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약만을 사용하지 못한다.
挾七情者면, 七氣湯, 古參萸湯이오.
협칠정자면 칠기탕 고삼유탕이오.
곽란에 7감정을 끼면 칠기탕 고삼유탕이오.
傷飮食者면, 紅丸子, 保和丸을, 俱姜[薑]湯으로 送下니라.
상음식자면 홍환자 보화환을 구강탕으로 송하니라.
음식에 손상한 사람은 홍화자 보화환을 생강탕과 함께 보내 연하한다.
通用엔, 四君子湯이니, 有汗이면, 加桂枝하고, 無汗이면, 加麻黃하라,
통용엔 사군자탕이니 유한이면 가계지하고 무한이면 가마황하라.
곽란 통치에는 사군자탕을 사용하니 땀이 나면 계지를 가미하고 땀이 없으면 마황을 가미한다.
吐利 轉筋, 腹痛 體重, 脈沈細면, 加白芍, 良姜[薑]하라,
토리 전근 복통 체중 맥침세면 가백작 양강하라.
구토 하리 쥐남 복통 몸 무거움 맥의 침세이면 백작약 양강을 가미한다.
四肢拘急, 脈沈遲하야, 屬少陰이면, 加姜[薑], 附, 厚朴이오.
사지구급 맥침지하야 속소음이면 가강 부 후박이오.
사지가 당기고 급하며 맥은 침지하여 소음병에 속하면 건강 부자 후박을 가미한다.
吐利, 轉筋, 脅痛 脈弦者는, 木剋土也니, 平胃散에 加木瓜나, 或小建中湯에 加柴胡, 木瓜요.
토리 전근 협통 맥현자는 목극토야니 평위산에 가모과나 혹소건중탕에 가시호 모과요.
구토 하리 쥐남, 옆구리 통증 현맥 곽란은 목기가 토를 상극함이니 평위산에 모과를 가미하거나 혹은 소건중탕에 시호와 모과를 가미한다.
四肢厥冷, 脈微緩하야, 屬厥陰者면, 小建中湯에 加當歸, 附子니라.
사지궐랭 맥미완하야 속궐음자면 소건중탕에 가당귀 부자니라.
사지가 궐랭하고 맥이 미완하여 궐음에 속하면 소건중탕에 당귀와 부자를 가미한다.
挾七情者면, 七氣湯, 古參萸湯이오.
협칠정자면 칠기탕 고삼유탕이오.
곽란에 7감정을 끼면 칠기탕 고삼유탕이오.
傷飮食者면, 紅丸子, 保和丸을, 俱姜[薑]湯으로 送下니라.
상음식자면 홍환자 보화환을 구강탕으로 송하니라.
음식에 손상한 사람은 홍화자 보화환을 생강탕과 함께 보내 연하한다.
通用엔, 四君子湯이니, 有汗이면, 加桂枝하고, 無汗이면, 加麻黃하라,
통용엔 사군자탕이니 유한이면 가계지하고 무한이면 가마황하라.
곽란 통치에는 사군자탕을 사용하니 땀이 나면 계지를 가미하고 땀이 없으면 마황을 가미한다.
吐利 轉筋, 腹痛 體重, 脈沈細면, 加白芍, 良姜[薑]하라,
토리 전근 복통 체중 맥침세면 가백작 양강하라.
구토 하리 쥐남 복통 몸 무거움 맥의 침세이면 백작약 양강을 가미한다.
四肢拘急, 脈沈遲하야, 屬少陰이면, 加姜[薑], 附, 厚朴이오.
사지구급 맥침지하야 속소음이면 가강 부 후박이오.
사지가 당기고 급하며 맥은 침지하여 소음병에 속하면 건강 부자 후박을 가미한다.
吐利, 轉筋, 脅痛 脈弦者는, 木剋土也니, 平胃散에 加木瓜나, 或小建中湯에 加柴胡, 木瓜요.
토리 전근 협통 맥현자는 목극토야니 평위산에 가모과나 혹소건중탕에 가시호 모과요.
구토 하리 쥐남, 옆구리 통증 현맥 곽란은 목기가 토를 상극함이니 평위산에 모과를 가미하거나 혹은 소건중탕에 시호와 모과를 가미한다.
四肢厥冷, 脈微緩하야, 屬厥陰者면, 小建中湯에 加當歸, 附子니라.
사지궐랭 맥미완하야 속궐음자면 소건중탕에 가당귀 부자니라.
사지가 궐랭하고 맥이 미완하여 궐음에 속하면 소건중탕에 당귀와 부자를 가미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