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진단
2. 간호사정
3. 간호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중재
6. 이론적 근거
7. 간호평가
8. 참고문헌
2. 간호사정
3. 간호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중재
6. 이론적 근거
7. 간호평가
8. 참고문헌
본문내용
병이나 빨대컵을 이용해 물을 주되, 아이가 원하는 방법이 있다면 그대로 해주도록 설명했다.
구토 및 설사 후에는 위장관이 민감한 상태이므로 소량씩 반복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보호자 교육이 중요하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1.퇴원 시 대상자는 탈수 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고, 체내 수분 상태가 정상적으로 유지되었다. (달성)
2.퇴원 시 하루 소변량(기저귀 무게) 1200ml 이상으로 정상 범위에 들었으며, 소변 횟수는 5회로 정상화되었다. (달성)
단기목표
1.대상자는 2일 이내에 구토 횟수가 1회 이하로 감소했다. (달성)
2.대상자는 2일 이내에 구강 점막이 촉촉해지고, 입술의 건조 증상이 80% 이상 호전되었다. (달성)
3.대상자는 하루 소변량이 1L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기저귀 교환 횟수는 5회 이상이었다. (달성)
4.3일 이내에 설사 횟수가 4회 이하로 감소하였고, 대변의 상태도 점차 정상 형태로 회복되었다. (달성)
5.소변이 정상 색깔(Yellow)로 기저귀 패드에 관찰되었다. (달성)
6.대상자의 체중이 0.3kg 이상 증가하였으며, 체중은 9.7kg에서 10.0kg 되었다. (달성)
참고문헌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23
·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021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지, “소아 급성 탈수의 병태생리와 관리”, 2020.
· 아동건강 간호학 김미예 2015 수문사
· 소아 급성과 만성설사 질환: 다시 원점에 서다, 황진복,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장염아동간호 시뮬레이션의 성찰일지 분석, 지은선,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간호학과, 원광대학교 간호학과
구토 및 설사 후에는 위장관이 민감한 상태이므로 소량씩 반복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보호자 교육이 중요하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1.퇴원 시 대상자는 탈수 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고, 체내 수분 상태가 정상적으로 유지되었다. (달성)
2.퇴원 시 하루 소변량(기저귀 무게) 1200ml 이상으로 정상 범위에 들었으며, 소변 횟수는 5회로 정상화되었다. (달성)
단기목표
1.대상자는 2일 이내에 구토 횟수가 1회 이하로 감소했다. (달성)
2.대상자는 2일 이내에 구강 점막이 촉촉해지고, 입술의 건조 증상이 80% 이상 호전되었다. (달성)
3.대상자는 하루 소변량이 1L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기저귀 교환 횟수는 5회 이상이었다. (달성)
4.3일 이내에 설사 횟수가 4회 이하로 감소하였고, 대변의 상태도 점차 정상 형태로 회복되었다. (달성)
5.소변이 정상 색깔(Yellow)로 기저귀 패드에 관찰되었다. (달성)
6.대상자의 체중이 0.3kg 이상 증가하였으며, 체중은 9.7kg에서 10.0kg 되었다. (달성)
참고문헌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23
·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021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지, “소아 급성 탈수의 병태생리와 관리”, 2020.
· 아동건강 간호학 김미예 2015 수문사
· 소아 급성과 만성설사 질환: 다시 원점에 서다, 황진복,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장염아동간호 시뮬레이션의 성찰일지 분석, 지은선,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간호학과, 원광대학교 간호학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