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본론
1. 문헌고찰(정의,원인,증상,치료,예후)
2. 간호과정 적용(히스토리,일반검사,진단검사,사용약물,간호진단 및 수
행및 평가)
III.결론
(사례요약)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본론
1. 문헌고찰(정의,원인,증상,치료,예후)
2. 간호과정 적용(히스토리,일반검사,진단검사,사용약물,간호진단 및 수
행및 평가)
III.결론
(사례요약)
본문내용
O2를 투여한다.
▷ 편안한 자세를 유지해 준다.
간호수행
▷ 매 V/S시마다 호흡횟수, 리듬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 환자의 흉곽운동을 관찰한다.
▷ 수분균형을 적절히 유지하기 위해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 심호흡, 기침 권장한다.
▷ 체위변경을 격려한다.(호흡곤란을 경감시키는 자세.)
▷ SaO2를 하루 4~5회 check하여 변화를 관찰한다.
▷ 환자의 통증여부를 묻고, 힘들 시 행동을 관찰한다.
▷ 안정하도록 격려한다.
▷ 의사 order에 따라 O2 2L투여한다.
▷ 이동시 휠체어로 이동하도록 설명한다.
평 가
안정된 호흡음을 들리며, 현재 chest pain없다고 말씀하셨다.
O2 remove 하고, R.A. SaO2 상 94~97% check되고 있다.
간호진단
순환장애와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간
호
계
획
목표
▷ 활동증가에 도움되는 운동, 휴식을 반복할 수 있다.
▷ 건강을 증진시키는 활동이 가능하다.
간
호
계
획
▷ 적절한 에너지 유지를 위한 영양 섭취량을 체크한다.
▷ 피로의 원인을 확인한다. (치료, 통증, 투약)
▷ 피로의 원인에 대해 환자가 인식하고 있는 내용을 확인한다.
▷ 환자의 수면양상과 수면시간을 체크한다.
▷ 활동 중에 느끼는 불편이나 통증의 부위와 특징을 체크한다.
▷ 활동에 대한 심호흡을 체크한다. (호흡곤란, 호흡수 등)
▷ 환자의 활동의 조정을 방해하는 신체적 불편을 감소시킨다.
▷ 침상안정 및 활동을 제한하여 적절한 휴식을 제공한다.
간호수행
▷ I/O check 하여 영양 섭취량을 체크하였다.
▷ 피로의 원인이 다리 통증과 dyspnea임을 확인하였다.
▷ 환자 스스로 숨이 차서 활동하기 힘들다고 얘기하였다.
▷ 저녁에 수면 잘 취하나, 낮에는 수면취하지 못하고 앉아있다.
▷ 벽 잡고 조금씩 걷되 자주 쉬도록 하며 활동을 격려하였다.
▷ 활동 후 호흡곤란 여부와 호흡을 체크해 보았다.
▷ SaO2 check하여 활동 시와 안정 시를 비교해 보았다.
▷ Bed rest유지하며, 간간히 world ambulation하도록 격려하였다.
평 가
환자 분 간간히 쉬고 걷고 하시며, 처음보다 한번에 걷는 거리가 늘어났다.
간호진단
활동부족과 관련된 배변장애(변비)
간
호
계
획
목표
▷ 환자는 3일 이내에 변비 증상이 완화되었음을 말로 표현한다.
▷ 환자는 1주일 내에 규칙적으로 배변한다.
간
호
계
획
▷ 환자의 대변 횟수를 사정한다.
▷ 복부 팽만이 있는지, 장음이 감소되었는지 사정한다.
▷ 변비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수행한다.
(충분한 수분 및 고 섬유성 식이 섭취, 적당한 운동, 규칙적 배변)
▷ 복부 불편감 많이 호소 시 완하제를 투여한다.
간호수행
▷ 배변 횟수와 양상을 사정하고 기록했다.
▷ 영양 내용물을 알기 위해 기록된 섭취량을 평가하였다.
▷ 체중을 daily로 check 하였다.
▷ 금기가 아닌 경우 섬유소가 많은 음식과 1500㏄ 이상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한다.
▷ early ambulation하도록 했다.
▷ 규칙적인 식사, 운동, 배변습관을 격려했다.
▷ 환자에게 변비와 식이, 운동, 수분섭취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평 가
규칙적인 배변을 하지 못하나, 2~3일에 1회로 배변하며, 복부 불편감 사라졌다고 말씀하셨다.
III. 결론
1) 사례요약
상기환자는 73세 여자 분으로, 10년 전 건대 병원에서 HTN 진단 받아 PO Tx 하고 계시며, 5~6년 전 Cardiomegaly CHF Dx. 밀양 병원 F/u 하여 PO Tx 하고 있고, 2~3년 전 D.O.E Sx aggravation 되었다.
