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관혼상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의 관혼상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축복해줄 최소한의 사람만을 초대한다. 우리 나라가 회사 게시판이나 인터넷상에 대대적인 홍보를 하는 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신랑 신부가 보내는 초대장에는 참석 여부를 표시하는 반송용 엽서가 들어있는데, 초대장을 받은 사람은 참석 여부를 반드시 연락해주어야 한다.
(2) 예물
한국의 경우 한 설문에 의하면 결혼한 커플 중 95.8%가 예물을 준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비용은 신랑이 324만원, 신부가 198만원을 지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물로 신랑은 신부에게 반지, 목걸이, 귀걸이, 시계 등의 장신구와 화장품, 옷 등을, 신부는 신랑에게 반지, 시계와 양복, 한복 등을 주고받는다.
이와 다르게 일본에서는 예물이라는 것이 따로 없다. 결혼반지를 나눠 끼는 정도이다. 그 대신 사람에 따라서는 상대가 좋아하는 필요한 물건 하나 정도를 선물하기도 한다.
(3) 해외결혼식
한국은 결혼식은 국내에서 하고 신혼여행을 해외로 가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일본의 신랑신부는 단 둘이서 혹은 양가 부모만을 모시고 결혼식을 위해 해외로 나간다. 일본은 물가가 비싸서 하와이나 사이판과 같은 해외에서의 결혼식이 오히려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이다. 이 경우 서양식 예복을 입고 식을 한다. 해외결혼의 경우에도 친한 사람들에게 초대장을 보내는데, 참석을 하지 않아도 좋다는 내용을 포함한다고 한다.
(4) 축의금
일본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축의금을 낸다. 한국의 일반 편지 봉투와는 달리 상당히 일본적 기교를 많이 부린 봉투에 새돈을 바꾸어 낸다. 일본은 좋은 일에는 홀수, 나쁜일에는 짝수의 지폐를 넣는다고 한다. 한국은 거의 홀수이다.
(5) 신랑신부 친구의 스피치
일본 결혼식의 피로연에서는 항상 신랑신부 친구의 스피치가 있다. 학창 시절의 에피소드나 그 신랑 신부와 관련된 여러 가지를 이야기한다. 물론 좋은 이야기만 한다. 그리고 축하의 메시지도 빼놓지 않는다. 간혹 진한 농담이나 부모님등 다른 어른들에게 민망한 스피치를 하기도 해서 신랑 신부를 당황하게 하기도 하지만 미리 신랑 신부에게 어떤 내용의 스피치를 할 계획이라고 넌지시 귀뜸도 해준다고 한다.
(6) 히키데모노
한국에서는 피로연을 대신해 하객들에게 답례품을 주는 것이 일반적이나, 일본에서는 결혼식에 참석해준 하객들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신랑신부가 선물을 마련한다. 보통 과자 세트나 다기 세트를 준비한다. 가격은 보통 5000∼6000엔 선이라고 한다. 하객별로 친구, 친척, 회사동료 등에 따라 다른 선물을 준비하기도 한다. 결혼식이 끝난 후 하객들이 돌아갈 때 신랑 신부, 그리고 양가 부모님이 하객들에게 감사의 인사와 함께 전한다.
(7) 부케
한국에서는 신부의 부케를 신부의 여자친구 중 한명이 받게 된다. 이때 부케를 받는 친구가 다음의 결혼 순서가 된다는 의미이다. 이점은 일본도 같다. 그런데 일본은 남자도 부케를 받는다. 사실 부케는 아니고 신부가 입고 있는 가터를 신랑이 벗겨서 부케처럼 던져 그것을 받는 남자가 다음의 결혼 순서가 된다고 한다.
(8) 결혼 비용 부담
한국에서는 대체로 집은 신랑이 신접살림은 신부가 준비한다. 이밖에도 일반적으로 신랑과 신부가 각자 부담하는 비용과 공동부담 하는 품목이 정해져 있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신접살림, 집 등 결혼해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모든 것들은 반반씩 비용을 부담한다. 특히 일본은 집을 빌리는 시스템이 한국과는 달리 이른바 월세인 경우가 많다. 집세를 한꺼번에 지불할 수 없으니 살림을 전부 신부가 마련한다는 것은 불공평하다는 생각에서인 것 같다. 또한 신랑이 결혼 전 혼자 살고 있었다면 신부가 그 집에 들어가 신랑이 예전에 사용하던 물건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필요한 물건만을 보충하는 식으로 마련한다.
또한 한국에서의 결혼비용은 주택마련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비해 일본에서는 피로연과 선물 준비에 많은 비중을 할애한다.
7. 결론
일본과 한국의 결혼 문화에 대해 알아보면서 느낀 것은 양국의 장단점을 서로 적당히 수용하고 절충한다면 좀 더 이상적인 결혼 문화가 성립되지 않을까 하는 점이었다. 양국 모두 만만치 않은 비용을 소요하고 얼마간의 거품이 있는 점은 공통된 문제점으로 지적될 만 하다. 그러나, 일본의 결혼 문화 중 몇몇은 배워볼 만 하다고 생각된다. 첫째, 정말 가깝고 친근한 그래서 진심으로 축복해 줄만한 사람들을 초대한다는 점이고, 둘째로는 형식적인 예식보다는 여유로운 피로연위주의 결혼식이다. 마지막으로 예물과 혼수비용의 절감과 적절한 분담이 그것이다.
  • 가격9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11.06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88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