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Ⅱ. 이론적 배경
1. 핵심인재의 개념
2. 인적자원의 개념
3. 인적자원 개발의 필요성
Ⅲ. 한국 기업의 인재육성 동향과 문제점
1. 한국 기업의 인재육성 동향
2. 한국의 인재육성 정책의 문제점
Ⅳ. 핵심인재 육성을 위한 과제
1. 핵심인재육성을 위한 국가 정책의 과제
2. 핵심인재육성을 위한 대학의 과제
3. 핵심인재육성을 위한 기업의 과제
Ⅴ. 결 론
(참고문헌)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Ⅱ. 이론적 배경
1. 핵심인재의 개념
2. 인적자원의 개념
3. 인적자원 개발의 필요성
Ⅲ. 한국 기업의 인재육성 동향과 문제점
1. 한국 기업의 인재육성 동향
2. 한국의 인재육성 정책의 문제점
Ⅳ. 핵심인재 육성을 위한 과제
1. 핵심인재육성을 위한 국가 정책의 과제
2. 핵심인재육성을 위한 대학의 과제
3. 핵심인재육성을 위한 기업의 과제
Ⅴ.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 비용 및 이직에 따른 손실 등이 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인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자사가 요구하는 인재 유형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핵심인재와 관련된 인사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할 필요가 있다. 핵심인재를 선발하고 승진, 승격, 인사평가, 육성을 하는 과정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여 인재의 성장 프로파일을 제작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인사 전반에 걸쳐 의사결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데 활용된다.
넷째, 핵심인재 선발기준요소에 대한 타당성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핵심인재를 선발하기 위해서 활용하는 모든 기준들이 과연 타당성이 있는가를 분석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성과정보와 성장잠재력을 근거로 핵심인재를 선발하였다면, 선발된 인재가 높은 성과, 지속적인 성과를 내는지 확인 하여야 한다. 핵심인재를 선발하는 목적은 높은 수준의 경영기여를 가정하는 것이다. 만일 선발요소로 고려하였으나 그 요소가 경영 기여도와 무관하다면, 채용을 할 때 진단할 필요가 없다. 선발요소가 갖는 성과예언력에 대한 분석은 핵심인재는 물론이고 일반직원에 대한 선발에 있어서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매우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핵심인재의 육성 요구에 맞는 맞춤형 육성방법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핵심인재는 조직의 미래를 결정짓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재이다. 높은 보수의 비용을 들여 채용을 한 후 핵심인재의 성장요구에 맞는 육성지원을 하지 못한다면, 인적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핵심인재와 같이 경영전략과 연계되어있는 역할과 직무를 수행하는 직원에 대해서는 보다 차별적이고 개인의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교육이 실시될 필요가 있다.
Ⅴ. 결 론
이상에서 핵심인재와 인적자원의 개념을 설명하고,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인적자원의 개발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우리나라 기업의 인재육성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핵심인재 육성과 관리방안을 제시 하였다.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 기업의 경쟁력은 유능한 인적자원을 어떻게 육성하고 보유하는가에 달려있다. 우리나라의 많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경우 핵심인재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많은 대기업들이 핵심인재를 발굴해 내고 직원들을 우수한 인재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등의 많은 투자를 하고 있지만, 국내의 대학 졸업자의 취업난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국내의 공급자 위주의 대학교육과 국가 정책의 문제로 인재의 수급 불일치로 인해 기업의 인력 확보를 경력자를 영입하거나 해외의 외부인재를 영입하는 것에 의존하고 있다. 핵심인재의 육성을 위해 국가는 인적자원에 대한 규제위주의 정책을 완화해야 하며, 대학은 공급자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현장지향의 실용교육을 강화하고 기업은 대학교육에 의해 잘 길러진 인재를 채용하여 체계적이면서 과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관리할 수 있는 조직문화 여건과 기반을 조성하고, 이를 위해 적극적인 투자를 해야 한다.
