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시대 개관
2. 고려(중세전기) 문학의 특징
3. 고려조 한문학의 갈래
1) 서정문학
①향가계 가요
②속요
③경기체가
2) 서사문학
①패관문학
②가전체문학
Ⅲ. 결론
Ⅱ. 본론
1. 시대 개관
2. 고려(중세전기) 문학의 특징
3. 고려조 한문학의 갈래
1) 서정문학
①향가계 가요
②속요
③경기체가
2) 서사문학
①패관문학
②가전체문학
Ⅲ. 결론
본문내용
전해내려 오던 설화를 글로 옮겨 적은 문학장르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창의성과 윤색이 가미된 일종의 산문적인 문학양식으로 패관문학이라는 말이 국문학사와 소설사에서 쓰이기 시작한 것은 김태준(金台俊)의 ≪ 조선소설사 朝鮮小說史 ≫ 가 처음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는 패관문학보다 패관소설(稗官小說) · 패사(稗史) · 패사소설(稗史小說) · 패관기서(稗官奇書) 등이 거의 같은 개념으로 널리 쓰였다.
작품
작자
연대
내용
수이전
박인량
고려 문종
현재 전하지 않음, 신라의 설화를 수록한 책. 그중 9편만이 다른 책에 실려 전함
백운소설
이규보
고려 문종
시화(詩話). 문담(文談) 28편이 홍만종의 <시화총림>에 전함 전해오던 유명한 시화를 모은 책, 소설이란 명칭은 쓰고 있지만 소설이 아니고 자잘한 이야기란 뜻.
파한집
이인로
고려 고종
우리나라 최초의 시화집. 제목은 심심할 때 읽어보라는 뜻이다. 시, 이야기, 당시의 풍물을 재미있게 엮었음
보한집
최자
고려 고종
당대 권력자 최우의 권유로 지은 책, 파한집의 후속집. 주로 고려 문인들의 시를 비평한 글이다.
역옹패설
이제현
고려말
대부분 시에 관한 논의서, 시에 대한 높은 안목의 해석과 평가를 내린 시 비평서
②가전체 문학
가전체 문학이란 물건을 의인화하여 세상 사람들에게 경계심을 일깨워 줄(戒世懲人 : 계세징인) 목적으로 지은, 사람의 일생을 압축, 서술한 교술 문학으로 이러한 문학의 탄생 원인을 당시의 잦은 내우외환과 무신들의 집권에 의한 정치적 혼란에서 찾는 학자들이 많다. 또 다른 원인으로, 설화와 서사시가 활발히 수집, 정리되고, 창작되면서 가전체 작품이 출현하게 되었다고 보는 학자들도 있다.
가전체 문학의 의의로는, 패관 문학이 개인의 창작이 아니고 민간에 떠돌아다니던 이야기를 수집하여 약간의 창의성을 덧붙인 것에 비하여, 가전체 소설은 개인의 창작물로서, 소설에 한 발짝 접근하여 설화와 소설을 이어주는 교량적 구실을 한 데 있다.
작품명
작가
연대
출전
내용
국순전
임춘
인종
동문선
술을 의인화하여 그것이 지닌 매력과 지나쳐서 생겨나는 폐단을 표현함.
공방전
임춘
인종
"
엽전, 곧 돈을 의인화하여 돈의 폐해를 경계함
국선생전
이규보
고종
"
술을 의인화하여 그 생애를 보이고, 군자의 처신을 경계함
청강사자현부전
이규보
고종
"
거북을 의인화하여, 아무리 능력이 있어도 항상 매사에 신중을 기해야 함을 경계함.
죽부인전
이곡
공민왕
"
대나무를 의인화하여, 아무리 능력이 있어도 항상 매사에 신중을 기해야 함을 경계함
저생전
이첨
고려말
"
종이를 의인화하여, 종이의 내력을 적음으로써, 글 하는 선비들의 행동 규범을 보임
정시자전
석식영암
고려말
"
지팡이를 의인화하여, 사람은 자기 스스로를 알아야 함을 경계함.
Ⅲ. 결말
여기까지 고려시대 한문학의 전반을 대략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시한번 정리하면 고려를 불교를 국교로 삼고 신라의 실무 지식인으로 한문학을 익혔던 육두품(六頭品) 계층이 고려 귀족으로 전환되며. 광종 때 문학을 통해 능력을 평가하는 과거제를 실시하며, 숙종 때 국가 교육 기관인 국자감을 강화하여 한문학을 발달 시켰다. 향가가 점차 쇠퇴되고 평민들의 노래인 고려가요와 속요가 널리 애송되었고 사대부층의 경기체가가 창작되어 불리어졌으며, 고려 후기에는 시조가 형성되었다. 설화에서 발전한 가전체 소설이 등장, 패관 문학이 나타났으며 문학의 내용은 내우외한에 시달려 문학의 내용이 현실 도피적, 향락적, 진솔, 소박하였다.
그러나 향가, 경기체가, 장가등의 문학은 그 수명이 길지 못하였고 시조는 조선조에 와서 활성화 되었기 때문에 이때의 문학은 과도기적 문학으로 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창의성과 윤색이 가미된 일종의 산문적인 문학양식으로 패관문학이라는 말이 국문학사와 소설사에서 쓰이기 시작한 것은 김태준(金台俊)의 ≪ 조선소설사 朝鮮小說史 ≫ 가 처음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는 패관문학보다 패관소설(稗官小說) · 패사(稗史) · 패사소설(稗史小說) · 패관기서(稗官奇書) 등이 거의 같은 개념으로 널리 쓰였다.
