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사회복지사 (카운셀러, 상담자) 와 윤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담] 사회복지사 (카운셀러, 상담자) 와 윤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대하여 생각 본다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이익: 다시 약물을 하고 싶다는 충동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비밀로 할 경우 약물 중독이 재발되지 않고 부인이 이 사실을 계속 모른다면 이씨 부부의 관계는 유지 될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대한 신뢰도가 상승되어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관계가 더욱 증진되고 이를 통해 상담과 조언을 잘 따를 수 있을 것이며 그로 인해 재발을 방지 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손해: 다시 약물을 하고 싶다는 충동을 부인이 모를 경우 이에 대한 예방이나 주의를 할 수 없어 약물중독이 재발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부관계는 유지되기 힘들 것이다.
이런 것을 고려해 보건데, 비밀보장이 지켜지던 안지켜 지던 부부관계는 위협을 받을 상황에 놓일 수 있으며 비밀이 지켜질 경우 재발이라는 최악의 상황까지 초래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직접 이씨를 통해 부인에게 약물충동에 대한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사회복지사는 이를 옆에서 도와줌으로써 약물의 재발을 막고, 부부관계도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C: 가장 윤리적 선택을 위하여 슈퍼바이저나 동료의 자문을 구한다.
슈퍼바이저나 동료의 자문의 경우 판단은 생각 할 수 없었다.
사회복지사 차씨는 결혼생활이 거짓에 의해 지속되고 있을 때 장래에 대한 좋은 기대를 하기 어려우며, 아내에게 중요한 사실을 숨김으로써 남편 자신의 마음의 평화와 위협을 받고 있는 것도 염려된다고 이야기 할 것이다. 사회복지사는 남편이 아내에게 어떻게 진실을 알릴 것인지 생각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도박문제를 아내에게 알리는 데 대한 감정들을 다루기 위해서 일정 회기의 상담을 가질 것을 남편에게 제안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은 남편의 도박문제와 부부문제를 계속 다루면서 남편이 아내를 고의로 속이는 것을 중단하게 할 것이며, 이씨 부부의 알 권리와 사회복지사 차씨의 권리를 모두 보호하는 최선의 결과를 얻게 할 수 있다. 이 후에 사회복지사는 부부간의 신뢰감 형성을 위한 부부상담 서비스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Ⅲ. 결론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의사결정모형은 윤리적 딜레마에 자주 직면하게 되는 사회복지사들의 윤리적 갈등을 해결하는데 guide line이 되고 있으며, 다방면 다각도에서 문제를 해석함으로 인해 가장 이상적인 해결방법을 찾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문제를 여러각도에서 분석하고 윤리적으로 이상적인 답을 찾는데 도움은 줄 수 있지만 그 방법대로 행동한 후의 평가나 차후에 예상되어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지침을 주고 있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을 이용하여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개인, 그리고 사회와 전문가 등 여러 가치를 파악하고 여러 윤리원칙을 적용하여 각각의 대안의 따른 결과를 예측하여 동료와 슈퍼바이저의 자문을 구해 결정을 하는 방법을 통해 사회적 합의와 객관성을 부여받는 장점에 덧붙여 행동후의 평가와 선택후의 문제의 따른 해결방안의 현실성등을 추가한 모형이 필요 할 것이라고 생각 하였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2.01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39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