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면서
2. 문제점
3. 대응책
4. 마무리하면서
2. 문제점
3. 대응책
4. 마무리하면서
본문내용
농업과 식생활을 되돌리고, 식량자급율을 높여 나가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국제적인 생명공학기업의 공세를 물리치고 개도국 사람들의 자급운동과 연대하여 식량위기를 회피할 수 있는 길이다.
⑷안전한 먹을거리 운동을 통한 도농간의 삶의 연대 폭 확대
최근 우리의 농업과 먹을거리를 둘러싼 여러 가지 불안요소(특히, 유전자조작 농산물) 크게 늘어나는 가운데 우리들의 밥상 안전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이런 현실 속에서 생산농민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건강과 생명을 해치고 토양의 건강함과 비옥함을 뺏아버리는 죽임의 농업(근대화학농업)이 아니라 순환과 공생, 자립을 소중히 여기는 살림의 농업(유기농업)과 안전한 먹을거리(유기농산물)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손을 맞잡고 소비자는 생산자에게 생명을 맡기고 생산자는 소비자에게 안전한 먹을거리를 제공하여 경제적으로 보장받는 제휴와 신뢰관계를 토대로 한 안전한 먹을거리 운동을 전개하여 도농간의 삶의 연대 폭을 넓혀가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유전자조작 농산물에서 벗어나는 가장 적극적인 방법이며, 또 국내농업 활성화와 식량자급율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기도 하다.
4. 마무리하면서
우리 인간은 global standard의 이름아래 인체와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불명확하고, 또 제어불능이 될 위험성이 있는 미지의 생물을 세계 속에서 상업화하려고 하고 있다. 이런 기술을 만들어내는 연구를 거듭하는 것이 ‘인간의 영지(英智)’라면, 그 파생되는 문제를 다각적으로 검증하여 상업화를 멈추게 하는 것도 ‘인간의 영지’이며 이성이다. 우리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이성으로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식품의 생산·유통을 멈추게 하고, 안전한 먹을거리의 생산과 소비, 국내농업의 활성화와 식량자급력 향상, 생태순환적인 농업형태(복합적인 순환형 지역농업시스템)를 실현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나가야 한다.
그리고 정부는 생명공학기술로 생산된 모든 농산물과 식품에 대해 의무표시하고, 소비자의 선택권을 존중해야 한다. 또 생명공학기술이 초래하는 ‘환경에 대한 영향’ ‘먹을거리로서의 안전성’ ‘식량문제 등에 대한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해 예측되는 사태도 포함한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나아가 소비자의 알 권리와 선택할 권리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먹을거리의 안전성과 친환경성을 최대한 고려하는 방향으로 농업 및 식품정책 기조를 전환해나가야 할 것이다.
⑷안전한 먹을거리 운동을 통한 도농간의 삶의 연대 폭 확대
최근 우리의 농업과 먹을거리를 둘러싼 여러 가지 불안요소(특히, 유전자조작 농산물) 크게 늘어나는 가운데 우리들의 밥상 안전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이런 현실 속에서 생산농민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건강과 생명을 해치고 토양의 건강함과 비옥함을 뺏아버리는 죽임의 농업(근대화학농업)이 아니라 순환과 공생, 자립을 소중히 여기는 살림의 농업(유기농업)과 안전한 먹을거리(유기농산물)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손을 맞잡고 소비자는 생산자에게 생명을 맡기고 생산자는 소비자에게 안전한 먹을거리를 제공하여 경제적으로 보장받는 제휴와 신뢰관계를 토대로 한 안전한 먹을거리 운동을 전개하여 도농간의 삶의 연대 폭을 넓혀가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유전자조작 농산물에서 벗어나는 가장 적극적인 방법이며, 또 국내농업 활성화와 식량자급율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기도 하다.
4. 마무리하면서
우리 인간은 global standard의 이름아래 인체와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불명확하고, 또 제어불능이 될 위험성이 있는 미지의 생물을 세계 속에서 상업화하려고 하고 있다. 이런 기술을 만들어내는 연구를 거듭하는 것이 ‘인간의 영지(英智)’라면, 그 파생되는 문제를 다각적으로 검증하여 상업화를 멈추게 하는 것도 ‘인간의 영지’이며 이성이다. 우리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이성으로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식품의 생산·유통을 멈추게 하고, 안전한 먹을거리의 생산과 소비, 국내농업의 활성화와 식량자급력 향상, 생태순환적인 농업형태(복합적인 순환형 지역농업시스템)를 실현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나가야 한다.
그리고 정부는 생명공학기술로 생산된 모든 농산물과 식품에 대해 의무표시하고, 소비자의 선택권을 존중해야 한다. 또 생명공학기술이 초래하는 ‘환경에 대한 영향’ ‘먹을거리로서의 안전성’ ‘식량문제 등에 대한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해 예측되는 사태도 포함한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나아가 소비자의 알 권리와 선택할 권리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먹을거리의 안전성과 친환경성을 최대한 고려하는 방향으로 농업 및 식품정책 기조를 전환해나가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유전자 변형식품들
북한 식량난으로 인한 대내외적 변화와 새로운 모색 (북한문제)
식탁의 위기는 오는가?-유전자 변형 식품
환경문제 발표 보고서 - 식량과 환경
식량자원의 문제와 대책
우리나라 및 국제 식량 문제
[환경과자원]세계 식량자원의 현황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리포트)
[유전자치료][유전자치료 사례][인공장기]유전자치료의 정의, 유전자치료의 동향, 유전자치료...
[유전자][유전자 진단][유전자프라이버시][게놈][유전자 문제점][유전자정보 활용 사례]유전...
유전자 변형 농산물
식량의 수입의존도가 높아져서 발생 할 수 있는 문제
가족생활(한국의가족생활, 가족생활변화, 한국가족의근대적변형, 핵가족화, 결혼인식, 산업화...
[애그플레이션(Agflation)과 식량위기의 해결방안] 애그플레이션과 식량위기의 실태, 애그플...
[식량 부족 문제 심각성과 해결방안] 식량 부족 문제 - 기아의 현황, 식량 부족의 실태,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