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 무엇이 문제인가
- 급한 밥이 체한다
- 교육 정책의 과제
3. 결론
2. 본론
- 무엇이 문제인가
- 급한 밥이 체한다
- 교육 정책의 과제
3. 결론
본문내용
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일본의 교육까지도 답습하고 있는 우리의 교육 현실은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문제점 또한 앞서간다는 뜻인가. 정말 가슴을 치며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
기본적으로 우리나라의 교육제도가 미국의 교육제도를 본받은 것이지만 그 안에는 일본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일제 치하의 시대에 일본에서 근대식 학교를 설치한 이후 그 이름만 바꾸어 지속하였기 때문이고, 많은 부분 일본의 것을 따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울지라도 사실이며, 때문에 일본의 교육에서 학력저하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된다는 것은 우리에게도 심각한 일이 아닐 수가 없다. 시기적으로 일본이 조금 빠르게 교육제도, 방법, 입시제도, 게다가 발생하는 청소년 문제점이 들어나면 얼마 후 우리나라에도 똑같이 문제점이 유사하게 발생하고 그 해결책 또한 많이 흡사하다고 생각했다.
이 책의 저자는 마지막에 아이들이 배움으로부터 도주하는 현상이나 학력 저하 현상의 실태보다 그 현상을 둘러싼 정책이 매우 잘못되었다고 말한다. 물론 내 생각 또한 정책의 잘못이 크다고 생각한다. 또한 동아시아형 교육의 특징도 한몫을 했다는 데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교육정책을 추진하고 확정하는 사람들의 안일함이 이러한 지경까지 이르게 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인적자원부나 일본의 문부과학성에서 그 사회적 특징을 깨닫고 그 근원부터 변화를 꾀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즉 학력이 저하되었다는 사실에 수준별 학습지도와 소집단지도를 추진하고 학력향상 중점학교를 세우는 일부적인 문제만을 개선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부서들과 협력하여 사회의 전반적인 분위기의 변화와 함께 그 해결책을 찾아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사토마나부의 책에서 나온 문제 및 해결책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이 따로 있다고 말하고 싶다. 교육 정책의 변화는 어느 정도의 한계선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정말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리 미래교사들이 앞장서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 청소년들에게 따뜻한 손길을 내밀어야 한다.”는 콜린 파월의 말처럼 배움으로부터 도주하려는 우리 아이들에게 교사가 먼저 손 내밀어 잡아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보면 이렇게 많은 청소년 범죄가 일어나는 것도 교사가 더 신경 쓰고 잘한다면 그러한 일들도 많이 줄어들 것이다. 또한 이렇게 배움을 싫어하고 힘들어하는 것도 사회적인 상황이 무조건 학력 위주만이 아닌 다른 인간적인 것을 지향하는 상황이 된다면 아이들의 방황을 조금이라도 더 잡아주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생긴다.
우리들은 모두 다 훌륭한 교사가 되길 소망하고 있다. 모든 학생들이 똑똑하고 올바르게 자라나 우리나라의 빛이 되길 기도하고 바라고 있다. 그러기 위해선 사토마나부가 말한 것 처럼 아이들의 창조적·탐구적 사고를 키워주어야 하고, ‘공부’로 부터 벗어나 이제는 ‘배움’이라는 단어가 우리에게 친숙해져야 할 때이다. 즉 교육 제도의 개선뿐만 아니라 우리 교사들이 배움이라는 밧줄로 아이들을 이끌어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우리나라의 교육제도가 미국의 교육제도를 본받은 것이지만 그 안에는 일본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일제 치하의 시대에 일본에서 근대식 학교를 설치한 이후 그 이름만 바꾸어 지속하였기 때문이고, 많은 부분 일본의 것을 따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울지라도 사실이며, 때문에 일본의 교육에서 학력저하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된다는 것은 우리에게도 심각한 일이 아닐 수가 없다. 시기적으로 일본이 조금 빠르게 교육제도, 방법, 입시제도, 게다가 발생하는 청소년 문제점이 들어나면 얼마 후 우리나라에도 똑같이 문제점이 유사하게 발생하고 그 해결책 또한 많이 흡사하다고 생각했다.
이 책의 저자는 마지막에 아이들이 배움으로부터 도주하는 현상이나 학력 저하 현상의 실태보다 그 현상을 둘러싼 정책이 매우 잘못되었다고 말한다. 물론 내 생각 또한 정책의 잘못이 크다고 생각한다. 또한 동아시아형 교육의 특징도 한몫을 했다는 데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교육정책을 추진하고 확정하는 사람들의 안일함이 이러한 지경까지 이르게 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인적자원부나 일본의 문부과학성에서 그 사회적 특징을 깨닫고 그 근원부터 변화를 꾀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즉 학력이 저하되었다는 사실에 수준별 학습지도와 소집단지도를 추진하고 학력향상 중점학교를 세우는 일부적인 문제만을 개선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부서들과 협력하여 사회의 전반적인 분위기의 변화와 함께 그 해결책을 찾아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사토마나부의 책에서 나온 문제 및 해결책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이 따로 있다고 말하고 싶다. 교육 정책의 변화는 어느 정도의 한계선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정말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리 미래교사들이 앞장서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 청소년들에게 따뜻한 손길을 내밀어야 한다.”는 콜린 파월의 말처럼 배움으로부터 도주하려는 우리 아이들에게 교사가 먼저 손 내밀어 잡아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보면 이렇게 많은 청소년 범죄가 일어나는 것도 교사가 더 신경 쓰고 잘한다면 그러한 일들도 많이 줄어들 것이다. 또한 이렇게 배움을 싫어하고 힘들어하는 것도 사회적인 상황이 무조건 학력 위주만이 아닌 다른 인간적인 것을 지향하는 상황이 된다면 아이들의 방황을 조금이라도 더 잡아주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생긴다.
우리들은 모두 다 훌륭한 교사가 되길 소망하고 있다. 모든 학생들이 똑똑하고 올바르게 자라나 우리나라의 빛이 되길 기도하고 바라고 있다. 그러기 위해선 사토마나부가 말한 것 처럼 아이들의 창조적·탐구적 사고를 키워주어야 하고, ‘공부’로 부터 벗어나 이제는 ‘배움’이라는 단어가 우리에게 친숙해져야 할 때이다. 즉 교육 제도의 개선뿐만 아니라 우리 교사들이 배움이라는 밧줄로 아이들을 이끌어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과학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의 개념과 도입배경, 과학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
단계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학습)의 정의와 필요성, 단계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학습) 운영실...
사회과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 정의와 의의, 사회과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 편성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학습)의 정의,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학습) 편성...
과학과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 의미와 의의, 과학과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 실태와...
국어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의 개념과 목표, 국어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 구분...
단계형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의 정의와 취지, 단계형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의 운...
사회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 개념과 목표, 사회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 내용체...
수학과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의 의미와 취지, 수학과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의 뉴...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 개념과 성격,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 이론적 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의 의미와 필요성,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의 연구...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학습)의 정의와 성격,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학습) 도입배경...
[제7차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의 도입 과정, 제7차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제7차교육과정 추구...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경험과 교육듀이의 경험중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듀이의 교과발달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