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헌고찰(원인 및 유형. 병태생리, 증상, 치료, 예후)
서론(연구 목적 및 필요성. 연구대상, 연구방법)
사례연구(자료수집, 기본임상자료, 간호진단 및 수행)
서론(연구 목적 및 필요성. 연구대상, 연구방법)
사례연구(자료수집, 기본임상자료, 간호진단 및 수행)
본문내용
예방하기 위하여 vital sign을 제거나 bed making을 한 후 항상 side rail을 올려 드렸다.
평가 : 낙상을 하거나 다른 신체적 손상이 없었다.
#2. 자아개념 장애와 관련된 사회적 고립감
objective data
① 표정이 굳어 있다.
② 혼자있고 싶어한다.
③ 항상 혼자 누워있거나 MP3를 귀에 꼽고 다른사람과의 의사소통이 별로 없었다.
subjective data
① “중심을 잡기가 힘들고 걸음걸이가 불안정해져서 불안해요.”
② “내가 몸이 이래서...”
목표 : 자신의 감정을 적절히 표현하고 사회활동에 참여하려는 의지를 보인다.
계획 & 수행
① 환자를 대할 때 항상 웃는 표정으로 대한다. - 환자를 대할 때 항상 웃는표정으로 상대 가 존중받고 있다는 듯 느끼도록 행동하였고 나중에는 “뭐들으세요?” “그냥 노래.. 한 번 들어볼래?” 라고 하며 대화를 하였고, 웃는 표정을 보였다.
② 타인들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가능한 기회를 제공한다. - 같은 병실을 사용하는 사 람들과 공통의 주제로 대화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③ 용기있는 행동을 격려한다. - 자신의 제한점을 인정하고, 그에맞는 운동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지지하였다.
④ 자기간호 활동이나 몸치장이 증가되었을 때 격려한다.
평가 : 환자가 웃고 이야기하는 빈도가 증가하였다.
#3. 안면근육강직 및 구음 근육장애와 관련된 구두의사 소통장애
objective data
① 말을할 때 알아듣지 못하도록 입안에서 우물우물대는 말을 한다.
② 말의 크기와 억양이 감소되었다.
③ 얼굴이 무표정하다.
목표 : 자신의 의사를 상대방이 알아들을 수 있는 발음과 억양으로 전달할 수 있다.
계획 & 수행
① 의도적으로 크고 과장되게 발음하도록 한다. - 입을 크고 정확하게 벌려서 말씀하도록 교육했다.
② 여유있고 천천히 말하게 한다. - 말씀하실 때 급할것이 없으니 천천히 말씀하시라고 하 였다.
③ 여유를 가지고 경청하여 환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요구를 파악하도록 한다. - 환자가 말 씀하실 때 다른 일은 생각하지 않으려 노력하고 환자분의 말에만 집중하여 한번에 알아 들을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④ 심호흡 연습을 하게 한다. - 심호흡으로 언어통제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심호흡을 하 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 최대한의 경청으로 환자분의 말을 잘 알아듣도록 노력하여 의사소통에 문제는 없었 으나, 환자분의 불분명한 발음은 잘 나아지지 않았다.
평가 : 낙상을 하거나 다른 신체적 손상이 없었다.
#2. 자아개념 장애와 관련된 사회적 고립감
objective data
① 표정이 굳어 있다.
② 혼자있고 싶어한다.
③ 항상 혼자 누워있거나 MP3를 귀에 꼽고 다른사람과의 의사소통이 별로 없었다.
subjective data
① “중심을 잡기가 힘들고 걸음걸이가 불안정해져서 불안해요.”
② “내가 몸이 이래서...”
목표 : 자신의 감정을 적절히 표현하고 사회활동에 참여하려는 의지를 보인다.
계획 & 수행
① 환자를 대할 때 항상 웃는 표정으로 대한다. - 환자를 대할 때 항상 웃는표정으로 상대 가 존중받고 있다는 듯 느끼도록 행동하였고 나중에는 “뭐들으세요?” “그냥 노래.. 한 번 들어볼래?” 라고 하며 대화를 하였고, 웃는 표정을 보였다.
② 타인들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가능한 기회를 제공한다. - 같은 병실을 사용하는 사 람들과 공통의 주제로 대화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③ 용기있는 행동을 격려한다. - 자신의 제한점을 인정하고, 그에맞는 운동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지지하였다.
④ 자기간호 활동이나 몸치장이 증가되었을 때 격려한다.
평가 : 환자가 웃고 이야기하는 빈도가 증가하였다.
#3. 안면근육강직 및 구음 근육장애와 관련된 구두의사 소통장애
objective data
① 말을할 때 알아듣지 못하도록 입안에서 우물우물대는 말을 한다.
② 말의 크기와 억양이 감소되었다.
③ 얼굴이 무표정하다.
목표 : 자신의 의사를 상대방이 알아들을 수 있는 발음과 억양으로 전달할 수 있다.
계획 & 수행
① 의도적으로 크고 과장되게 발음하도록 한다. - 입을 크고 정확하게 벌려서 말씀하도록 교육했다.
② 여유있고 천천히 말하게 한다. - 말씀하실 때 급할것이 없으니 천천히 말씀하시라고 하 였다.
③ 여유를 가지고 경청하여 환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요구를 파악하도록 한다. - 환자가 말 씀하실 때 다른 일은 생각하지 않으려 노력하고 환자분의 말에만 집중하여 한번에 알아 들을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④ 심호흡 연습을 하게 한다. - 심호흡으로 언어통제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심호흡을 하 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 최대한의 경청으로 환자분의 말을 잘 알아듣도록 노력하여 의사소통에 문제는 없었 으나, 환자분의 불분명한 발음은 잘 나아지지 않았다.
추천자료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통증클리닉에서 신경차단의 의미
신경계, SDH(Subdural Hematoma) Case study
말초신경계 장애 대상자 간호
추간판 탈출증 ,말초신경 손상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Peripheral nerve injury)
파킨슨(Parkinson's Disease)
파킨슨(Parkinson's disease)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Parkinson's disease(파킨슨병) Case Study
[임상신경학] 간대성 근경련에 관해
척수신경장애 조사
어깨 신체 검진 및 재활 운동 방법 (시진(Inspection), 뼈의 촉, 임상 구역에 의한 연부조직 ...
성인간호학) 배뇨장애 대상자의_간호(요정체, 요실금, 신경성 방광, 요역류, 수신증)
인지심리학_인지신경과학에서 뇌 기능의 국소성과 가소성이 갖는 함의에 대해 기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