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의도성과 의미가 내재하고 있는 반면, 정보는 주로 외형적인 상징(Symbol)으로 구성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때문에 정보의 형태를 일컬어 \'상징의 집합 (a set of symbols)\'으로 정의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한국정보관리학회. 1995. 정보학의 실제. 삼아인쇄사. 서울. Pg 14~15.
@요약@
1. 정보의 정의
* 미국의 정보과학자 돌스 : 정보란 행동의 방침을 결정하는데 있어 미리 알아두어야 할 일체의 사항을 망라한 것
* 일본의 다다가즈오 : 정보는 행위에 우선하여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모든 지식
* 옥스포드 사전 : 어떤 주제나 사실에 관하여 전달되는 지식.
* webster 사전 : 다른 사람에 의하여 전달되거나, 개인의 연구와 발명에 의하여 얻어지는 지식, 또는 특수한 사건이나 상태 등에 관한 지식.
이상에서 살펴 본 정의 : 그것이 주관적이든 객관적이든 간에 \"정보는 지식이다.\"
2. 정보 요구.
정보요구는 크게 셋으로 나눈다.
1. 소급적(restospective)요구.
2. 최신정보주지 (current awareness)의 요구
3. 일상 업무 수행을 위한 요구.
최신정보주지의 정보요구는 현상인식을 위한 정보요구로서 최신의 정보를 추구할 필요가 있는 연구자에게 중요하다.
소급적 정보요구는 과거의 정보를 망라 적으로 탐색하는 경우에 일어난다.
일상 업무 수행을 위한 정보요구는 새로운 실험장치의 조작법과 같은 것이다. 다른 두 가지 요구보다 명백히 특정화되어 있는 요구이다.
@정보요구의 레벨
표현되는 요구 : 수요 (demands)
그 배후에 존재하여 직접 표현되지 않는 요구 : 요구(needs)
Brittain은 \"요구\"는 다음과 같은 요구가 복잡하게 조합된 개념이라 말하고 있다.
1. 이용자에 의하여 결국은 표현되는 요구
2. 이용자에 의하여 표현되지 않는 요구
3. 표현되든지, 표현되지 않든지 간에 현재 가지고 있는 요구
4. 표현되든지, 되지 않든지 간에 장차 가지게 될 잠재적 요구
Line은 정보요구를 명백히 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용과 수요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거기서 의도적 요구(intended needs)와 의도하지 않는 요구(unintented needs)를 주의 깊게 구별함으로서, 아직 알 수 없는 요구를 밝혀 나가야 할 것이라고 진술하고 있다.
3. 정보와 지식의 관계
Machlup은 \'지식이란 정보들이 집합된 상호 관련적 체계로서 기본적인 인과적 구조가 갖추어진 형태\'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지식의 개념에는 이미 정보의 속성이 내재되어 있다.
정보는 알려진 것
지식은 사고되어지는 것으로 구분.
정보는 데이터, 지식 과 구별되며, 이들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하나의 요소들이라 볼 수 있다.
*사실 : 실 상황에서 나타난 무질서한 상태로서 또는 남에게 관찰되지 않은 상태로서 존재하고 있는 그 자체 또는 상황.
*데이터 : 정보를 만들어 내기 위하여 관찰이나 실험을 통해 획득되고, 발생되고, 알려진 가공되지 않은 자료.
*정보 : 어떤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식, 사실 혹은 데이터들의 집합으로서 실제 행동이나 활동에 활용될 수 있는 자료.
*지식 : 아무렇게나 산재되어 있는 개개의 정보가 아니라, 어떤 의도나 목적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체계화되고, 일반화되어 안정된 정보.
McDonough는 정보를 \'특정 상황에 놓여진 가치가 평가된 데이터\'라고 정의
내용의 확실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데이터, 정보, 지식을 구분하였다.
*지식 : 자료 + 일반적 상황에서의 평가
*정보 : 자료 + 특정 상황에서의 평가
*데이터 : 평가되지 않는 메시지
한국정보관리학회. 1995. 정보학의 실제. 삼아인쇄사. 서울. Pg 14~15.
@요약@
1. 정보의 정의
* 미국의 정보과학자 돌스 : 정보란 행동의 방침을 결정하는데 있어 미리 알아두어야 할 일체의 사항을 망라한 것
* 일본의 다다가즈오 : 정보는 행위에 우선하여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모든 지식
* 옥스포드 사전 : 어떤 주제나 사실에 관하여 전달되는 지식.
