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세 후반기 한국의 민주사상- 정약용의 사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정약용(丁若鏞, 1762-1836)

2. 시대상황과 정치목표

3. 인성론 및 우주론

4. 국내 및 국제질서관

5. 국가개혁의 정책론

6. 평 가

본문내용

할론을 바탕으로 한 국가적 생산력의 제고, 셋째, 국가보위의 중요성 인식에 바탕을 둔 병농일치제(兵農一致制) 및 각종 병제의 개혁, 넷째, 국가전체적 부의 획득을 위한 해외로부터의 적극적인 기술수용과 그것의 국내적 적용 및 기술개발 등을 들 수 있음.
다음으로 정약용의 철저한 국가중심적 또는 공동체중심적 사고를 바탕으로 제시된 독창적 정책론으로는, 첫째, 국유화를 전제로 한 토지정책, 둘째, 개별상인의 이익독점과 중간관리층의 수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국가재정을 확보하기 위한 세제개혁, 그리고 셋째, 국가재정 확충을 위한 금 . 은 . 동 . 철 등 광물자원 채굴권의 국유화 등을 들 수 있음.
6. 평 가
정약용 정치사상은 첫째, 서구문물의 수용을 바탕으로 한 과학기술 및 제도개혁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그것을 국가발전의 토대로 삼을 것을 주장했다는 점과, 둘째, 국가간 관계의 상대적 평등성 및 한민족의 독자성 및 우월성 부각을 통해 전통적인 중국 중심의 중화주의적 질서로부터 완전 탈피했다는 점에서 홍대용이나 박지원과 같은 이전 개혁사상가들과 그 맥을 같이한다고 평가할 수 있음. 동시에 생산계층과 비생산계층을 차별화시키려는 유학적 논의에서 벗어나서 국민개로(國民皆勞)의 입장을 철저히 견지했다는 점과, 그러한 생산개체들 사이의 선천적 차별을 부정했다는 점 또한 사상적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특히 인성론적 측면에서의 기호설(嗜好說)이나 우주론적 측면에서의 인간우위설, 그리고 정책론적 측면에서의 국유화론 등은 정약용 사상의 독창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음.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1.18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16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