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의 형성과 전근대사회에서의 민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인류의 탄생

2. 민중의 탄생

3. 중세시대 민중의 사회적 처지

본문내용

“최우가 사사로이 얼음을 캐어 서산의 빙고에 저장하려고 백성을 풀어서 얼음을 실어 나르니 백성이 매우 괴로워하였다. 또 안양산의 잣나무를 옮겨 정원에 심었는데 안양산은 강도(강화도에 있던 도읍)에서 여러 날 걸리는 길인데, 문객 장군 박승분으로 하여금 감독하게 하였다. 때는 추위가 한창이어서 노역을 하는 사람 중에 얼어 죽는 자도 있었다. 길가의 백성들이 집을 버리고 산으로 올라가 그 소요를 피하였다. 어떤 사람이 승평문 밖에 써 붙이기를, ‘사람과 잣나무 중 어느 것이 중하냐?’고 하였다.”(■■고려사절요■■ 권 16, 고종 30년)
한편 중세시대 민중들은 지주들의 수취뿐 아니라 국가로부터도 지배를 당하고 있었는데 지주와 국가에 대한 이중적 부담은 민중들의 삶을 더욱 곤궁하게 하였다.
농부를 대신하여 읊음(이규보)
고랑에 엎드리어 비맞으며 김매니/ 거칠고 검은 얼굴 어찌 사람이랴/ 왕손 공자들아 업수이 여기지 말라/ 부귀호사가 우리 손에 매였나니/ 햇곡식 푸르러 채 익기 전에/ 관리며 서리들 조세를 매기도다/ 애써 지은 마음은 나라 위함이어늘/ 어찌하여 우리네들 살가지 벗기려노/ 나라에서 농사꾼이 맑은 술과 쌀밥 먹는 것을 금지하는 영을 내렸다는 말을 듣고/ 한평생 일해서 벼슬아치 섬기는 / 이것이 바로 농사꾼이다./ 누더기로 겨우 살을 가리고/ 하루 종일 쉬지 않고 밭을 가노라/ 벼가 파릇파릇 자랄 때부터/ 몇 번 가꾸어 이삭을 맺었건만/ 아무리 많아야 헛배만 불렀지/ 가을이면 관청에서 앗아가는 것/ 남김없이 몽땅 빼앗기고 나니/ 내 것이라고는 한 알도 없어/ 풀뿌리 캐어 목숨을 이어 가다가/ 굶주려 마침내 쓰러지고 마누나/ 서울에 호강스레 잘사는 집엔/ 보배가 산더미로 쌓여 있도다/ 구슬같이 흰 쌀밥을/ 개나 돼지가 먹기도하고/ 기름같이 맛있는 술을/ 심부름꾼 아이들도 마음대로 마시는 구나/ 이것은 모두 다 농사꾼이 이룩한 것/ 그들이야 본래 무엇이 있었으랴/ 농민들의 피담을 빨아 모아선/ 제 팔자 좋아서 부자가 되었네
애절양(哀絶陽)
갈밭마을 젊은 여인 울음도 서러워라 / 현문 향해 울부짖다 하늘보고 호소하네 / 군인 남편 못 돌아옴은 있을 법도 한 일이나 / 예부터 남절양은 들어 보지 못했노라 / 시아버지 죽어서 이미 상복 입었고 / 갓난 아닌 배냇물도 안 말랐는데 / 3대의 이름이 군적에 실리다니 / 달려가서 억울함을 호소하려도 / 범 같은 문지기 버티어 있고 / 이정이 호통하여 단벌 소만 끌려갔네 / 남편 문득 칼을 갈아 방안으로 뛰어들자 / 붉은 피 자리에 낭자하구나 / 스스로 한탄하네 '아이낳은 죄로구나' / 잠실궁형이 또한 지나친 형벌이고 / 민 땅 자식 거세함도 가엾은 일이거든 / 자식 낳고 사는 건 하늘이 정한 이치 / 하늘 땅 어울려서 아들 되고 딸 되는 것 / 말돼지 거세함도 가엾다 이르는데 / 하물며 뒤를 잇는 사람에 있어서랴 / 부자들은 한 평생 풍악이나 즐기면서 / 한 톨 쌀, 한치 베도 바치는 일 없으니 / 다 같은 백성인데 이다지도 불공평한고 / 객창에서 거듭 거듭 시구편을 읽노라.(정약용)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1.15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09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