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배우의존재론연기적으로보기
2-연기양식
3-연기의 체제
4-언어의연기
2-연기양식
3-연기의 체제
4-언어의연기
본문내용
정되는 것이다.
보고 - 느끼고 - 행동한다.
듣고 - 느끼고 - 행동한다.
맛보고 - 느끼고 - 행동한다.
냄새맡고 - 느끼고 - 행동한다.
만져보고 - 느끼고 - 행동한다.
자신이 느끼지 못한 것을 연기하는 것은 거짓말이다. 그 연기자는 관객을
속이는 것이다. 연기자는 항상 자신이 먼저 느끼고 그에 맞는 감정을 가지고
연기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가끔 인기있는 연기자들도 TV,영화등에서 보면 이런 다섯가지의 감각
기관의 전달체계를 무시한 채 행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바로 세밀하지
못한 연기로서 대본에 약속되어진 그야말로 「연기」만 하고 있다는 것이다.
누가 불렀으면 누가 불렀는지 듣고, 어딘가를 보고 말해야 한다면 보고 난
후 말해야 하는데 그저 순서에 입각해서 자신의 대사를 하고 있는 것이다.
오감을 이용한 연기훈련은 즉흥연기를 하면 자연스럽게 터득되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연기자는 진실한 연기를 한다는 말을 들을 것이다.
자신이 느끼지 못했는데 어떻게 진실한 연기가 나올 수 있는가. 연기를 한다
면 앞으로 철칙과도 같이 명심해야한다. 연기를 위한 연기가 아닌 진실된
연기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관객은 말의 내용을 듣는 것으로 만족하지않는다. 말하는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을 읽으려 한다.
세종대 햄릿을 보고...
우리와 같은 햄릿으로 세종대에서 공연을 올린다고 해서 관람을 하러갔다.여자의 아들이라는 부제가 붙어있었는데 우리보다 2주뒤부터 연습에 들어갔는데 공연을 올리는걸 보니 섭섭한 마음으로 공연을 관람할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아무래도 같은극 같은 배역에 더 신경이 많이 쓰였다.
우리와는 많이 다른 등장인물들이 있었다.나와같은 배역인 오필리어를 보았는데 우리극과 그리고 내가 생각했던 오필리어랑은 다소 차이가있는것 같았다. 밝아보이면서도 미쳐가는 부분들도 영화에 나오는 오필리어의 대사와 똑같았고 감정선도 그랬다. 햄릿이 나오는 부분에서도 영화의 대사와 똑같은 부분이 많았다. 호레이쇼 대신 유모가 등장을 하였는데 세종대의 부제인 여자의 아들은 정말 여자가 유모라고 할만큼 햄릿이 유모에게 더 모성을 느끼고 있는 연기가 보였다. 그러나 세종대는 우리가 가지고 있지 않은 장면장면의 해석과 보여주려하는 장면들을 잘 보여주었던것같다. 우리는 자기각자의 캐릭터분석에만 치중해있고 상대역과의 앙상블에는 신경을 못썼던것같다.동기가 있어야 움직임이 있다는말을 다시한번느낄수 있었다. 아무리 쥐어짜듯 연기를 하고 동선을 움직여도 진실성이 없다면 관객들은 감동을 느낄수 없다는것.그리고 세종대 오필리어의 극중역활 순수함. 그리고 우리극중역활의 오필리어의 진실함이 합쳐진다면 진짜 오필리어가 나오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공연을 보며 느낀것이지만 내가 하고있어서인지 저기선 저렇게 하면 좋았읕텐데.. 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그리고 왕비역의 목소리가 컨디션때문인지 많이 갈라져있어서 인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찌푸리고 안타깝게 만들었다. 연기보단 갈라진 목소리에 신경이 쓰였다 아들의 여자를 보며 느낀거지만 배우에겐 신체와 목소리가 정말 중요하다는 생각이들었다.왕비가 춤추는 장면은 대사보다도 보여주려했던 의도를 잘보여줄수 있는 장면이었다. 의상같은 부분도 눈이 많이 갔다. 처음 왕비와 오필리어의 등장에 요즘 유행하는 젤리슈즈를 신었는데 의외로 현대와 고대의 결합이 어우러지게 의상이나 소품같은 것들이 좋았던것같다. 코믹스러운 부분들도 좋았던것같다. 왕역을 했던 배우는 정말 냉정하는 부분들이 소름이 돋을만큼 잘표현했던 같다. 폴로니우스는 감초역활로 그리고 생각과는 다른 곱추로 나와서 의외이기도 하고 또다른 발상이라는 생각에 더 흥미롭고 재미있게 보였다.
보고 - 느끼고 - 행동한다.
듣고 - 느끼고 - 행동한다.
맛보고 - 느끼고 - 행동한다.
냄새맡고 - 느끼고 - 행동한다.
만져보고 - 느끼고 - 행동한다.
