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떨림
2. Non-shivering thermogenesis
3. 발열기전의 이해
4. 수분균형의 이해
5. 부종의 생성원리의 이해
6. 체내 K+함량의 조절의 이해
7. 체액량의 조절기전의 이해
8. 산염기 균형의 이해
2. Non-shivering thermogenesis
3. 발열기전의 이해
4. 수분균형의 이해
5. 부종의 생성원리의 이해
6. 체내 K+함량의 조절의 이해
7. 체액량의 조절기전의 이해
8. 산염기 균형의 이해
본문내용
를 위해 Na+ 균형이 정확히 조절되어야 한다. Na+ 함량이 감소하게 되는 경우에는 혈장량이 감소하여 순환장애가 초래되고 Na+ 함량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혈장량이 증가하여 심장에 부담을 주게 된다.
1. 사구체 여과율의 증가
식염섭취량 증가-심박출량 증가-동맥압 상승-사구체 모세혈관압 증가-사구체 여과율 증가-Na+ 배설이 증가
2. 세뇨관의 Na+ 재흡수 감소
알도스테론 분비의 조절
◇ 혈중Na+ 량 감소, 심혈류량 감소, 신동맥압 감소-구심성 소동맥의 벽에 존재하는 Juxtaglomerular cell에서 혈액내로 renin 분비-혈장내 angiotensinogen을 angiotensin Ⅰ으로 변화-angiotensin Ⅰ은 혈장내에 존재하는 전환효소에 의해 angiotensin Ⅱ로 변화-부신피질로 가서 알도스테론의 분비 촉진
◇ angiotensin Ⅱ 1)혈관 수축 작용 2) 부신피질 자극
◇ 알도스테론-네프론의 원위 세뇨관에서 Na+ 재흡수 촉진 → 수분 재흡수 증가
3. 항이뇨 호르몬의 분비
8. 산염기 균형의 이해
<저산소증시 나타나는 산염기 불균형과 그 보상기전>
연수에 있는 호흡중추에 손상을 입어 호흡이 감소되거나, 기도의 폐색, 혹은 폐렴이나 폐실질조직의 병변으로 인해 폐포내 기체와 폐포주위 모세혈관 사이의 기체교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초래되는 것으로 세포내액과 세포외액에 이산화탄소가 축적되어 동맥혈내 Pco2가 현저히 증가하여 pH가 떨어지게 되는 상태로 호흡성 과산증이 나타난다. 그 보상기전은 다음과 같다.
1. 호흡성 조절
환기량을 조절함으로써 폐포내의 Pco2를 조절하여 이차적으로 동맥혈내의 Pco2를
40mmHg로 조절
2. 대사성 조절
세포외액의 정상 pH는 7.35-7.45로 이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화학적 완충작용이 필요하며 체액내에서 가장 중요한 완충작용은 H2CO3-HCO3-에 의해 이루어 진다. 혈장내에서 정상적으로 HCO3-와 H2CO3가 20:1의 비율이 되었을 때 정상 pH를 유지하게 되며 H+의 화학작용에 의하여 pH를 조절하게 된다.
신장은 혈장내 HCO3-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산 염기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CO2의 혈중 농도가 높아지게 되면 H+ 분비가 촉진되어 HCO3-재흡수가 촉진된다. 호흡성 원인으로 Pco3가 증가하는 경우 신장에 의해 HCO3-의 재흡수량이 조절됨으로써 비율을 20:1로 유지해 줄 수 있어서 pH의 변화를 교정해 줄 수 있다.
1. 사구체 여과율의 증가
식염섭취량 증가-심박출량 증가-동맥압 상승-사구체 모세혈관압 증가-사구체 여과율 증가-Na+ 배설이 증가
2. 세뇨관의 Na+ 재흡수 감소
알도스테론 분비의 조절
◇ 혈중Na+ 량 감소, 심혈류량 감소, 신동맥압 감소-구심성 소동맥의 벽에 존재하는 Juxtaglomerular cell에서 혈액내로 renin 분비-혈장내 angiotensinogen을 angiotensin Ⅰ으로 변화-angiotensin Ⅰ은 혈장내에 존재하는 전환효소에 의해 angiotensin Ⅱ로 변화-부신피질로 가서 알도스테론의 분비 촉진
◇ angiotensin Ⅱ 1)혈관 수축 작용 2) 부신피질 자극
◇ 알도스테론-네프론의 원위 세뇨관에서 Na+ 재흡수 촉진 → 수분 재흡수 증가
3. 항이뇨 호르몬의 분비
8. 산염기 균형의 이해
<저산소증시 나타나는 산염기 불균형과 그 보상기전>
연수에 있는 호흡중추에 손상을 입어 호흡이 감소되거나, 기도의 폐색, 혹은 폐렴이나 폐실질조직의 병변으로 인해 폐포내 기체와 폐포주위 모세혈관 사이의 기체교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초래되는 것으로 세포내액과 세포외액에 이산화탄소가 축적되어 동맥혈내 Pco2가 현저히 증가하여 pH가 떨어지게 되는 상태로 호흡성 과산증이 나타난다. 그 보상기전은 다음과 같다.
1. 호흡성 조절
환기량을 조절함으로써 폐포내의 Pco2를 조절하여 이차적으로 동맥혈내의 Pco2를
40mmHg로 조절
2. 대사성 조절
세포외액의 정상 pH는 7.35-7.45로 이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화학적 완충작용이 필요하며 체액내에서 가장 중요한 완충작용은 H2CO3-HCO3-에 의해 이루어 진다. 혈장내에서 정상적으로 HCO3-와 H2CO3가 20:1의 비율이 되었을 때 정상 pH를 유지하게 되며 H+의 화학작용에 의하여 pH를 조절하게 된다.
신장은 혈장내 HCO3-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산 염기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CO2의 혈중 농도가 높아지게 되면 H+ 분비가 촉진되어 HCO3-재흡수가 촉진된다. 호흡성 원인으로 Pco3가 증가하는 경우 신장에 의해 HCO3-의 재흡수량이 조절됨으로써 비율을 20:1로 유지해 줄 수 있어서 pH의 변화를 교정해 줄 수 있다.
추천자료
청소년 비만과 운동요법
현대여성을 위한 운동
생활속의 영양 (운동과 영양)
재가 노인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건강을 위한 운동선택
2011년 2학기 운동과영양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기초치료학] 호흡운동에 관해
[물리치료] 운동치료가 생리학적으로 미치는 영향
평생체육론(노인을 위한 운동)Exercise for Senior Adults
비만관리 방안(식이요법&운동요법)
아동복지론)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서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의 특정에 대해 ...
보건교육B형 - 중년 여성남성의 운동증진교육 선택대상에 대한 인구사회적 특성 그린의 PRE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