작품
작자
연대
내용
수이전
박인량
고려 문종
현재 전하지 않음, 신라의 설화를 수록한 책. 그중 9편만이 다른 책에 실려 전함
백운소설
이규보
고려 문종
시화(詩話). 문담(文談) 28편이 홍만종의 <시화총림>에 전함 전해오던 유명한 시화를 모은 책, 소설이란 명칭은 쓰고 있지만 소설이 아니고 자잘한 이야기란 뜻.
파한집
이인로
고려 고종
우리나라 최초의 시화집. 제목은 심심할 때 읽어보라는 뜻이다. 시, 이야기, 당시의 풍물을 재미있게 엮었음
보한집
최자
고려 고종
당대 권력자 최우의 권유로 지은 책, 파한집의 후속집. 주로 고려 문인들의 시를 비평한 글이다.
역옹패설
이제현
고려말
대부분 시에 관한 논의서, 시에 대한 높은 안목의 해석과 평가를 내린 시 비평서
②가전체 문학
가전체 문학이란 물건을 의인화하여 세상 사람들에게 경계심을 일깨워 줄(戒世懲人 : 계세징인) 목적으로 지은, 사람의 일생을 압축, 서술한 교술 문학으로 이러한 문학의 탄생 원인을 당시의 잦은 내우외환과 무신들의 집권에 의한 정치적 혼란에서 찾는 학자들이 많다. 또 다른 원인으로, 설화와 서사시가 활발히 수집, 정리되고, 창작되면서 가전체 작품이 출현하게 되었다고 보는 학자들도 있다.
가전체 문학의 의의로는, 패관 문학이 개인의 창작이 아니고 민간에 떠돌아다니던 이야기를 수집하여 약간의 창의성을 덧붙인 것에 비하여, 가전체 소설은 개인의 창작물로서, 소설에 한 발짝 접근하여 설화와 소설을 이어주는 교량적 구실을 한 데 있다.
작품명
작가
연대
출전
내용
국순전
임춘
인종
동문선
술을 의인화하여 그것이 지닌 매력과 지나쳐서 생겨나는 폐단을 표현함.
공방전
임춘
인종
"
엽전, 곧 돈을 의인화하여 돈의 폐해를 경계함
국선생전
이규보
고종
"
술을 의인화하여 그 생애를 보이고, 군자의 처신을 경계함
청강사자현부전
이규보
고종
"
거북을 의인화하여, 아무리 능력이 있어도 항상 매사에 신중을 기해야 함을 경계함.
죽부인전
이곡
공민왕
"
대나무를 의인화하여, 아무리 능력이 있어도 항상 매사에 신중을 기해야 함을 경계함
저생전
이첨
고려말
"
종이를 의인화하여, 종이의 내력을 적음으로써, 글 하는 선비들의 행동 규범을 보임
정시자전
석식영암
고려말
"
지팡이를 의인화하여, 사람은 자기 스스로를 알아야 함을 경계함.
Ⅲ. 결말
여기까지 고려시대 한문학의 전반을 대략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시한번 정리하면 고려를 불교를 국교로 삼고 신라의 실무 지식인으로 한문학을 익혔던 육두품(六頭品) 계층이 고려 귀족으로 전환되며. 광종 때 문학을 통해 능력을 평가하는 과거제를 실시하며, 숙종 때 국가 교육 기관인 국자감을 강화하여 한문학을 발달 시켰다. 향가가 점차 쇠퇴되고 평민들의 노래인 고려가요와 속요가 널리 애송되었고 사대부층의 경기체가가 창작되어 불리어졌으며, 고려 후기에는 시조가 형성되었다. 설화에서 발전한 가전체 소설이 등장, 패관 문학이 나타났으며 문학의 내용은 내우외한에 시달려 문학의 내용이 현실 도피적, 향락적, 진솔, 소박하였다.
그러나 향가, 경기체가, 장가등의 문학은 그 수명이 길지 못하였고 시조는 조선조에 와서 활성화 되었기 때문에 이때의 문학은 과도기적 문학으로 볼 수밖에 없을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개화기 문학의 배경과 특징
기녀시조(특징, 미학, 작가별분류, 문학사적 의의)
Connecticut Wits를 포함한 미국초기문학들의 특징 및 작품소개
[국문학사]조선전기문학의 특징
[구비문학] '판소리'에 대한 심층 고찰 및 특징 연구
[문학비평][신비평][한국문학]문학비평 신비평의 역사, 문학비평 신비평의 개념, 문학비평 신...
(일본문학의흐름D)일본근대문학사에서의 모리 오가이, 나츠메 소세키의 역할과 특징
(일본문학의흐름H)요코미츠 리이치, 가와바타 야스나리를 중심으로 한 신감각파 문학의 특징...
지금까지 소개된 아동 문학 작품 중 한가지를 읽고 아동문학 이론을 접목시켜 분석
본 차시의‘문학수업’에 문제 해결 학습모형과 반응 중심 학습 모형 중 더 적합한 수업 모형은...
[현대소설, 소설, 현대소설 특징, 작가, 이데올로기, 사실주의, 반공문학, 신소설]현대소설의...
[일본 문학 작품론] 야마모토 유조(산본유삼/山本有三) 문학 특징, 「진실일로(&#30495;&...
그림책의 정의 및 교육적 가치와 그림책의 종류, 특징을 기술하고 해당되는 동화책 1권씩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