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1 경제학의 기본 성격
1.2 합리적 선택의 기초
1.3 경제적 자원과 생산가능곡선
1.4 국민경제의 기본골격
1.5 시장과 가격
1.2 합리적 선택의 기초
1.3 경제적 자원과 생산가능곡선
1.4 국민경제의 기본골격
1.5 시장과 가격
본문내용
-1>에서 보는 것과 같은 물고기와 딸기 생산 가능.
<표 1-1>
- 각자가 150시간을 딸기 따는 데, 그리고 나머지 150시간을 물고기 잡는 데 쓴다고 가정.
<표 1-2>
- 만약 둘 사이에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바로 이것이 각자 소비할 수 있는 딸기와 물고기의 양.
- 물고기 1마리 대 딸기 1그릇의 비율로 교환을 한다면, 두 사람은 모든 가용시간을 각자 자신이 상대적으로 더 잘 할 수 있는 생산활동에 투입. (크루소 → 물고기, 프라이데이 → 딸기) 물고기 200마리와 딸기 200그릇을 주고받았다면, 소비할 수 있는 딸기와 물고기 양은 다음과 같게 됨.
<표1-3>
- 두 사람 모두 교환을 통해 더 많은 딸기와 물고기를 소비할 수 있게 되었음 → 교환의 이득(gains from trade)
시장경제
- 市場經濟(market economy)는 국민경제의 여러 과제들을 기본적으로 시장의 힘에 의해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체제 의미. 모든 상품들의 가격이 시장에서 자유로이 결정된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특징.
- 統制經濟(command economy)는 정부의 통제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체제. 가격이 계획당국에 의해 인위적으로 결정.
- 混合經濟(mixed economy)의 등장.
가격기구
- 시장경제가 갖는 효율성은 과연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 효율성의 원천은 가격이 시장경제의 자원배분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데서 찾을 수 있음. 즉 價格機構(price mechanism)에 의해 무엇을, 어떻게, 그리고 누구를 위해서 생산하느냐의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에서 효율성이 나옴 → 스미스(A. Smith)의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
(1) 신호의 전달
- 가격은 소비자가 그 상품을 얼마나 원하고 있는지, 또는 생산자가 그 상품을 생산하는 데 얼마나 많은 비용이 드는지에 관한 정보 제공. 이 정보는 합리적인 경제활동의 기초.
(2) 유인의 제공
- 어떤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는 것은 그것을 더 많이 생산할 유인 제공. 특정한 기능을 보유한 사람에게 지불되는 높은 임금은 그와 같은 기능을 습득하게끔 만드는 유인.
(3) 소득의 분배
- 생산요소의 가격은 한 경제 안의 소득분배를 결정하는 일차적인 요인.
- 그러나 시장경제라고 해서 언제나 가격기구가 제대로 기능하는 것은 아님. 상황에 따라 가격이 아닌 配給(rationing)에 의해 자원이 배분되는 경우도 있음.
<표 1-1>
- 각자가 150시간을 딸기 따는 데, 그리고 나머지 150시간을 물고기 잡는 데 쓴다고 가정.
<표 1-2>
- 만약 둘 사이에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바로 이것이 각자 소비할 수 있는 딸기와 물고기의 양.
- 물고기 1마리 대 딸기 1그릇의 비율로 교환을 한다면, 두 사람은 모든 가용시간을 각자 자신이 상대적으로 더 잘 할 수 있는 생산활동에 투입. (크루소 → 물고기, 프라이데이 → 딸기) 물고기 200마리와 딸기 200그릇을 주고받았다면, 소비할 수 있는 딸기와 물고기 양은 다음과 같게 됨.
<표1-3>
- 두 사람 모두 교환을 통해 더 많은 딸기와 물고기를 소비할 수 있게 되었음 → 교환의 이득(gains from trade)
시장경제
- 市場經濟(market economy)는 국민경제의 여러 과제들을 기본적으로 시장의 힘에 의해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체제 의미. 모든 상품들의 가격이 시장에서 자유로이 결정된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특징.
- 統制經濟(command economy)는 정부의 통제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체제. 가격이 계획당국에 의해 인위적으로 결정.
- 混合經濟(mixed economy)의 등장.
가격기구
- 시장경제가 갖는 효율성은 과연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 효율성의 원천은 가격이 시장경제의 자원배분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데서 찾을 수 있음. 즉 價格機構(price mechanism)에 의해 무엇을, 어떻게, 그리고 누구를 위해서 생산하느냐의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에서 효율성이 나옴 → 스미스(A. Smith)의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
(1) 신호의 전달
- 가격은 소비자가 그 상품을 얼마나 원하고 있는지, 또는 생산자가 그 상품을 생산하는 데 얼마나 많은 비용이 드는지에 관한 정보 제공. 이 정보는 합리적인 경제활동의 기초.
(2) 유인의 제공
- 어떤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는 것은 그것을 더 많이 생산할 유인 제공. 특정한 기능을 보유한 사람에게 지불되는 높은 임금은 그와 같은 기능을 습득하게끔 만드는 유인.
(3) 소득의 분배
- 생산요소의 가격은 한 경제 안의 소득분배를 결정하는 일차적인 요인.
- 그러나 시장경제라고 해서 언제나 가격기구가 제대로 기능하는 것은 아님. 상황에 따라 가격이 아닌 配給(rationing)에 의해 자원이 배분되는 경우도 있음.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무용(전통무용, 민속무용, 전통춤) 성격과 종류, 한국무용(전통무용, 민속무용, 전통춤) ...
인격교육(인격지도)의 성격, 인격교육(인격지도)의 필요성, 인격교육(인격지도)의 기본방향, ...
수학과(수학교육)의 성격과 목표,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수...
영어(영어과)교육과정의 성격, 영어(영어과)교육과정의 목적, 영어(영어과)교육과정의 기본 ...
초등학교 자연과수업(학습, 교육)의 목표와 기본방향, 초등학교 자연과수업(학습, 교육)의 성...
초등학교 자연과교육(수업, 학습)의 목적과 성격, 초등학교 자연과교육(수업, 학습)의 기본방...
도덕과(도덕수업, 도덕교육) 성격,목표, 도덕과(도덕수업, 도덕교육) 기본방향,교육중점, 도...
[정보통신윤리교육]정보윤리의 개념, 정보윤리의 성격, 정보윤리의 수행기능, 정보통신윤리교...
교육정책의 개념, 성격, 노무현정부(참여정부)교육정책의 행보와 공약, 노무현정부(참여정부)...
[제7차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의 특성, 제7차교육과정의 성격, 제7차교육과정의 개정 배경, ...
[재량활동]재량활동(재량활동교육과정)의 성격과 목적, 재량활동(재량활동교육과정)의 교육적...
[실과][실과교육]실과(실과교육)의 성격, 실과(실과교육)의 기본방향, 실과(실과교육)의 내용...
[정보윤리교육][정보윤리교육의 과제]정보윤리교육의 성격, 정보윤리교육의 목표, 정보윤리교...
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이론 - 인간관과 기본관점, 주요개념, 마음의 지향학적 모델,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