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선사 시대의 문화 전파
▶2. 관동의 문화 지역 구분과 특성
▶3. 주요 씨족의 거주지 이동과 요인
▶4. 철원 천도의 지리적 의의
▶5. 행정 구역의 변천의 의미
▶6. 자원 개발과 환경
▶7. 강릉 단오제와 향토축제
▶8. 강원도 취락 유형과 지리적 요인
▶9. 일제 시대 공업구조의 특색
▶10. 시장 거래 물품 자연환경과의 관계
▶2. 관동의 문화 지역 구분과 특성
▶3. 주요 씨족의 거주지 이동과 요인
▶4. 철원 천도의 지리적 의의
▶5. 행정 구역의 변천의 의미
▶6. 자원 개발과 환경
▶7. 강릉 단오제와 향토축제
▶8. 강원도 취락 유형과 지리적 요인
▶9. 일제 시대 공업구조의 특색
▶10. 시장 거래 물품 자연환경과의 관계
본문내용
성 유지(멸치기름)12.6%,공업약품(카바이트, 글리세린)4.4%,목탄 2.7%등이었다. 정어리 가공에 의한 화학공업의 급격한 성장은 강원도의 공업이 1935년 이후 일본의 전시 산업체제에 편입되었음을 뜻한다.
10. 시장 거래 물품 자연환경과의 관계
관동의 5일장에서 거래된 물품은 모두 34종이며 시장에 따라서 그내용이 상이하다.
거래 물품의 종류가 다양한 곳을 보면 강릉, 양양, 춘천, 원주, 평창, 회양, 정선, 양구, 안협, 평강 등지였으며, 면포, 마포, 이염등이 대부분의 시장에서 거래되었다. 북부 문화지역에서는 잣, 송이, 꿀이, 중부 문화지역에서는종이, 명주, 사기가 남부 문화지역에서는 종이, 토기, 연초가 특화 품목으로 거래되었다. 동해안 문화지역에서는 해산물과 면화를 많이 거래하였다.
10. 시장 거래 물품 자연환경과의 관계
관동의 5일장에서 거래된 물품은 모두 34종이며 시장에 따라서 그내용이 상이하다.
거래 물품의 종류가 다양한 곳을 보면 강릉, 양양, 춘천, 원주, 평창, 회양, 정선, 양구, 안협, 평강 등지였으며, 면포, 마포, 이염등이 대부분의 시장에서 거래되었다. 북부 문화지역에서는 잣, 송이, 꿀이, 중부 문화지역에서는종이, 명주, 사기가 남부 문화지역에서는 종이, 토기, 연초가 특화 품목으로 거래되었다. 동해안 문화지역에서는 해산물과 면화를 많이 거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