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교에서 국사교육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국사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1. 국사교육의 변천 과정 및 현황
2. 국사교육의 문제점

Ⅲ. 국사교육의 새로운 모색
1. 역사의식 발달에 따른 수업
2. 적절한 교육과정 채택
3. 효율적인 수업지도방법의 채택
4. 교사의 자세

Ⅳ. 맺으며

본문내용

할 것이다. 가령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는 훌륭한 교재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순히 교과서로만 수업을 한다는 생각은 버려야 할 것이다. 창의적으로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끔 교과서를 재구성하고 부교재를 다양하게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역사신문을 스스로 만들어 보게 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는 시간이 흐를수록 그 수업활동이 그대로 쌓이게 됨으로 학생 스스로도 성취감을 느낄 것이며 다음 학기에 훌륭한 부교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④ 기자재 활용
수업 진행시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슬라이드나 비디오, OHP, 플랙스 캠, 실물화상기, 컴퓨터 등 다양한 기자재를 통한 시청각교육을 병행하며 각각의 주제에 맞는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그에 따라 지도 및 그림, 사진 등을 적극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그러한 능력을 갖춰야 할 것이다.
⑤ 국사교사들간의 연계
이 같은 노력은 국사과 교사들의 연계로 공동작업을 하면 더 많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각 학교별로 지역적 특수성과 여건을 바탕으로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인터넷이나 교류를 위한 공동의 조직 틀을 이용하여 교류하게 되면 교사들은 지금보다 훨씬 폭넓고 다양한 내용과 자료를 가지고 수업을 전개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 같은 교류를 토대로 교사들이 정기적으로 새로운 수업 형태와 내용 조직 방안을 가지고 토론하고 협의하는 자리를 권역별·도 전체 차원에서 가질 수 있게 된다면 국사교육의 활성화와 교사들의 사기 진작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⑥ 기타
격려와 칭찬을 많이 한다. 한 번의 격려와 칭찬으로 학생들은 자신감을 갖고 성취 동기가 발생한다.
철저하게 지금, 여기, 우리들을 생각하면서 수업 준비를 한다. 현실 삶 속에 널린 언어 자료를 바탕으로 수업을 준비하고 진행한다. 교실에서의 45분을 위해 4시간 이상을 준비한다는 생각으로 임한다. 주변의 모든 것을 국사과 수업 자료로 생각하면서 바라본다. 신문도 라디오도 TV까지도.
Ⅳ. 맺으며
앞으로 국사교육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왜 가르쳐야 하느냐, 즉 목적과 내용 문제에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제시가 있어야 한다. 학계를 비롯한 역사교육 관련자들은 국사교육의 목적이 무엇이고 구체적으로 각급 학교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목표"제시까지 할 수 있어야 한다. 과거에 흔히 역사의 유용성으로 제시된 감계, 유산전승, 현대이해 등이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는 터에 "국사를 배워야지!"식은 공허한 구호일 뿐이다. 그렇다고 "배달의 얼", "민족정기", "선비정신" 등 지극히 추상적인 용어들을 국사교육의 목표로 인식하고 있다면 잘못이다. 이들 용어는 비역사적일 뿐만 아니라 학생이 당면한 구체적이고 복합적인 문제에 답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사과 내용의 다양성, 체계성 및 균형의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많은 학자들이 생각하듯 각급 학교의 국사는 학문적 성과의 요약을 가르치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그들에게 필요하고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을 요구하고 있다. 국사내용이 특정 방법론이나 학생외적 요구에 선제되어 선정된다면 자주적 시민양성이란 원래 국사교육 목적에도 위배되는 것이다.
또한 정보화·국제화 등으로 표현되는 변화의 조류 속에서 현장 역사교육도 능동적으로 변화를 모색하고 실현해 나가야 한다. 흔히들 본격적인 정보화시대에 진입하면 기존의 학교개념이 바뀐다고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그것은 가상일 뿐 현실은 아니다. PC사용, 인터넷 활용, 사이버 학습 등이 학교 수업의 형태와 방법을 크게 바꾸어 놓으리라는 점은 사실이겠지만, 그렇다고하여 국사과의 기본틀이 바뀐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따라서 국사·사회과의 분야에서 21세기에 대응하는 기본방향은 우선 현재까지의 문제점 개선을 축으로 하고 예상되는 변화와 특성에 조응하는 일이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1. 김태식·이용욱.「고등학교 역사교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연구」. 진단학보. 1999. 12.
2. 금경숙.「역사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강원사학. 1996
3. 양호환 외. 역사교육의 이론과 방법. 삼지원. 1997.
4. 박덕규.「역사용어와 역사교육」. 강원대학교. 1997
5. 양호환. 역사교육의 연구와 방법론.역사교육. 1994
6. 박용식.「신교육론과 역사 교육 사상」. 강원대학교. 1997
7. 류승렬.「교육과정 개편과 현장 역사교육」. 강원대학교. 1997
8. 전국역사교사모임. 우리역사 어떻게 가르칠까. 푸른나무. 1995.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5.20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02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