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백의종군로 중 화성시 일대 소개
2. 해당 지역 답사 계획과 일정
3. 일정에 따라 답사한 유적, 유물 등에 대한 소개 및 소감
4. 향후 답사해보고 싶은 지역과 이유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자료
Ⅰ. 서론
Ⅱ. 본론
1. 백의종군로 중 화성시 일대 소개
2. 해당 지역 답사 계획과 일정
3. 일정에 따라 답사한 유적, 유물 등에 대한 소개 및 소감
4. 향후 답사해보고 싶은 지역과 이유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자료
본문내용
며 조성하였다는 점에서 정조가 돌아가신 아버지를 얼마나 생각하였을까를 곱씹어보게 되었고 이에 따라 용주사가 이순신 백의종군로에서 더 깊은 울림을 주는 유적이라 판단된다.
4. 향후 답사해보고 싶은 지역과 이유
이번 답사는 수원 구운초등학교 부근에서 용주사로 이어지는 길을 도보로 탐방하였다. 목표한 답사 일정을 정해둔 채 이동하였다는 점에서 중간에 코스를 변경하는 것이 다소 어렵게 느껴졌다. 배양교 부근에서 알게 된 백천장 선생 묘 또한 화성에 존재하는 유적이라는 점을 알게 됨으로써 이곳에 관한 관심이 생기게 되었다. 백천장 선생은 고려의 문신이다. 정조가 사도세자의 능을 옮겼을 당시에도 백천장 선생 묘는 그대로 보존하였는데 이러한 점을 통해 정조가 백천장 선생 묘를 왜 그대로 보존하고자 하였으며 그곳이 지니는 가치는 무엇인가에 대한 관심을 품게 되었다. 또 다른 지역은 이순신 백의종군로 중 한 곳인 아산을 방문하고 싶다. 이순신 장군은 아산에서 약 보름간 머물렀다고 하는데 어머니의 부고를 들은 부근이 바로 아산이라는 점에서다. 아산에 도착하였을 때의 이순신의 심정을 생각하며 백의종군로를 걷게 된다면 애타는 심정과 함께 느껴질 아산의 풍경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Ⅲ. 결론
역사적으로 높이 칭송받는 인물 중 한 명인 이순신 장군이 걸었던 길을 따라 걸어보며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당시와 같은 정감이 들지 못하는 길로 변화되었으나 때로는 자연 속에서 때로는 달라진 환경 속에서 마주했던 백의종군로라는 점이 이 길의 가치를 높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서울에서부터 합천까지 이어지는 길목에 불과했던 화성이었으나 화성시가 담고 있는 다양한 소리와 모습은 때로는 가볍게 걷는 것만으로도 역사를 배우고 느낄 수 있다는 점을 일깨워 주었다. 이순신 장군의 발자취를 따라 백의종군로를 걷다 보면 지역의 특성은 물론 그곳을 통해 다음을 마련하고자 했던 장군의 희망도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화성과 수원이 정조의 효를 나타내는 곳인 것처럼 이순신 장군의 백의종군로에서 느껴지는 효심 또한 앞으로 우리가 보고 배워야 할 가치 있는 유산이 아닐까 하고 생각해본다.
Ⅳ. 출처 및 참고자료
송찬섭 외(2021).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용주사 홈페이지
http://www.yongjoosa.or.kr/
화성시 문화관광. 용주사.
https://tour.hscity.go.kr/NEW/1tour/history2.jsp
4. 향후 답사해보고 싶은 지역과 이유
이번 답사는 수원 구운초등학교 부근에서 용주사로 이어지는 길을 도보로 탐방하였다. 목표한 답사 일정을 정해둔 채 이동하였다는 점에서 중간에 코스를 변경하는 것이 다소 어렵게 느껴졌다. 배양교 부근에서 알게 된 백천장 선생 묘 또한 화성에 존재하는 유적이라는 점을 알게 됨으로써 이곳에 관한 관심이 생기게 되었다. 백천장 선생은 고려의 문신이다. 정조가 사도세자의 능을 옮겼을 당시에도 백천장 선생 묘는 그대로 보존하였는데 이러한 점을 통해 정조가 백천장 선생 묘를 왜 그대로 보존하고자 하였으며 그곳이 지니는 가치는 무엇인가에 대한 관심을 품게 되었다. 또 다른 지역은 이순신 백의종군로 중 한 곳인 아산을 방문하고 싶다. 이순신 장군은 아산에서 약 보름간 머물렀다고 하는데 어머니의 부고를 들은 부근이 바로 아산이라는 점에서다. 아산에 도착하였을 때의 이순신의 심정을 생각하며 백의종군로를 걷게 된다면 애타는 심정과 함께 느껴질 아산의 풍경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Ⅲ. 결론
역사적으로 높이 칭송받는 인물 중 한 명인 이순신 장군이 걸었던 길을 따라 걸어보며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당시와 같은 정감이 들지 못하는 길로 변화되었으나 때로는 자연 속에서 때로는 달라진 환경 속에서 마주했던 백의종군로라는 점이 이 길의 가치를 높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서울에서부터 합천까지 이어지는 길목에 불과했던 화성이었으나 화성시가 담고 있는 다양한 소리와 모습은 때로는 가볍게 걷는 것만으로도 역사를 배우고 느낄 수 있다는 점을 일깨워 주었다. 이순신 장군의 발자취를 따라 백의종군로를 걷다 보면 지역의 특성은 물론 그곳을 통해 다음을 마련하고자 했던 장군의 희망도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화성과 수원이 정조의 효를 나타내는 곳인 것처럼 이순신 장군의 백의종군로에서 느껴지는 효심 또한 앞으로 우리가 보고 배워야 할 가치 있는 유산이 아닐까 하고 생각해본다.
Ⅳ. 출처 및 참고자료
송찬섭 외(2021).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용주사 홈페이지
http://www.yongjoosa.or.kr/
화성시 문화관광. 용주사.
https://tour.hscity.go.kr/NEW/1tour/history2.jsp
추천자료
중․고등학교에서 국사교육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안
일본의 옛 수도 '나라' 살펴보기
소수서원 보고서
머드의 고장 보령 기행
고등학교 국사과(국사교육) 특성과 목적, 고등학교 국사과(국사교육) 기본방향과 영역별내용,...
기행문(여행보고서) 개념과 특성, 기행문(여행보고서) 종류, 기행문(여행보고서) 작성과정과 ...
안동의 인간과 자연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교육적 의미와 필요성,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목표와 기본원칙, 재량활동...
[한국 종교][영국 종교][미국 종교][이스라엘 종교][일본 종교][몽골 종교][메소포타미아 종...
[민족교육][민족교육 정의][민족교육 중요성][민족교육과 역사교육][민족교육과 북한][민족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