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1. 체계화 원칙: 시장 경계선을 재구축하라.
2. 체계화 원칙: 숫자가 아닌 큰 그림에 포커스 하라.
3. 체계화 원칙: 비 고객을 찾아라.
4. 체계화 원칙: 정확한 전략적 시퀀스를 만들어라.
결 론
참고 자료
1. 체계화 원칙: 시장 경계선을 재구축하라.
2. 체계화 원칙: 숫자가 아닌 큰 그림에 포커스 하라.
3. 체계화 원칙: 비 고객을 찾아라.
4. 체계화 원칙: 정확한 전략적 시퀀스를 만들어라.
결 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트작을 통해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국내의 온라인 게임시장을 양분하고 있던 전략시뮬레이션과 MMORPG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의 양립 구도를 깨고 캐주얼 게임에서의 대성공 신화를 이루어 내었다. <카트라이더>는 작년 연말을 기준으로 지난 98년 이후 1위를 고수해온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스타크래프트>를 제쳤으며, 7년 아성의 MMORPG 게임 <리니지>의 동시접속자 수를 따라잡았다. 현재 카트라이더는 아이템 판매 등을 통해 연간 600억원 이상의 매출이 기대되고 있다. 넥슨의 마케팅 사업본부장은 한 경제주간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러한 성공의 요인으로 10년간의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캐주얼 게임의 장점을 살려 온 점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었던 게임산업에 적합한 인재구성을 꼽았다. 넥슨은 눈 앞의 조그만 이익을 위해 기존의 성공 장르로 투자를 선회하지 않았으며, 10년간 꾸준하게 캐주얼 게임이라는 한 가지 장르에 대한 R&D에 집중했고, 창의력 있는 인재를 꾸준히 확보해 온 결과 새로운 가치-배우기 쉽고 짧은 시간을 활용해 가볍게 즐길 수 있는-를 창출해 결국 국내 게임 시장 제패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이다. 빨리빨리 마인드에 익숙한 우리 기업들은 당장의 Output만 쫓고 있는 것이 아닌지 반성해볼 필요가 있다. R&D, 인재확보 및 개발 등 기업의 투입 자원을 확충하여 자연스럽게 Output을 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일이야 말로 새로운 절대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는 방법일 것이다.
<참고 자료>
[온라인 게임 시장에서의 블루오션, 정통부 자료 2005.09.08]
[게임업체 넥슨 '대박' 행진, 매일경제 2005.05.03]
[넥슨, 코카콜라와 '카트라이더' 공동마케팅, 머니투데이 2005.03.24]
[‘세계 R&D기업 블루오션으로 간다’, 한국경제 2005.06.22]
[네이버 백과사전 (블루오션) http://100.naver.com/100.php?id=796003]
['블루오션전략' 교보문고, 김위찬, 르네 마보안 지음]
[‘세계 R&D기업 블루오션으로 간다’ , 한국경제 2005.06.22]
[‘레드오션서 버텨야 블루오션 있다’, 헤럴드경제 2005.06.24]
[‘끝없는 기술개발…블루오션 창출’, 2005.06.24 , 헤럴드경제]
[국내외 인터넷비즈니스 선도기업의 전략 및 시사점, 장영,박상일 1999.12]
<참고 자료>
[온라인 게임 시장에서의 블루오션, 정통부 자료 2005.09.08]
[게임업체 넥슨 '대박' 행진, 매일경제 2005.05.03]
[넥슨, 코카콜라와 '카트라이더' 공동마케팅, 머니투데이 2005.03.24]
[‘세계 R&D기업 블루오션으로 간다’, 한국경제 2005.06.22]
[네이버 백과사전 (블루오션) http://100.naver.com/100.php?id=796003]
['블루오션전략' 교보문고, 김위찬, 르네 마보안 지음]
[‘세계 R&D기업 블루오션으로 간다’ , 한국경제 2005.06.22]
[‘레드오션서 버텨야 블루오션 있다’, 헤럴드경제 2005.06.24]
[‘끝없는 기술개발…블루오션 창출’, 2005.06.24 , 헤럴드경제]
[국내외 인터넷비즈니스 선도기업의 전략 및 시사점, 장영,박상일 1999.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