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발 목적
2. 개발 필요성
3. 개발 내용, 방법( 각 분야로의 연계)
4. 참조자료
5. 결론
2. 개발 필요성
3. 개발 내용, 방법( 각 분야로의 연계)
4. 참조자료
5. 결론
본문내용
다른 직업을 찾게 됩니다.
④ 사용자(맹인)와의 매칭 (Matching)
각 안내견의 특성(견종, 크기, 습성 등)과 안내견의 분양을 희망하는 시각장애인의 성격, 직업, 걸음걸이(보속,보폭), 건강상태 및 주거환경 등등을 모두 고려해서 매칭(짝짓기)을 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안내견에 대한 개개의 특성을 철저히 파악해 두어야하며, 또한 예비 사용자에 대해서도 철저한 사전조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매칭(Matching)은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안내견이 충분한 능력을 발휘하여 성공적으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⑤ 사용자 교육 (Client Training)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안내견이 선정되면 예비 사용자는 안내견과 함께 4주간의 사용자 교육을 받습니다.
교육기간중 처음 2~3주는 안내견학교에서, 나머지 1~2주는 사용자의 주거지와 주요 보행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교육과정은 보행방법, 안내견 관리, 도로 및 상가출입 요령, 실제 생활 적응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기간동안 시각장애인과 안내견은 친화되고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긴밀한 관계를 맺습니다.
따라서 이 과정은 장애인 재활교육(Rehabilitation) 및 보행지도 등을 전문적으로 공부한 지도사(Instructor)에 의해 실시되며, 사용자와 안내견을 함께 교육, 훈련 시켜야 하므로 모든 지도사들은 재활교육 자격 외에 안내견 훈련사 자격을 기본적으로 취득하고 있습니다.
⑥ 사후관리(Follw-Up)
안내견 분양 후 정기적으로 지도사들이 가정을 방문하여 건강과 보행을 점검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합니다. 이 기간동안 추가 훈련을 실시 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일본 북해도 안내견학교의 경우 매년 5월부터 8월까지의 기간에만 사용자 교육을 실시하므로 눈(Snow)에 대한 훈련은 동절기에 지도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실시합니다.
우리나라는 매년 2차례씩 정기적인 사후관리를하며 필요시에는 비정기 사후관리도 하고 있습니다.
⑦ 은퇴
노령(10세 정도)의 안내견은 안내견로서의 일을 은퇴한 후 자원봉사자 가정으로 위탁되거나 안내견학교로 돌아와 편안히 여생을 보내게 됩니다.
사용자에게는 새로운 안내견이 대체분양(Replacement)되며 물론 이 경우에도 사용자교육(Client training)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참조 : http://dog.samsung.com/sitemap.html
④ 사용자(맹인)와의 매칭 (Matching)
각 안내견의 특성(견종, 크기, 습성 등)과 안내견의 분양을 희망하는 시각장애인의 성격, 직업, 걸음걸이(보속,보폭), 건강상태 및 주거환경 등등을 모두 고려해서 매칭(짝짓기)을 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안내견에 대한 개개의 특성을 철저히 파악해 두어야하며, 또한 예비 사용자에 대해서도 철저한 사전조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매칭(Matching)은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안내견이 충분한 능력을 발휘하여 성공적으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⑤ 사용자 교육 (Client Training)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안내견이 선정되면 예비 사용자는 안내견과 함께 4주간의 사용자 교육을 받습니다.
교육기간중 처음 2~3주는 안내견학교에서, 나머지 1~2주는 사용자의 주거지와 주요 보행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교육과정은 보행방법, 안내견 관리, 도로 및 상가출입 요령, 실제 생활 적응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기간동안 시각장애인과 안내견은 친화되고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긴밀한 관계를 맺습니다.
따라서 이 과정은 장애인 재활교육(Rehabilitation) 및 보행지도 등을 전문적으로 공부한 지도사(Instructor)에 의해 실시되며, 사용자와 안내견을 함께 교육, 훈련 시켜야 하므로 모든 지도사들은 재활교육 자격 외에 안내견 훈련사 자격을 기본적으로 취득하고 있습니다.
⑥ 사후관리(Follw-Up)
안내견 분양 후 정기적으로 지도사들이 가정을 방문하여 건강과 보행을 점검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합니다. 이 기간동안 추가 훈련을 실시 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일본 북해도 안내견학교의 경우 매년 5월부터 8월까지의 기간에만 사용자 교육을 실시하므로 눈(Snow)에 대한 훈련은 동절기에 지도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실시합니다.
우리나라는 매년 2차례씩 정기적인 사후관리를하며 필요시에는 비정기 사후관리도 하고 있습니다.
⑦ 은퇴
노령(10세 정도)의 안내견은 안내견로서의 일을 은퇴한 후 자원봉사자 가정으로 위탁되거나 안내견학교로 돌아와 편안히 여생을 보내게 됩니다.
사용자에게는 새로운 안내견이 대체분양(Replacement)되며 물론 이 경우에도 사용자교육(Client training)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참조 : http://dog.samsung.com/sitemap.htm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