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산능력의 기본적 개념
2. 설비계획의 절차
3. 설비입지와 입지결정요인
4. 입지결정기법
5. 국제입지
2. 설비계획의 절차
3. 설비입지와 입지결정요인
4. 입지결정기법
5. 국제입지
본문내용
생산능력의 기본적 개념
(1) 생산능력의 정의와 측정■ 생산능력(capacity)의 정의
- 생산능력이란 최대산출률, 즉 생산시스템이 일정한 기간
동안 제공할 수 있는 최대산출량
■ 생산능력의 측정
- 생산능력은 기간당 산출량의 단위로 측정
· 맥주공장이나 정유공장 : 배럴(barrel)/일
· 자동차공장 : 대/년
· 제철공장 : 톤(ton)/년
· 발전소 : 메가와트(megawatt)/년
- 생산능력이 제품믹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우
· 레스토랑:일당 서비스할 수 있는 고객의 수나 일당 매출액
· 항공사:월간 가용 좌석-마일(seat-mile)수
· 가능한 공통의 물리적인 단위를 찾아내고, 여의치 못한
경우에는 매출액으로 생산능력을 표시
공칭생산능력(公稱生産能力:nominal capacity)
- 정상적인 가동정책하의 일정 기간당 최대산출량(잔업이나
추가적인 하청 등은 불포함)
■ 피크생산능력과 유지생산능력
- 피크생산능력이란 잔업이나 임시 추가고용과 같은
일시적인 방편을 사용하여 단지 짧은 기간 동안만 유지되는
생산능력
- 유지생산능력은 정상적인 방법으로 오랫동안 계속 유지될
수 있는 생산능력
- 발전소, 식당, 전화국과 같은 서비스산업에서는 피크생산
능력이 유지생산능력보다 더 중요함.
완충생산능력의 정의
- 완충생산능력=생산능력-평균수요
- 양(+)의 완충생산능력은 평균수요 이상으로 생산능력을
유지한다는 의미;음(-)의 완충생산능력은 평균수요
이하로 생산능력을 유지함을 의미
■ 완충생산능력에 대한 세 가지 전략
- 생산능력의 부족 방지
· 양의 완충생산능력 사용;즉,평균수요예측치 이상의
추가생산능력 유지
· 이 전략은 확대되고 있는 시장이나 또는 생산능력의
건설 및 운영비용이 생산능력의 부족으로 인한
비용보다 더 작을 경우에 적합
(1) 생산능력의 정의와 측정■ 생산능력(capacity)의 정의
- 생산능력이란 최대산출률, 즉 생산시스템이 일정한 기간
동안 제공할 수 있는 최대산출량
■ 생산능력의 측정
- 생산능력은 기간당 산출량의 단위로 측정
· 맥주공장이나 정유공장 : 배럴(barrel)/일
· 자동차공장 : 대/년
· 제철공장 : 톤(ton)/년
· 발전소 : 메가와트(megawatt)/년
- 생산능력이 제품믹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우
· 레스토랑:일당 서비스할 수 있는 고객의 수나 일당 매출액
· 항공사:월간 가용 좌석-마일(seat-mile)수
· 가능한 공통의 물리적인 단위를 찾아내고, 여의치 못한
경우에는 매출액으로 생산능력을 표시
공칭생산능력(公稱生産能力:nominal capacity)
- 정상적인 가동정책하의 일정 기간당 최대산출량(잔업이나
추가적인 하청 등은 불포함)
■ 피크생산능력과 유지생산능력
- 피크생산능력이란 잔업이나 임시 추가고용과 같은
일시적인 방편을 사용하여 단지 짧은 기간 동안만 유지되는
생산능력
- 유지생산능력은 정상적인 방법으로 오랫동안 계속 유지될
수 있는 생산능력
- 발전소, 식당, 전화국과 같은 서비스산업에서는 피크생산
능력이 유지생산능력보다 더 중요함.
완충생산능력의 정의
- 완충생산능력=생산능력-평균수요
- 양(+)의 완충생산능력은 평균수요 이상으로 생산능력을
유지한다는 의미;음(-)의 완충생산능력은 평균수요
이하로 생산능력을 유지함을 의미
■ 완충생산능력에 대한 세 가지 전략
- 생산능력의 부족 방지
· 양의 완충생산능력 사용;즉,평균수요예측치 이상의
추가생산능력 유지
· 이 전략은 확대되고 있는 시장이나 또는 생산능력의
건설 및 운영비용이 생산능력의 부족으로 인한
비용보다 더 작을 경우에 적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