자신이 느끼지 못한 것을 연기하는 것은 거짓말이다. 그 연기자는 관객을
속이는 것이다. 연기자는 항상 자신이 먼저 느끼고 그에 맞는 감정을 가지고
연기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가끔 인기있는 연기자들도 TV,영화등에서 보면 이런 다섯가지의 감각
기관의 전달체계를 무시한 채 행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바로 세밀하지
못한 연기로서 대본에 약속되어진 그야말로 「연기」만 하고 있다는 것이다.
누가 불렀으면 누가 불렀는지 듣고, 어딘가를 보고 말해야 한다면 보고 난
후 말해야 하는데 그저 순서에 입각해서 자신의 대사를 하고 있는 것이다.
오감을 이용한 연기훈련은 즉흥연기를 하면 자연스럽게 터득되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연기자는 진실한 연기를 한다는 말을 들을 것이다.
자신이 느끼지 못했는데 어떻게 진실한 연기가 나올 수 있는가. 연기를 한다
면 앞으로 철칙과도 같이 명심해야한다. 연기를 위한 연기가 아닌 진실된
연기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관객은 말의 내용을 듣는 것으로 만족하지않는다. 말하는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을 읽으려 한다.
세종대 햄릿을 보고...
우리와 같은 햄릿으로 세종대에서 공연을 올린다고 해서 관람을 하러갔다.여자의 아들이라는 부제가 붙어있었는데 우리보다 2주뒤부터 연습에 들어갔는데 공연을 올리는걸 보니 섭섭한 마음으로 공연을 관람할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아무래도 같은극 같은 배역에 더 신경이 많이 쓰였다.
우리와는 많이 다른 등장인물들이 있었다.나와같은 배역인 오필리어를 보았는데 우리극과 그리고 내가 생각했던 오필리어랑은 다소 차이가있는것 같았다. 밝아보이면서도 미쳐가는 부분들도 영화에 나오는 오필리어의 대사와 똑같았고 감정선도 그랬다. 햄릿이 나오는 부분에서도 영화의 대사와 똑같은 부분이 많았다. 호레이쇼 대신 유모가 등장을 하였는데 세종대의 부제인 여자의 아들은 정말 여자가 유모라고 할만큼 햄릿이 유모에게 더 모성을 느끼고 있는 연기가 보였다. 그러나 세종대는 우리가 가지고 있지 않은 장면장면의 해석과 보여주려하는 장면들을 잘 보여주었던것같다. 우리는 자기각자의 캐릭터분석에만 치중해있고 상대역과의 앙상블에는 신경을 못썼던것같다.동기가 있어야 움직임이 있다는말을 다시한번느낄수 있었다. 아무리 쥐어짜듯 연기를 하고 동선을 움직여도 진실성이 없다면 관객들은 감동을 느낄수 없다는것.그리고 세종대 오필리어의 극중역활 순수함. 그리고 우리극중역활의 오필리어의 진실함이 합쳐진다면 진짜 오필리어가 나오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공연을 보며 느낀것이지만 내가 하고있어서인지 저기선 저렇게 하면 좋았읕텐데.. 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그리고 왕비역의 목소리가 컨디션때문인지 많이 갈라져있어서 인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찌푸리고 안타깝게 만들었다. 연기보단 갈라진 목소리에 신경이 쓰였다 아들의 여자를 보며 느낀거지만 배우에겐 신체와 목소리가 정말 중요하다는 생각이들었다.왕비가 춤추는 장면은 대사보다도 보여주려했던 의도를 잘보여줄수 있는 장면이었다. 의상같은 부분도 눈이 많이 갔다. 처음 왕비와 오필리어의 등장에 요즘 유행하는 젤리슈즈를 신었는데 의외로 현대와 고대의 결합이 어우러지게 의상이나 소품같은 것들이 좋았던것같다. 코믹스러운 부분들도 좋았던것같다. 왕역을 했던 배우는 정말 냉정하는 부분들이 소름이 돋을만큼 잘표현했던 같다. 폴로니우스는 감초역활로 그리고 생각과는 다른 곱추로 나와서 의외이기도 하고 또다른 발상이라는 생각에 더 흥미롭고 재미있게 보였다.
추천자료
고대가요와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의 현대 해석과 관점
영화 `블레이드 러너`를 공학도의 입장에서 해석
독후감(칼의 노래, 꿈의 해석, 프로페셔널의 조건, Next Society, 21세기 지식경영 등을 읽고..)
의학입문 잡병제강 내상 鬱울체 한문 및 해석
[형법]공범과 신분(형법 제33조의 해석문제)에 대한 이론과 판례
소설 Rose for Emily 전문 해석
방송법의 의의, 역사, 개정과정, 해석방향, 사례.
기능주의,마르크스주의,기능이론,갈등이론,해석이론 적용사례
프로스트 시를 통한 매슬로우 욕구 5단계 이론 해석
그림검사(HTP,KFD) 해석 및 요약정리
각종 여론 조사와 신문기사의 통계에 대한 해석 연구-통계학의 이해 및 통계자료의 오류와 오...
김기림의 시 <바다와 나비> 심층적 해석
햄버거, 아리랑TV, 퀴즈 (세가지 단락 해석)
교육사회학의 기능이론, 갈등이론, 해석적 이론 비교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