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4대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4대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
▶ 수질오염이란 ?

▶ 우리나라 4대강의 오염실태
① 한 강
② 영산강
③ 낙동강 ( 사례 : 낙동강 페놀오염사건 )
④ 금 강

▶수질오염 예방 대책 & 나의 생각
① 정부 입장에서의 대책
② 생활 속 수질보호 수칙

본문내용

물을 잘게 부수는 기계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훨씬 좋다.
다섯 번째로 폐식용유 등은 전용 휴지로 닦아내야 한다. 폐식용유는 음식물 중 최대 오염 물질이다. 미리 닦아내면 설거지할 때 세제 사용량도 줄이게 된다. 또는 이웃끼리 폐식용유를 모아서 재생 비누를 만들어 쓰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여섯 번째, 술을 버리지 않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소주 한 잔(20CC)은 1톤의 물을 오염시킨다고 한다. 술잔을 비우고, 그래도 남으면 따로 보관해 두도록 하는 것이 오염을 줄이는 방법이다. 술 뿐 아니라 마시고 남은 우유나 주스도 버리면 오염원이 되기 때문에 남기지 않는 것이 좋겠다.
일곱 번째, 세제를 부을 때는 측정 컵을 사용해야 한다. 대형 세탁기도 측정 컵 한 숟갈(45g)이면 해결이 된다. 눈대중으로 쏟아 부으면 적정량 넘기가 일쑤이므로 반드시 컵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덟 번째로 변기 세척제나 표백제 사용을 자제하여야 한다. 세척제나 표백제는 물 속 미생물을 죽이는 살균성 화학 물질이다. 변기 뚫을 때는 뜨거운 물과 소다 반 컵으로 베이킹 소다나 붕산을 솔에 묻혀 세척제로 사용하도록 한다.
아홉 번째로 화장실 변기 물통에 물병을 넣어둔다.
국내 변기 물통은 필요 용량의 2배 이상이라고 한다. 전 국민이 6L 절수 변기를 사용하면, 하루 61만 톤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 열 번째, 음식 쓰레기를 줄이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없을 것이다. 한 가정에서 1년 동안 버려지는 음식 쓰레기가 평균 10톤에 육박한다고 한다. 한 해에 버려지는 음식물이 8조원으로 추정되는 실정이다. 식탁에 남는 음식 쓰레기는 퇴비로 활용하는 지혜를 갖추어야 하겠다.
이상의 열 가지는 생활 속에서 느끼고 실천할 수 있는 것들이기 때문에 조금만 신경을 쓴다면 어렵지 않은 것들이라고 생각했다. 하나하나 써내려가며 따져보니 우리 집에서 실천하고 있는 것들이 몇 가지가 되지 않는 것 같아 부끄러운 마음이 들기도 했다.
산업혁명의 시기부터 계속 이어져온 물에 대한 무관심은, 이제 그 오염의 심각성과 오염에 의한 피해가 인간의 생존에 위협을 주면서 새로운 자각을 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아직 물의 소중함을 깨닫지 못한 이들에 의해 우리의 소중한 자원인 하천과 바다, 그리고 지하수까지 더렵혀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강들 중에서는 낙동강이 그 오염실태가 가장 심각했다. 하지만 우리의 낙동강도 영국의 “템즈강”이나 독일의 “라인강”처럼 그 기적을 충분히 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아직은 낙동강을 위해 일하는 운동권과 강 유역에서 사는 사람들의 작은 활동에 국한 돼 있을 뿐이지만 그 활동범위가 점차 넓혀지고 있기 때문에 희망이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는 생활오수와 공장폐수, 그리고 각종 폐기물들 속에 우리의 미래를 맡겨놓을 수는 없다. 이제는 우리 스스로가 먼저 실천을 할 때이다. 그 실천은 작은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 이 강줄기는 우리의 선조들이 살아왔고 우리의 후손들이 살아갈 곳이기에.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0.29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76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