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Introduction 2p
1. 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이란? 2p

Ⅱ. Discourse 3p

1. 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의 증상 3p
(1) 일차적 증상 3p
(2) 이차적 증상 4p
2. 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의 원인 4p
(1) 특발성(idiopathic) 또는 일차성(Primary) 4p
(2) 이차성(Secondary) 4p
(3) 파킨슨 플러스 증후군 4p
3. 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의 병태생리 4p
4. 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의 생화학적⦁면역학적 고찰
4p
(1) 기저핵의 구조와 생화학적 특성 및 정보전달 4p∼5p
(2) 기저핵의 조직적, 신경화학적 정보전달의 변화 5p
(3) 미토콘드리아 여러 복합체 결실 5p∼6p
5. 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의 진단 6p
6. 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의 치료 6p
(1) 약물 치료 6p∼7p
(2) 수술적 치료 7p
(3) 물리 치료 7p

Ⅲ. Conclusion 8p

Ⅳ. Reference 8p

본문내용

질린), 항우울제 등이 있다.
2) 수술적 치료
① 정위적 뇌수술
과거에는 많은 파킨슨병 환자들이 이 방법으로 수술을 받았다. 수술은 대개 시상부에 일부러 병변을 만들어줌으로써 시상부와 반대 측에서 나타나는 파킨슨병의 증상을 없애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따라서 이 수술 방법은 치료적인 목적보다는 증상 완화가 그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파킨슨병 치료 약제가 많이 개발되어 이 수술법의 필요성이 많이 떨어졌으나 약물로써 치료가 잘 안 되는 진전(떨림)의 경우 아주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② 이식수술
세포 배양술 및 수술 기법의 발달로 최근에는 도파민을 생성할 수 있는 세포를 직접 뇌에 이식하는 방법이 가능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태아의 신경세포나 환자 자신의 부신수질 세포를 이식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이 방법은 파킨슨병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교정시키고자 한다는 점에서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③ DBS 수술방법
MRI 촬영이후 전 극선 삽입 위치를 결정함
미세전극을 뇌의 중심부로 정밀하게 삽입함
수술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쇄골 밑 피 부 아래에 뇌의 미 세전극과 연결되는 전기 발생 장치를 삽입함
3) 물리 치료
파킨슨병에서 물리치료는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병의 진행을 막는 것이 아니라 현재 환자의 운동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관절이 굳어 버리지 않게 하는 예방적인 목적이 있다는 것이다.
인간 배아줄기세포가 도파민 신경세포로 분화하는 과정
Ⅲ. Conclusion
파킨슨병 환자의 운동계 즉, 피질-선조체-담창구 (흑질, 시상복측핵)-시상-전두엽의 회로 기능에 대한 보다 상세하고 정확한 신경망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변연계, 시각계, 청각계, 기억계, 소뇌 등 뇌의 다른 부위의 모델이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이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보다 상위의 시스템이 구현 가능해야 결국은 인간의 의지나 정서, 그리고 고도의 인지 기능 등도 그 기전을 보다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고 한다.
그리고 현재 도파민 생성을 촉진하거나 도파민 공격 과정을 차단함으로써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도파민 전구물질인 L-도파민을 공격하는 효소 억제 물질과 함께 중요한 파킨슨병 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 파킨슨병 환자의 손상된 뇌 세포에 사람의 신경세포를 이식해 저하된 기능을 회복시키거나 형질 전환된 돼지의 배아 세포를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 이식시키는 새로운 치료법을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중년의 나이에 천 명당 2명 정도에서 발생하는 파킨슨병은 진행을 중지시킬 수는 있어도 회복이나 예방은 불가능한 난치병으로 남아 있다.
신경세포가 파괴되어 가는 퇴행성 질환은 대부분 아직 그 원인이나 치료법이 잘 알려져 있지 않은데, 그 중 파킨슨병은 가장 많은 발병률을 보이고 평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환자수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여서 더욱 중요하다.
다행히 파킨슨병의 경우에는 그 치료에 있어서 눈부신 발전을 해왔으며, 활발한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도 계속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특히 증상의 조절을 위한 치료방침이 아니라 병의 진행을 막거나 이식 수술 등을 통하여 부족해진 신경세포를 직접 보충해 주는 등의 치료법 개발로 멀지 않은 장래에 파킨슨병을 정복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하고 있다.
Ⅳ. Reference
-파킨슨병 (윌리엄 J등/송진숙, 손영호 옮김)
-대한 파킨슨병 및 이상 운동 질환학회 KMDS (http://www.kmds.or.kr)
-한 눈에 알 수 있는 약리학(제3판)
도서출판 - 임동윤, 이은화 공역
-임상신경학 (고려의학/이광우, 정희원 편저)
-병리학 (대한병리학회/고문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7.31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19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