기업, 대학, 정부, 민간기관등이 제각기 추진하고 있는 직업교육 관련 프로그램들을 통합연계하여 경력전환, 신산업 분야의 지식 재충전을 원하는 재직자나, 실무 중심의 교육을 원하는 신규 인력의 재교육 니즈를 충족시키고, 교육주체들이 필요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정부가 이들을 연계하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의 사회적 재충전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국내 기업의 국가 경쟁력은 급상승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참고문헌 >
1. “기업 핵심인력 유출과 대책”, 삼성 경제 연구소, CEO Information, 제 295호
2. 김원경, “인적자원관리론”, 형설출판사, 2002년3월
3. 김은환, 한창수, “핵심인재 확보양성전략”, 삼성 경제 연구소, CEO Information 제 353호
4. 남중헌,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한 시스템설계 방법론에 관한 연 구”, 대한경영학회 논문, 17권, 2004년12월
5. 박현, 장종회, 신원동, “대한민국 핵심인재”, 해바라기, 2004년 10월
6. “선진기업에서 배우는 인재육성 전략”, 현대경제연구원, PBR2003년 3월
7. 안철수, “핵심인재”, 포브스 코리아, 16호, 2004년 5월 15일자
8. 이석재, 이재영, 정재창 , “최고의 인재를 찾는 방법 최고의 인재가 되는 방법”,
김앤김북스, 2003년
9. 이석재, “Succession planning을 통한 핵심인재 육성과 관리방안”, 한국인사관리협 회, 제24화 한국인재개발 인사혁신 대회 자료집, 2003년
10. 이석재, 월간인재경영, 인크루트(주), 2005년 5월호
11. “인재육성전략”, 매일경제, 2005년1월 5일자
12.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긴급과제”, 삼성경제연구소, 2001년 9월 11일
13. 정동성, 우덕삼, “한국기업의 교육훈련시스템 유형과 성과에 관한 연구”
14. 정정진, “인적자원관리”, 법문사, 1998년 2월
15. 화학저널 2002년 12월 17일자
16. Jay B. Barney, “Gaining and Sustaining Competitive Advantage”, Prentice Hall, 2001년
17. http://daejeon.scout.co.kr/
18. http://home.pusan.ac.kr/%7Ecute1004/samsung.htm
19. http://kowon.dongseo.ac.kr/
20. http://search.daum.net/
21. http://search.naver.com/
22. http://search.yahoo.co.kr/
23. http://www.daba.or.kr/
24. http://www.mando.com/
25. http://www.mk.co.kr/
26. http://www.incruit.com/
27. http://www.payopen.co.kr
28. http://www.seri.org/db/dbCeoV.html?s_menu=0102&pub_key=db20020619001
셋째, 핵심인재와 관련된 인사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할 필요가 있다. 핵심인재를 선발하고 승진, 승격, 인사평가, 육성을 하는 과정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여 인재의 성장 프로파일을 제작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인사 전반에 걸쳐 의사결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데 활용된다.
넷째, 핵심인재 선발기준요소에 대한 타당성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핵심인재를 선발하기 위해서 활용하는 모든 기준들이 과연 타당성이 있는가를 분석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성과정보와 성장잠재력을 근거로 핵심인재를 선발하였다면, 선발된 인재가 높은 성과, 지속적인 성과를 내는지 확인 하여야 한다. 핵심인재를 선발하는 목적은 높은 수준의 경영기여를 가정하는 것이다. 만일 선발요소로 고려하였으나 그 요소가 경영 기여도와 무관하다면, 채용을 할 때 진단할 필요가 없다. 선발요소가 갖는 성과예언력에 대한 분석은 핵심인재는 물론이고 일반직원에 대한 선발에 있어서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매우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핵심인재의 육성 요구에 맞는 맞춤형 육성방법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핵심인재는 조직의 미래를 결정짓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재이다. 높은 보수의 비용을 들여 채용을 한 후 핵심인재의 성장요구에 맞는 육성지원을 하지 못한다면, 인적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핵심인재와 같이 경영전략과 연계되어있는 역할과 직무를 수행하는 직원에 대해서는 보다 차별적이고 개인의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교육이 실시될 필요가 있다.
Ⅴ. 결 론
이상에서 핵심인재와 인적자원의 개념을 설명하고,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인적자원의 개발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우리나라 기업의 인재육성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핵심인재 육성과 관리방안을 제시 하였다.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 기업의 경쟁력은 유능한 인적자원을 어떻게 육성하고 보유하는가에 달려있다. 우리나라의 많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경우 핵심인재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많은 대기업들이 핵심인재를 발굴해 내고 직원들을 우수한 인재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등의 많은 투자를 하고 있지만, 국내의 대학 졸업자의 취업난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국내의 공급자 위주의 대학교육과 국가 정책의 문제로 인재의 수급 불일치로 인해 기업의 인력 확보를 경력자를 영입하거나 해외의 외부인재를 영입하는 것에 의존하고 있다. 핵심인재의 육성을 위해 국가는 인적자원에 대한 규제위주의 정책을 완화해야 하며, 대학은 공급자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현장지향의 실용교육을 강화하고 기업은 대학교육에 의해 잘 길러진 인재를 채용하여 체계적이면서 과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관리할 수 있는 조직문화 여건과 기반을 조성하고, 이를 위해 적극적인 투자를 해야 한다.
