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입문 잡병제강 내상 鬱울체 한문 및 해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입문 잡병제강 내상 鬱울체 한문 및 해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芎 山梔 香附 枳殼 甘草하야, 煎熟에 入薑汁 少許하야, 熱服하야 以散其鬱하고, 加當歸 黃柏 沙蔘이라,
의양음강화니 삼백탕에 가진피 창출 천궁 산치 향부 지각 감초하야 전숙에 입강즙 소허하야 열복하야 이산기울하고 가당귀 황백 사삼이라.
의당 음을 자양하고 화를 내리니 삼백탕에 진피 창출 천궁 산치자 향부자 지각 감초를 더하여 달여 익힘에 생강즙 조금을 넣어서 뜨겁게 복용하여 그 울체를 발산하고 당귀 황백 사삼을 더한다.
或玄蔘하야 以養其陰하대, 痰이면 加貝母하고, 夏加麥門冬하고, 冬加補骨脂니라.
혹현삼하야 이양기음하되 담이면 가패모하고 하가맥문동하고 동가보골지니라.
혹은 현삼을 가미하여 그 음기를 배양하되 담이면 패모를 더하고 여름이면 맥문동을 더하고 겨울이면 보골지를 더한다.
蓋當歸는 隨蔘 補血하고, 白芍은 隨二朮이면 除鬱이니라.
개당귀는 수삼 보혈하고 백작은 수이출이면 제울이니라.
당귀는 인삼을 따라 혈을 보하고 백작약은 백출 창출을 따라서 울체를 제거한다.
因食冷物하야, 鬱 陽氣於脾土中은, 多因 血虛而得之라,
인식냉물하야 울알 양기어비토중은 다인 혈허이득지라.
찬 음식물에 기인하여 울체하여 양기를 비토 안에서 막음은 많이 혈이 허약하여 얻은 것에 기인한다.
故로 用炒黑 山梔하야 解五臟結하며, 益少陰血이니라.
고로 용초흑 산치하야 해오장결하며 익소음혈이니라.
그래서 볶아 검게한 산치자를 사용하여 5장의 울결을 풀고 소음의 혈을 더한다.
若不早治하고, 復恣 酒色이면, 勞之由也니라.
약부조치하고 부자 주색이면 노채지유야니라.
만약 일찍 치료하지 않고 다시 주색을 방자하게 하면 노채의 유래가 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2.15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9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