1주일전 dyspnea, epigastric pain, RUQ pain, palaitation aggravation 되어 밀양 H. Adm. 3월10일 CHF pericardial effusion으로 transfer되어 ER통해 Adm. 하셨다. 입원당시 둔하고 예리한 RUQ pain, 호흡곤란을 호소하셨다. 호흡양상을 살피고 Dr. oder에 따라 O2 2L 흡입하였다.
EKG결과 심방의 섬유성 연축을 의심하였고, echo. 상에서 CHF, pericardial effusion, 폐고혈압 등의 증상을 예상하였다. 증상의 정확한 진단 위해 다시 echo시행하여 Acute pericalditis를 Dx받았다.
현, 이뇨제(lasix)의 사용으로 CHF와 pericardial effusion 치료에 초점을 두었다. 밀양병원에서 DGX. Tx하였고, 본 병원 ER에서 DGX(TDM)결과 1.62(nomal)로 나와 Dr. DGX.불필요하고, 중독 위험성 있다하여 처방되지 않았다. 고혈압이 있어 Monopril이 처방되어 투약중이며, BP 약간의 변화는 있으나 크게 증가되지 않았다. 비투약적 치료로, 저염식이를 제공하며 regular Diet를 시행하나 Mild하게 드시는 편이다. 혈압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나 별 특이사항 없었다. I/O와 BW를 check 하여 전해질균형 등을 파악하였고, 역시 I/O 잘 되었고, BW도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환자분 귀 앞쪽 피부에 간지러움 있다고 하여 Der. consult 보았고, 정확한 진단 위해 Biopsy하였다. 결과 낭종이 있어 제거 후 Bactrohan oint바르고 밴드 붙이고 계시며, 현재 거의 Tx. 완료되셨다.
bed rest를 하여 안정하도록 하고, 조금씩의 ambulation은 권유하여 가끔씩 운동하시는 모습 보인다. grade Ⅱ의 활동정도를 보이며, dyspnea 양상 및 Chest pain 호소 없이 수면 잘 취하시고 지내셨다.
CHF, acute pericarditis madication Tx. 하였으며, CRP는 normalize 되었으나 pericardial effusion은 줄지 않은 상태이다. 3/23일 완쾌된 모습으로 퇴원 하셨다.
** 문헌고찰 **
성인 간호학 / 서문자 외 / 수문사 / 2004년
성인 간호학(호흡기, 순환계, 혈액계) / 고금자 외 / 도서출판 정담 / 2000년
최신 임상 간호 메뉴얼 / 고일선 외 / 현문사 / 2003년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 주용식 / 수문사 / 1990년
▷ 편안한 자세를 유지해 준다.
간호수행
▷ 매 V/S시마다 호흡횟수, 리듬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 환자의 흉곽운동을 관찰한다.
▷ 수분균형을 적절히 유지하기 위해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 심호흡, 기침 권장한다.
▷ 체위변경을 격려한다.(호흡곤란을 경감시키는 자세.)
▷ SaO2를 하루 4~5회 check하여 변화를 관찰한다.
▷ 환자의 통증여부를 묻고, 힘들 시 행동을 관찰한다.
▷ 안정하도록 격려한다.
▷ 의사 order에 따라 O2 2L투여한다.
▷ 이동시 휠체어로 이동하도록 설명한다.
평 가
안정된 호흡음을 들리며, 현재 chest pain없다고 말씀하셨다.
O2 remove 하고, R.A. SaO2 상 94~97% check되고 있다.
간호진단
순환장애와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간
호
계
획
목표
▷ 활동증가에 도움되는 운동, 휴식을 반복할 수 있다.
▷ 건강을 증진시키는 활동이 가능하다.
간
호
계
획
▷ 적절한 에너지 유지를 위한 영양 섭취량을 체크한다.
▷ 피로의 원인을 확인한다. (치료, 통증, 투약)
▷ 피로의 원인에 대해 환자가 인식하고 있는 내용을 확인한다.
▷ 환자의 수면양상과 수면시간을 체크한다.
▷ 활동 중에 느끼는 불편이나 통증의 부위와 특징을 체크한다.
▷ 활동에 대한 심호흡을 체크한다. (호흡곤란, 호흡수 등)
▷ 환자의 활동의 조정을 방해하는 신체적 불편을 감소시킨다.
▷ 침상안정 및 활동을 제한하여 적절한 휴식을 제공한다.
간호수행
▷ I/O check 하여 영양 섭취량을 체크하였다.
▷ 피로의 원인이 다리 통증과 dyspnea임을 확인하였다.
▷ 환자 스스로 숨이 차서 활동하기 힘들다고 얘기하였다.
▷ 저녁에 수면 잘 취하나, 낮에는 수면취하지 못하고 앉아있다.
▷ 벽 잡고 조금씩 걷되 자주 쉬도록 하며 활동을 격려하였다.
▷ 활동 후 호흡곤란 여부와 호흡을 체크해 보았다.
▷ SaO2 check하여 활동 시와 안정 시를 비교해 보았다.
▷ Bed rest유지하며, 간간히 world ambulation하도록 격려하였다.