기업, 대학, 정부, 민간기관등이 제각기 추진하고 있는 직업교육 관련 프로그램들을 통합연계하여 경력전환, 신산업 분야의 지식 재충전을 원하는 재직자나, 실무 중심의 교육을 원하는 신규 인력의 재교육 니즈를 충족시키고, 교육주체들이 필요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정부가 이들을 연계하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의 사회적 재충전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국내 기업의 국가 경쟁력은 급상승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참고문헌 >
1. “기업 핵심인력 유출과 대책”, 삼성 경제 연구소, CEO Information, 제 295호
2. 김원경, “인적자원관리론”, 형설출판사, 2002년3월
3. 김은환, 한창수, “핵심인재 확보양성전략”, 삼성 경제 연구소, CEO Information 제 353호
4. 남중헌,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한 시스템설계 방법론에 관한 연 구”, 대한경영학회 논문, 17권, 2004년12월
5. 박현, 장종회, 신원동, “대한민국 핵심인재”, 해바라기, 2004년 10월
6. “선진기업에서 배우는 인재육성 전략”, 현대경제연구원, PBR2003년 3월
7. 안철수, “핵심인재”, 포브스 코리아, 16호, 2004년 5월 15일자
8. 이석재, 이재영, 정재창 , “최고의 인재를 찾는 방법 최고의 인재가 되는 방법”,
김앤김북스, 2003년
9. 이석재, “Succession planning을 통한 핵심인재 육성과 관리방안”, 한국인사관리협 회, 제24화 한국인재개발 인사혁신 대회 자료집, 2003년
10. 이석재, 월간인재경영, 인크루트(주), 2005년 5월호
11. “인재육성전략”, 매일경제, 2005년1월 5일자
12.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긴급과제”, 삼성경제연구소, 2001년 9월 11일
13. 정동성, 우덕삼, “한국기업의 교육훈련시스템 유형과 성과에 관한 연구”
14. 정정진, “인적자원관리”, 법문사, 1998년 2월
15. 화학저널 2002년 12월 17일자
16. Jay B. Barney, “Gaining and Sustaining Competitive Advantage”, Prentice Hall, 2001년
17. http://daejeon.scout.co.kr/
18. http://home.pusan.ac.kr/%7Ecute1004/samsung.htm
19. http://kowon.dongseo.ac.kr/
20. http://search.daum.net/
21. http://search.naver.com/
22. http://search.yahoo.co.kr/
23. http://www.daba.or.kr/
24. http://www.mando.com/
25. http://www.mk.co.kr/
26. http://www.incruit.com/
27. http://www.payopen.co.kr
28. http://www.seri.org/db/dbCeoV.html?s_menu=0102&pub_key=db20020619001
추천자료
전략적인적자원관리
인적자원, 회사조직내 인사이동에 대해
[인적자원개발론]지식기반사회 인간자원개발이 갖는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인적자원관리 개요 및 인사고과
[산업별]산업별 인적자원개발시스템, 산업별 ERP(전사적자원관리), 산업별 기업간전자상거래,...
인적자원 확보전략에서 내부모집의 장점과 단점을 서술해 보시오
전략적인적자원개발론
인적자원관리 - 각 기업의 인재상과 선발제도
[정보화][손해보험사위험관리]손해보험사위험관리의 정보화, 자원봉사업무관리의 정보화, 기...
[중소기업 영향][중소기업]중소기업 핵심역량 영향, 중소기업 은행합병 영향, 중소기업 인적...
[기업관리][기업][비정규근로자][임금][인적자원][조직][인사][경영][갈등]기업비정규근로자...
[국가 비전][국가 우주개발 비전][국가 과학기술시스템 비전][국가 인적자원개발 비전][국가 ...
인적자원관리란 무엇이며 그 중요성에 관하여 서술.
인적개발의 중요성 및 “인적자원개발은 기업의 교육훈련이다.”라고 생각하는 이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