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참고문헌 1. 왕의 일기, 일성록과 정조의 리더십ㅣ김흥중 지음
참고문헌 2. 리더라면 정조처럼 l 김준혁 지음
참고문헌 3. CEO, 정조에게 경영을 묻다 ㅣ 김용관 지음
참고문헌 2. 리더라면 정조처럼 l 김준혁 지음
참고문헌 3. CEO, 정조에게 경영을 묻다 ㅣ 김용관 지음
본문내용
조선 후기 개혁 군주 정조는 모든 사람이 소통하여 근원적 不信을 해소하고, 서로를 돕고 살아갈 수 있는 시대를 만들어 가고자 하였다. 국왕으로서 사적인 이익을 철저히 배제하고 오로지 공적 이익만 추구하며, 누구보다 따스하면서도 친인척과 측근들의 잘못은 추상같이 다스리는 위엄도 보여주었다.
특히 그는 군주로서 엄청난 양의 政務를 소화하면서도 학문에 소홀하지 않았고, 신체 단련에도 충실하였다. 길을 나서서는 스스로 공부한 醫學지식을 가난한 백성들을 위해 사용하며, 외세의 침입을 막고 강력한 군사력을 키우기 위해 스스로 병법과 무예를 익혔다.
이러한 솔선수범과 疏通의 리더십은 관료와 양반 사대부 그리고 백성들을 감동시켜 우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진경문화의 시대를 만들었다. 이러한 이유로 정조는
스스로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내고자 하는 이들의 모델이 되고는 한다.
정조는 조선 역사상 매우 특별한 신궁이었다. 그가 활을 쏠 때면 50발 중 49발을 쏘아 명중시켰다고 전해진다. 그런데 마지막 한 발은 과녁을 보고 쏘지 않고 허공으로 날렸는데, 초정 박제가는 정조가 49발을 쏜 이유가 겸양하기 위함이라고
전한다.
혹자는 주역에 통달했던 정조가 49발의 화살에 자신의 개혁 의도를 담았다고 보기도 한다. 주역에서 점을 칠 때 보통 시초라고 하는 50개의 산가지를 이용하는데, 그 중 1개는 太極을 상징하기에 사용하지 않고, 49개의 산가지만 가지고 세상의 이치와 변화의 숨은 뜻을 찾아낸다는 것이다.
정조의 공부법 역시 유명하다. 정조는 천성적으로 책을 통해 智識을 얻기를 좋아한 측면도 있지만, 스스로 엄청난 노력도 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반드시 책을 두 번씩 보았다고 한다.
일단 책의 전체적인 내용을 한 번 익히고, 두 번째로 다시 정독해서 그 책이 가진 내용을 깊이 파악하는 방법을 취한 것이다. 또한 多讀보다 정밀하고 치밀하게 읽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여겼다.
또한 신기한 내용을 보려고 힘쓸 것이 아니라 평상적인 내용을 보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정밀하고 치밀하게 읽다 보면 절로 환히 깨닫는 곳이 있고, 평상적인 내용 중에 자연히 오묘한 부분이 들어 있다는 생각이 정조 독서법의 근간인
것이다.
그는 신하들에게 뜻은 배움으로 인하여 확립되고, 이치는 학문으로 인하여 밝아진다고 누누이 강조하였다. 독서의 공부에 힘입지 않고도 뜻이 확립되고 이치에 밝은 사람이 있다는 말을 들어보지 못했다는 말로 독서의 중요성을 전하기도
했다.
세상의 이치를 알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하려면 반드시 실용적인 독서를 해야 한다는 것이 정조의 信念이었던 것이다. 정조처럼 역사 공부를 기본으로 삼아 실용적인 책을 선택하고 그 책을 정밀하게 읽고 기록하여 그 지식을 세상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로 리더의 독서법이고 공부법인 것이다.
특히 그는 군주로서 엄청난 양의 政務를 소화하면서도 학문에 소홀하지 않았고, 신체 단련에도 충실하였다. 길을 나서서는 스스로 공부한 醫學지식을 가난한 백성들을 위해 사용하며, 외세의 침입을 막고 강력한 군사력을 키우기 위해 스스로 병법과 무예를 익혔다.
이러한 솔선수범과 疏通의 리더십은 관료와 양반 사대부 그리고 백성들을 감동시켜 우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진경문화의 시대를 만들었다. 이러한 이유로 정조는
스스로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내고자 하는 이들의 모델이 되고는 한다.
정조는 조선 역사상 매우 특별한 신궁이었다. 그가 활을 쏠 때면 50발 중 49발을 쏘아 명중시켰다고 전해진다. 그런데 마지막 한 발은 과녁을 보고 쏘지 않고 허공으로 날렸는데, 초정 박제가는 정조가 49발을 쏜 이유가 겸양하기 위함이라고
전한다.
혹자는 주역에 통달했던 정조가 49발의 화살에 자신의 개혁 의도를 담았다고 보기도 한다. 주역에서 점을 칠 때 보통 시초라고 하는 50개의 산가지를 이용하는데, 그 중 1개는 太極을 상징하기에 사용하지 않고, 49개의 산가지만 가지고 세상의 이치와 변화의 숨은 뜻을 찾아낸다는 것이다.
정조의 공부법 역시 유명하다. 정조는 천성적으로 책을 통해 智識을 얻기를 좋아한 측면도 있지만, 스스로 엄청난 노력도 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반드시 책을 두 번씩 보았다고 한다.
일단 책의 전체적인 내용을 한 번 익히고, 두 번째로 다시 정독해서 그 책이 가진 내용을 깊이 파악하는 방법을 취한 것이다. 또한 多讀보다 정밀하고 치밀하게 읽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여겼다.
또한 신기한 내용을 보려고 힘쓸 것이 아니라 평상적인 내용을 보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정밀하고 치밀하게 읽다 보면 절로 환히 깨닫는 곳이 있고, 평상적인 내용 중에 자연히 오묘한 부분이 들어 있다는 생각이 정조 독서법의 근간인
것이다.
그는 신하들에게 뜻은 배움으로 인하여 확립되고, 이치는 학문으로 인하여 밝아진다고 누누이 강조하였다. 독서의 공부에 힘입지 않고도 뜻이 확립되고 이치에 밝은 사람이 있다는 말을 들어보지 못했다는 말로 독서의 중요성을 전하기도
했다.
세상의 이치를 알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하려면 반드시 실용적인 독서를 해야 한다는 것이 정조의 信念이었던 것이다. 정조처럼 역사 공부를 기본으로 삼아 실용적인 책을 선택하고 그 책을 정밀하게 읽고 기록하여 그 지식을 세상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로 리더의 독서법이고 공부법인 것이다.
추천자료
리더십을 통한 기업경영의 중요성과 국내 기업의 성공적 리더십 사례(A+자료)
사우스웨스트항공의 마케팅과 차별화전략
청계천복원사업
교육심리학 학교교육과 정신건강
조직행동, 가상의팀을 만들어 팀의 행동과 성격분석
[독후감/서평]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최신A+) [지금우리에게필요한것은독후감][지금우...
[2016최신A+자료]칭기즈칸생애와리더쉽[칭기스칸에관한레포트][내가존경하는인물칭기즈칸][칭...
A+ 자료_조선 세종대왕의 리더십에 대하여 논하여라
A+ 자료 인문학과 민주주의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논하여라
A+ 자료_초거대 AI 서비스가 가져올 변화들에 대하여 논하여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