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션2만달러 독후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처음 ‘미션 2만 달러’ 라는 책 제목만을 보았을 때에는 얼마전 유행하던 종잣돈 모으기 시리즈와 같은 흥미 위주의 가벼운 경제기본서 이겠거니 하며 얕보았었다.
그러나, 머리말에서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장까지 읽는 동안 손을 뗄 수 없었고 처음의 그러한 생각이 얼마나 어리석은 것이었나를 느끼는 데에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보스턴 컨설팅 그룹은 그동안 기계공학도로써의 공부만 해오던 학생에게는 생소한 이름이었으나 현재 우리의 현실을 깨닫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한 그들의 진단과 제안은 너무나도 명확하고 확실한 답안으로 느껴졌다. 물론 100%의 정답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내용에서 누구나가 공감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책의 구성을 보면 먼저 “1부 : 한국경제, 도약이냐 좌절이냐” 에서 우리의 현실에 대한 진단을 내렸다.
우리 대한민국은 50년 전후(戰後)의 아무것도 없던 폐허를 밟고 일어서 7,80년대 정부 주도하에 놀라운 고속성장을 거듭하고 급기야 88년 올림픽을 치르면서 최고의 찬사를 받으며 신흥경제강국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았고 중진국을 넘어 선진국으로 도약하려는 찰나에 그만 너무나도 이른 자만에 빠져 IMF 구제 금융을 받으며 경제주권을 내주고 과거 남미 여러나라들이 그랬듯이 주저 앉는 듯 했으나 예상을 깨고 단기간에 모든 빚을 상환하는 저력을 보여 주었으며 이제 다시 한번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잡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우리의 대응에 따라 국민소득 1만 달러의 벽을 넘어 2만 달러의 국가로 도약하는 N커브를 그릴 것이냐 아니면 결국 1만 달러의 벽에서 주저 앉은 M커브의 국가가 될 것 인가의 여부가 달려 있다.
이어지는 “2부 : 그릇된 믿음 깨야 도약 가능하다.” 를 통해 국민소득 2만달러의 국가로 가기 위한 국가 ,기업 ,국민 등 우리 모두의 자세 및 각오를 강조했다.
이를 위해 우선 다섯 가지의 그릇된 믿음을 제시했는데,
첫째, 산업이 경제성장을 견인 한다는 믿음이다. 누구나 당연히 받아들이는 내용으로 오류를 찾기 쉽지 않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21세기 경제성장을 이끌고 있는 주체는 기업이지 산업자체는 아니다. 국가의 경제성장을 위해 주력 산업을 제시하는 정부 정책은 기업활동에 도움을 주기보다는 오히려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산업중심의 시각은 경쟁력있는 기업이 피해를 볼 수 있는 여지가 있으며, 필연적으로 정부의 시장 간섭을 초래하여 시장의 왜곡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제시된 올바른 해답은 “기업을 키워야 산업도 성장한다” 는 것이다.
둘째, 경제력 집중을 억제하고 중소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다. 하지만 실제로 선진국과 비교해 한국경제의 경제력 집중도는 그리 높지않으며 국민소득 2만달러 달성이라는 높은 목표를 위해서는 중소기업 육성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경제력 집중도에 있어 보통 미국과 일본의 낮은 경제력 집중도 수치를 근거로 한 주장이 많으나 경제규모, 인구 등을 감안하면 우리와는 적절한 비교 대상이 아니며, 인구 수준이 비슷한 독일,영국,프랑스가 적절한데 이들의 경제력 집중도는 33~35%로 한국의 경제력 집중도가 29%와 비교했을 때 우리의 경제 집중도가 높지 않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중소기업 육성에 관한 내용에 있어 중소기업의 역할의 중요성은 인정해야 할 사항이다. 하지만 국내 중소기업의 상당수는 대기업과 함께 공생하는 특이한 구조하에 있으며 이 같은 경제 구조에서는 대기업의 성장이 곧 중소기업의 성장을 보장한다. 경제 성장의 출발점에서 중소기업을 근간으로 했던 대만과는 달리 대기업주도의 고속성장을 기반으로 출발한 우리 경제 구조의 바탕을 무시하고 이제 와서 갑작스런 중소기업 위주 정책으로의 전환 주장은 국가 경쟁력 향상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다. 중소기업 육성으로 경제력을 분산해야 한다는 주장 이전에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함께 성장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탄탄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중소 기업들 역시 국제 경쟁력을 갖추게 되어 대기업 의존 구조에서 탈피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두번째 잘못된 믿음의 올바른 해답은 “중소기업 육성만으로는 선진국 진입은 어렵다.” 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1.22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3225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