를 받고 일하는 유급자원활동을 확산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시장에서 요구하는 노동은 아닐지라도 사회의 각 분야에는 고령자의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였을 때 크게 도움이 될 만한 일들이 산재해 있다.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자원봉사조직을 확대함에 있어서 강조되어야 할 것은 이러한 조직이 고령자의 인적특성에 따라서 각각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연한 방식으로 운영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전문지식을 가진 은퇴노인에게는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상대적으로 젊은 나이에 퇴직하였으나 새로 취업하기에는 특별한 기능을 가진 것이 없어서 문제인 사람들에게는 궁극적으로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데 도움이 되는 경력을 제공하고 훈련도 연계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단순히 소일거리가 아니라 생계를 염려하는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에서는 제외되는 차상위계층이라면 공공근로와 같이 직접적인 일자리 창출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자원봉사를 조직하는 일은 민간이나 사회단체의 노력만을 기대하고 있기에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 일은 국가가 상당한 정도의 비용을 지원하여야 할 뿐 아니라 전국의 취업알선기관을 통하여 네트워크를 짜고 이를 통해서 개인과 단체, 기관을 연결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는 고령자를 위한 취업알선 인프라의 구축과 긴밀히 연계되는 정책적 과제이다(장지연 2002)
2) 고령인력의 자원봉사 조직화
고령자 중에서 연금 등으로 생계에는 문제가 없으나 자신이 평생의 근로로 통하여 체득한 지식이나 노하우를 보람있게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전문인력 풀을 만들어 임시직이나 자원봉사를 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 필요가 있다.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자원봉사조직은 고령자의 인적특성에 따라 각각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연한 방식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즉, 전문지식을 가진 은퇴노인에게는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상대적으로 젊은 나이에 퇴직하였으나 새로 취업하기에는 특별한 기능을 가진 것이 없어서 문제인 사람들에게는 궁극적으로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데 도움이 되는 경력을 제공하고 훈련도 연계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 고령자에 대한 취업알선을 하고 있는 기관으로는 노동부의 고령자 인재은행, 복지부의 노인복지센터 등에 속한 취업알선센터,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고령자 취업알선센터가 있다. 고령자가 거주지 가까운 곳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관이 있다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이들 기관들 간에 업무가 분리되어 있고 정보 교류가 없어서 각각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취업알선의 성과는 미미한 형편이다. 그러므로 각 부처가 가지고 있는 역량과 하부기관(센터)들을 연계하고, ‘work-net’의 일부를 고령자에 적합하게 개선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한 효율적인 조직을 설계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서 다양한 시민사회단체의 자원봉사조직을 연계하면 기본적인 틀을 갖추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도 그 유례를 볼 수 없을 정도로 고령화가 급진전되는 가운데 55세 정년도 거의 채우지 못하고 있어 퇴직시점과 국민연금 수급연령, 그리고 기대수명간에 상당한 격차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고령자에 대한 일자리창출이 시급히 이루어지지 않는 한 고령자 개인과 가정은 물론 사회경제적으로도 많은 부작용을 야기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자에 대한 일자리창출은 눈높이를 낮추려는 개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준수하려는 기업, 그리고 고령자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맞물려야만 그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노동부,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1996년, 2001년.
이토 미노루(伊藤 實)(2002), 일본의 고령자 고용실태, 고령자 노동시장의 특성과 정책과제: 제3차 KLI-JIL 국제워크숍.
이혜훈(2001), 고령화와 재정의 대응과제, 한국개발연구원.
장지연(2001),『중고령자 고용촉진제도 개선방안 연구』한국노동연구원 고용보험센터 수시과제 보고서.
(2001), 중고령자 노동시장의 특성과 고용지원정책, 한국노동연구원.
(2002. 3), 보육종합대책의 내용과 문제점, 매월노동동향 한국노동연구원.
(2002), 한국의 고연령자 노동시장, 고령자 노동시장의 특성과 정책과제: 제3차 KLI-JIL 국제워크숍.
(2002), 『고령화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정책』, 한국노동연구원.
전혜정(미발간),『선진국의 고령자 고용확대를 위한 개혁사례 연구: 시간제 및 유급자원봉사활동을 중심으로』.
통계청(1999), 1999년 생명표.
______(2000), 인구통계연보.
______(2001), 장래인구동태통계연보.
______(2002), 사업체기초통계조사보고서.
_____(2001),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한국노동연구원(2001), 한국노동패널 1~4차년도 원자료, 한국노동연구원.
__________(2002), 고용보험동향, 2002.
허재준(2002), 고연령자 고용확대를 위한 정책과제, 고령자 노동시장의 특성과 정책과제: 제3차 KLI-JIL 국제워크숍.
허재준전병유(1998), 「임금의 연령프리미엄 구조」, 노동경제논집 제21권 제1호.
日本 國立社會保障人口問題硏究所(2000),『人口統計資料集』.
勞務行政硏究所(1999), 高年齡者の處遇と賃金實態, 勞政時報 第3421.
OECD(2002), “Home Economic Effects of Ageing”, http://www.oecd.org/ EN/home/ O.,EN-home-658 -nodirectorate-no-no.2002).
UN, The Sex and Age Distribution of World Population, 각년도.
UN, Demographic Yearbook, 각년도.
UN(1998), World Population Prospects.
추천자료
고령화사회와 노인목회
고령화사회에 따른 사회적 영향과 전망
고령화사회에 따른 노인문제와 해결방안
저출산&#8228;고령화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기업 활용 방안
[노인복지][노인복지서비스][노인복지정책][노인복지체계][노인문제][고령화][고령화사회][노...
고령화사회의 의의, 고령화시대의 노동시장 변화 양상
고령화사회의 파급효과 및 대응방안
고령화_사회의_원인과_고령화_문제_대책방안과_나의_견해
고령화사회로의 변화 경향과 노인교육의 필요성
한국과일본의노인일자리정책(양국의 지자체별 정책, 양국간 노인일자리 정책), 미래의 사회에...
고령화사회에서 제기되는 문제, 학자에 따른 노인교육의 요구와 필요성 평생교육차원에서 해...
고령화사회문제,노인정책,문제,사회문제
우리나라 노인복지와 고령화사회(노인인구, 고령화속도, 노인문제, 노인복지이론, 이슈, 문제...
노인복지론(고령화사회와 고령사회에 대해 알아봅니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