평 가
환자 분 간간히 쉬고 걷고 하시며, 처음보다 한번에 걷는 거리가 늘어났다.
간호진단
활동부족과 관련된 배변장애(변비)
간
호
계
획
목표
▷ 환자는 3일 이내에 변비 증상이 완화되었음을 말로 표현한다.
▷ 환자는 1주일 내에 규칙적으로 배변한다.
간
호
계
획
▷ 환자의 대변 횟수를 사정한다.
▷ 복부 팽만이 있는지, 장음이 감소되었는지 사정한다.
▷ 변비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수행한다.
(충분한 수분 및 고 섬유성 식이 섭취, 적당한 운동, 규칙적 배변)
▷ 복부 불편감 많이 호소 시 완하제를 투여한다.
간호수행
▷ 배변 횟수와 양상을 사정하고 기록했다.
▷ 영양 내용물을 알기 위해 기록된 섭취량을 평가하였다.
▷ 체중을 daily로 check 하였다.
▷ 금기가 아닌 경우 섬유소가 많은 음식과 1500㏄ 이상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한다.
▷ early ambulation하도록 했다.
▷ 규칙적인 식사, 운동, 배변습관을 격려했다.
▷ 환자에게 변비와 식이, 운동, 수분섭취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평 가
규칙적인 배변을 하지 못하나, 2~3일에 1회로 배변하며, 복부 불편감 사라졌다고 말씀하셨다.
III. 결론
1) 사례요약
상기환자는 73세 여자 분으로, 10년 전 건대 병원에서 HTN 진단 받아 PO Tx 하고 계시며, 5~6년 전 Cardiomegaly CHF Dx. 밀양 병원 F/u 하여 PO Tx 하고 있고, 2~3년 전 D.O.E Sx aggravation 되었다.
1주일전 dyspnea, epigastric pain, RUQ pain, palaitation aggravation 되어 밀양 H. Adm. 3월10일 CHF pericardial effusion으로 transfer되어 ER통해 Adm. 하셨다. 입원당시 둔하고 예리한 RUQ pain, 호흡곤란을 호소하셨다. 호흡양상을 살피고 Dr. oder에 따라 O2 2L 흡입하였다.
EKG결과 심방의 섬유성 연축을 의심하였고, echo. 상에서 CHF, pericardial effusion, 폐고혈압 등의 증상을 예상하였다. 증상의 정확한 진단 위해 다시 echo시행하여 Acute pericalditis를 Dx받았다.
현, 이뇨제(lasix)의 사용으로 CHF와 pericardial effusion 치료에 초점을 두었다. 밀양병원에서 DGX. Tx하였고, 본 병원 ER에서 DGX(TDM)결과 1.62(nomal)로 나와 Dr. DGX.불필요하고, 중독 위험성 있다하여 처방되지 않았다. 고혈압이 있어 Monopril이 처방되어 투약중이며, BP 약간의 변화는 있으나 크게 증가되지 않았다. 비투약적 치료로, 저염식이를 제공하며 regular Diet를 시행하나 Mild하게 드시는 편이다. 혈압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나 별 특이사항 없었다. I/O와 BW를 check 하여 전해질균형 등을 파악하였고, 역시 I/O 잘 되었고, BW도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환자분 귀 앞쪽 피부에 간지러움 있다고 하여 Der. consult 보았고, 정확한 진단 위해 Biopsy하였다. 결과 낭종이 있어 제거 후 Bactrohan oint바르고 밴드 붙이고 계시며, 현재 거의 Tx. 완료되셨다.
bed rest를 하여 안정하도록 하고, 조금씩의 ambulation은 권유하여 가끔씩 운동하시는 모습 보인다. grade Ⅱ의 활동정도를 보이며, dyspnea 양상 및 Chest pain 호소 없이 수면 잘 취하시고 지내셨다.
CHF, acute pericarditis madication Tx. 하였으며, CRP는 normalize 되었으나 pericardial effusion은 줄지 않은 상태이다. 3/23일 완쾌된 모습으로 퇴원 하셨다.
** 문헌고찰 **
성인 간호학 / 서문자 외 / 수문사 / 2004년
성인 간호학(호흡기, 순환계, 혈액계) / 고금자 외 / 도서출판 정담 / 2000년
최신 임상 간호 메뉴얼 / 고일선 외 / 현문사 / 2003년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 주용식 / 수문사 / 1990년
추천자료
심부전(CHF)과 울혈성 심부전증의 간호
울혈성 심부전(CHF)에 대하여
CHF 울혈성심부전 간호과정
CHF 울혈성심부전 문헌고찰
[간호]울혈성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CHF) 케이스 스터디
울혈성 심부전(CHF; Congestive Heart Failure)
CHF(congestive heart failure) 울혈성 심부전증
울혈성 심부전(CHF) - 간호사례 간호과정
Arterial fibrillation(AF, 심방세동) & CHF(울혈성 심부전)case 간호과정
울혈성심부전증(CHF) 환자 case stydy,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