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가족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가족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중국의 가족이란?

2. 중국의 인구가 급격히 증가 하게 된 원인

3. 중국의 가족계획

4. 중국의 가족계획으로 인해 나타난 부작용
(1)소황제
(2)인구의 노령화
(3)성비의 불균형

5. 현대 중국가족의 특징

6. 앞으로의 중국의 가족

본문내용

목소리를 높였다.
이 병원에서 일하는 의사 샹위자오는 “산부인과를 찾는 환자의 80~90%가 낙태수술을 받으려는 것”이라며 “젊은이들의 성개방 풍조와 남아선호 사상 때문에 낙태를 근절시키기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결혼 못한 남성들의 욕구불만으로 인해 성범죄와 인신매매가 빈발하고 있고, 농촌을 떠난 젊은 남성들이 무작정 도시로 밀려들고 있지만 중국정부는 뾰족한 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시난사범대학 사회학과 리강 교수는 “기형적인 ‘한 가정 한 자녀’ 정책과 전통적인 남아선호사상에 대한 획기적인 개선책이 없이는 정부의 조처가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5. 현대 중국 가족의 특징
1) 대남대녀(大男大女: 따난따뉘)
-\"정상적인 혼기를 넘기고도 미혼인 남녀를 말함.\"
이를 구체적인 연령으로 보면, 28에서 35세까지를 말한다. 이 대남대녀가 신조어가 된 것은 30세에서 44세까지의 독신자가 795만명(1995년 통계)인데, 그 중 남성이 728만명(91.6퍼센트), 여성이 67만 명(8.4퍼센트)이라는 발표가 있은 후부터이다.
2) 중국식 DINKs족
-\"불효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 자손이 없는 것이 가장 크다.\" 라는 맹자의 말이 있다. 맹자의 가르침은 유교문화권에서는 매우 중요하게 받아들여졌다. 일찍이 장남은 대를 이을 아이를 소중하게 여겨졌으며, 남자아이가 없는 집에서는 데릴사위를 들여 가문의 대가 끊어지지 않도록 했다. 유교의 종가(宗家)인 중국에서 \'후계\'는 당연한 것이었는데, 이런 중국에서 문자 그대로 아이 없이 생활을 즐기겠다는 젊은 부부가 출현하고 있다. 1993년 초, 중국의 한 사회학자의 통계에 의하면 그 수가 5만 쌍에 이른다고 한다.
맹자의 가르침이 생활의 규범으로서 수천년에 걸쳐 금과옥조의 무게를 지녀온 것을 생각한다면, DINKs를 표방하고 나온 젊은 커플들의 등장은 실호 혁명적인 것이었다. 중국 사회과학원의 조사에 의하면 중국판 DINKs의 대부분은 고학력의 대도시 거주자로, 아이를 갖지 않는 이유를 들어보면, \"앞으로의 경제적인 부담이 걸린다.\"(60%) \"아이의 장래가 불안하다.\"(57%) \"현재의 생활수준을 낮추지 않으면 안된다.\"(47%)였다고 한다. 이러한 아이를 적게 낳는 경향은 풍요로운 사회의 공통적인 현상이 되어가는 듯하다.
3) 이혼붐
-개혁, 개방의 영향은 부부관계에도 미치고 있다. 그중 하나가 \'이혼붐\'이라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국 민정부(民政府)에 의하면 1993년만 해도 이혼건수가 90만 9,000건에 달했다. 결혼하는 커플이 연간 900만 쌍이라니까, 이혼율은 10퍼센트가 되는 것이다. 2년 전에 비해 약 세배가 불어난 것이며, 재판소에 이혼소송을 신청한 커플은 150만 쌍이나 된다고 한다. 이혼의 대부분은 쌍방의 합의에 의한 것이지만, 결말이 나지 않아 재판소에 소송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 숫자는 전체 민사소송 건수의 절반에 해당된다.
이혼하는 사정은 가지각색이지만 개혁, 개방 이후의 풍족한 삶이 예상하지 못한 파국을 초래한 경우도 있다.

키워드

가족,   중국,   소황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1.30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37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