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의 외국 진출 사례 ( 엔터기술)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기업의 외국 진출 사례 ( 엔터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본론
Ⅰ. 회사현황 및 휴대용 노래반주기 시장분석
1) 회사현황
2) 휴대용 노래반주기 시장분석
Ⅱ. 엔터기술의 주요제품 현황
Ⅲ. 엔터기술의 일본 진출사례
1) 일본진출 배경
2) 진출과정
3) 진출현황
4) 성공요인
Ⅳ. 엔터기술의 미국 진출사례
1) 미국시장진출
2) 성공요인
3) 최근 시장현황 및 전망
Ⅴ. 엔터기술의 핵심 경쟁력 분석

제3장 결론

본문내용

물량의 규모가 큰 미국, 일본 등의 경우 각 국가의 유통 채널들이 저작권 관련 비용을 부담하고 있고(예: 미국 체인지스토어 매출) 그 이외의 국가들의 경우 엔터기술측에서 가격제품에 반영하고 있다. 미국 체인지스토어 매출의 경우 낮은 가격에 공급함으로써 그만큼 유통업체들의 마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하는 셈이다. 따라서, 국가별로 제품 단가의 추이는 다르게 형성되고 있는데, 저작권 관련 비용을 현지에서 부담하는 미국의 경우 제품가격이 상대적으로 싸고, 저작권 관련비용을 동사에서 부담하는 기타 지역 매출의 경우 제품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수준이다. 엔터기술은 현재 EMI, Warner, Chapel, Sony등과 저작권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4) 소프트웨어 매출 증대로 인한 수익성 개선
MIDI파일의 매출 비중이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있다는 점도 엔터기술의 향후 핵심적인 경쟁력으로 분석된다.
소프트웨어의 매출을 위해서는 하드웨어의 판매가 필수적인데, 동사의 경우 지난 2001년 이후 작년까지 누적 판매량이 100만대를 육박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드웨어 매출이 발생한 이후 연도의 소프트웨어 매출은 급격히 증가하는 패턴을 보여왔다.
이는 통상적으로 국가별로 다르지만, 초기 평균적으로 200-300곡이 내장된 하드웨어 제품의 매출 이후 시간적으로 2분기-1년 이후가 되면 새로운곡에 대한 Need가 자연적으로 발생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하드웨어 매출과 소프트웨어 매출의 연관성>
2000
2001
2002
2003
2004
하드웨어판매수량
25,576
70,888
138,960
255,294
452,734
소프트웨어판매수량
10,508
30,637
124,253
166,417
558,411
위의 표는 하드웨어 판매량과 소프트웨어 판매량을 보여주는 표다.
하드웨어 판매이후 그 다음해에는 하드웨어 1개당 평균 2개 전후의 소프트웨어 매출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매출은 판관비용의 지출이 거의 미비하고, 엔터기술 입장에서는 매우 수익성이 우수한 제품이기 때문에 향후 이익창출에 핵심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5) 해당 국가에 대한 문화적 접근
엔터기술은 주력시장을 일본으로 정한 후 미국, 동남아, 그리고 아랍권 국가에까지 진출 하였다. 이들 나라들은 사용하는 언어를 비롯하여 문화적으로 각 국가별로 천차만별이었다. 그래서 각 나라 별로 현지인들은 고용하여 선호하는 노래, 음정, 문자 그리고 그 나라의 정서에 이르기까지 세세한 부분에도 현지인 중심의 경영방침(Polycentric)을 고수한 것도 엔터기술의 성공요인을 꼽을 때 뺄 수없는 부분이다.
3. 결론
엔터기술은 조그만 중소기업이 기술력과 도전정신을 갖추고 있으면 얼마든지 세계시장에 도전할 수 있고,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엔터기술 뿐만 아니라 여러 중소기업들이 현재 세계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더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마이크 하나로 어디서는 쉽게 노래를 부를 수 있게 하겠다는 일념으로 시작한 엔터기술은 현재 그 꿈을 현실로 이루었고, 앞으로 더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 지금도 연구 개발에 한창이다. 미개척지인 유럽지역과 실패를 한 번 경험 했던 중국 시장에서 또 한 번의 비상을 위해 노력 중이다. 특히 중국시장은 지난 5월에 ‘북경 하이테크 박람회’ 참가하고, 2000여개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등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만약 세계 최대의 시장이라고 할 수 있는 중국 시장 개발에 성공한다면 엔터기술이 한 단계 더 도약 할 것은 자명한 일이다. 또한 유럽에서도 독일에서 열린 ‘베를린 국제 이벤트 사업’에 참가하여 유럽 소비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은 바 있다.
노래 부르기를 좋아 하는 필리핀에서도 한국에서 만든 작은 마이크의 위력은 대단하다. 그 뜨거운 열기에 글로리아 아로요 대통령이 큰 관심을 가질 정도로 엔터기술의 마이크형 노래 반주기가 인기를 모으고 있다.
엔터기술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이경호 대표이사를 비롯한 회사의 주요한 임원들은 피 끓는 40대 전문가 집단으로서 세계각지에서 시장 개척을 위해 뛰고 있다. 그들은 아직 도 이룰 것이 많다고 입을 모은다. 전 세계 100만 가구에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이 만든 작 은 마이크형 노래반주기를 선택했다. 세계 50여 개국에 수출고를 올리며 가장 선두에서 세계시장을 이끌어 나가고 있는 신 개념의 노래반주기는 이제 단순한 마이크가 아니라 문화 컨텐츠 상품으로 성장을 했다. 기술력과 뚝심으로 뭉친 엔터기술은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참고 사이트
www.kbs.co.kr
www.enter-tech.com
www.fnguide.com
참고 기사
- 매일 경제 신문 2005년 3월 12일 “엔터기술, 미국 노래 문화 띄우자.”
- 전자 신문 2005년 3월 14일 “엔터기술 일본시장 성공 비결/기후차로 발생한 결함제품 전량 자진 리콜”
- 전자 신문 2005년 3월 18일 “엔터기술 이경호 사장, 문화 컨텐츠 전문기업으로/기술과 열정으로 새로운 가정문화를 만든다.”
- 한국 경제 신문 2005년 5월 6일 “엔터기술/올 美 판매 2배, 순익 126%↑ 거뜬”
- Economy plus 2005년 5월호 “CEO 결단의 순간 - 휴대용 영상 노래반주기 대박 떠드 린 엔터기술 이경호 엔터기술 사장”
- 한국 경제 신문 5월 27일 “세계 일등 기업 ”여기 있네.”
- 전자 신문 2005년 6월 27일 “엔터기술 中서 2000여개 유통망 확보”
- 매일 경제 신문 2005년 7월 15일 “국산 영상 반주기 필리핀서 인기 짱”
- 서울 경제 신문 2000년 7월 18일 “휴대용 노래 반주기 세계 1위”
- 파이낸셜 2005년 8월8일 “5년 째 단골 흑자 株 주목”
- 매일 경제 신문 2005년 9월 2일 “장영실의 후예들1,2”
참고 도서
- “성공리더 31인의 열정 실행 파일 CEO.EXE" 인크리션 박창욱 지음
- “Standardization of international maketing strategy” subhash c. Jain 지음
- “나를 이겨야 미래가 있다.” 리즈 앤 북 조원기 지음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5.11.17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13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