* webster 사전 : 다른 사람에 의하여 전달되거나, 개인의 연구와 발명에 의하여 얻어지는 지식, 또는 특수한 사건이나 상태 등에 관한 지식.
이상에서 살펴 본 정의 : 그것이 주관적이든 객관적이든 간에 \"정보는 지식이다.\"
2. 정보 요구.
정보요구는 크게 셋으로 나눈다.
1. 소급적(restospective)요구.
2. 최신정보주지 (current awareness)의 요구
3. 일상 업무 수행을 위한 요구.
최신정보주지의 정보요구는 현상인식을 위한 정보요구로서 최신의 정보를 추구할 필요가 있는 연구자에게 중요하다.
소급적 정보요구는 과거의 정보를 망라 적으로 탐색하는 경우에 일어난다.
일상 업무 수행을 위한 정보요구는 새로운 실험장치의 조작법과 같은 것이다. 다른 두 가지 요구보다 명백히 특정화되어 있는 요구이다.
@정보요구의 레벨
표현되는 요구 : 수요 (demands)
그 배후에 존재하여 직접 표현되지 않는 요구 : 요구(needs)
Brittain은 \"요구\"는 다음과 같은 요구가 복잡하게 조합된 개념이라 말하고 있다.
1. 이용자에 의하여 결국은 표현되는 요구
2. 이용자에 의하여 표현되지 않는 요구
3. 표현되든지, 표현되지 않든지 간에 현재 가지고 있는 요구
4. 표현되든지, 되지 않든지 간에 장차 가지게 될 잠재적 요구
Line은 정보요구를 명백히 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용과 수요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거기서 의도적 요구(intended needs)와 의도하지 않는 요구(unintented needs)를 주의 깊게 구별함으로서, 아직 알 수 없는 요구를 밝혀 나가야 할 것이라고 진술하고 있다.
3. 정보와 지식의 관계
Machlup은 \'지식이란 정보들이 집합된 상호 관련적 체계로서 기본적인 인과적 구조가 갖추어진 형태\'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지식의 개념에는 이미 정보의 속성이 내재되어 있다.
정보는 알려진 것
지식은 사고되어지는 것으로 구분.
정보는 데이터, 지식 과 구별되며, 이들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하나의 요소들이라 볼 수 있다.
*사실 : 실 상황에서 나타난 무질서한 상태로서 또는 남에게 관찰되지 않은 상태로서 존재하고 있는 그 자체 또는 상황.
*데이터 : 정보를 만들어 내기 위하여 관찰이나 실험을 통해 획득되고, 발생되고, 알려진 가공되지 않은 자료.
*정보 : 어떤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식, 사실 혹은 데이터들의 집합으로서 실제 행동이나 활동에 활용될 수 있는 자료.
*지식 : 아무렇게나 산재되어 있는 개개의 정보가 아니라, 어떤 의도나 목적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체계화되고, 일반화되어 안정된 정보.
McDonough는 정보를 \'특정 상황에 놓여진 가치가 평가된 데이터\'라고 정의
내용의 확실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데이터, 정보, 지식을 구분하였다.
*지식 : 자료 + 일반적 상황에서의 평가
*정보 : 자료 + 특정 상황에서의 평가
*데이터 : 평가되지 않는 메시지
추천자료
지식 정보화 시대 청소년과 학교교육의 방향
지식과 정보
지식 정보사회와 농업기술의 발전방향
불완전한 지식과 정보 - 선무당이 사람잡는다
정보와 지식이란 무엇인가?
지식경영 정보시스템 사례분석 및 시사점
정보화 지식기반사회와 교육
지식 정보사회의 개념,정의, 특성 및 문제점
정보사회와 지식사회의 개념과 산업사회와의 차별점
지식 정보사회에서 학교교육의 발전방향 조사분석
이미 전개되고 있는 디지털 지식 정보시대의 바람직한 리더십에 대해
인터넷시대에서 정보와 지식의 차이
식생활에 관한 단편적인 지식이나 정보가 범람하고 있는 현실에서 영양교육이 왜 중요한지 그...
지식 정보화 사회에 맞는 학교 인재 양성을 위한 노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