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검열이란
2최근 대두 되었던 검열 요청 영상물
3논란이 되어온 대표적인 영화들 분류
4우리나라 영화 검열법의 변천
5검열에 대한 찬,반 의견
6우리의 의견
2최근 대두 되었던 검열 요청 영상물
3논란이 되어온 대표적인 영화들 분류
4우리나라 영화 검열법의 변천
5검열에 대한 찬,반 의견
6우리의 의견
본문내용
검열이란 무엇인가?
-그 명칭이나 형식과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행정권이 주체가 되어
사상이나 의견등이 발표되기 이전에
예방적 조치로서 그 내용을 심사,
선별하여 발표를 사전에 억제하는,
즉 허가받지 아니한 것의 발표를
금지하는 제도
최근 대두 되었던 검열 요청 영상물
-(1) 고 김선일씨 참수 비디오
논란: ‘김선일씨를 두 번 죽이는 일이다’ 와 ‘알권리가 있음으로 봐도된다’의 대립.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덕적으로 보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에 강하다.
결과:정부는 유포하는 네티즌들에게 처벌할 것을 경고
(2) 이승연씨의 종군 위안부
사건: 이승연씨가 일본군 ‘위안부’를 소재로 한 누드 화보집을 찍으며 할머니들의 한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려 했다는 전 국민적인 분노가 들끓었다.
결과: 누드 파문은 필름이 전량 소각되고 이씨가 할머니들을 찾아 무릎을 꿇고 눈물로 사죄하며 막을 내림
(3) 그때 그사람들
사건: 고인에 대한 명예훼손 문제로 박정희 대통령의 아들인 박지만씨가 상영금지 가처분 신청
결과: 서울중앙지법 민사50부(이태운 부장판사)는 문제가 된 세 장면을 삭제하지 않으면 상영할 수 없다고 결정함
(4)죽어도 좋아
사건: 과도한 성애 노출에 의한 제한 상영가 등급 결정되었다.
결과: 비디오 배급사인 새롬엔터테인먼트도 7분 간의 성애 장면을 어둡게 처리해 `18세 관람가' 등급을 받은 상영본과 동일한 필름으로 심의를 신청해 동일한 등급을 얻어냈다.
논란이 되어온 대표적인 영화들 분류
1) 지나친 폭력 과 고어
60년대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신체 훼손영화 장르인 고어 영화의 시작으로 등급이나 개봉에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 고어 장르의 아버지로 불리는 허셀 고든 루이스의 영화들이 이런 논란을 많이 불러 일으켰고 이외에도 잔인하거나 폭력적인 장면을 많이 수록하고 있는 영화들은
발표때 삭제 논란과 검열 폐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샘 레이미의 [이블데드] 1편이나 피터 잭슨의 [브레인 데드 (데드 얼라이브)]도 이런 논쟁을 불러 일으켰고, 존 맥노튼 감독의 [헨리 연쇄 살인자의 초상], 벨기에 영화인 [개를 문 사나이], 스텐리 큐브릭의 [시계 태엽 오렌지], 웨스 크래이븐 감독의 [왼편의 마지막 집], 샘 파킨파 감독의 [지푸라기 개]도 이런 폭력성 논쟁에 휘말려 들기도 했다. ...
-그 명칭이나 형식과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행정권이 주체가 되어
사상이나 의견등이 발표되기 이전에
예방적 조치로서 그 내용을 심사,
선별하여 발표를 사전에 억제하는,
즉 허가받지 아니한 것의 발표를
금지하는 제도
최근 대두 되었던 검열 요청 영상물
-(1) 고 김선일씨 참수 비디오
논란: ‘김선일씨를 두 번 죽이는 일이다’ 와 ‘알권리가 있음으로 봐도된다’의 대립.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덕적으로 보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에 강하다.
결과:정부는 유포하는 네티즌들에게 처벌할 것을 경고
(2) 이승연씨의 종군 위안부
사건: 이승연씨가 일본군 ‘위안부’를 소재로 한 누드 화보집을 찍으며 할머니들의 한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려 했다는 전 국민적인 분노가 들끓었다.
결과: 누드 파문은 필름이 전량 소각되고 이씨가 할머니들을 찾아 무릎을 꿇고 눈물로 사죄하며 막을 내림
(3) 그때 그사람들
사건: 고인에 대한 명예훼손 문제로 박정희 대통령의 아들인 박지만씨가 상영금지 가처분 신청
결과: 서울중앙지법 민사50부(이태운 부장판사)는 문제가 된 세 장면을 삭제하지 않으면 상영할 수 없다고 결정함
(4)죽어도 좋아
사건: 과도한 성애 노출에 의한 제한 상영가 등급 결정되었다.
결과: 비디오 배급사인 새롬엔터테인먼트도 7분 간의 성애 장면을 어둡게 처리해 `18세 관람가' 등급을 받은 상영본과 동일한 필름으로 심의를 신청해 동일한 등급을 얻어냈다.
논란이 되어온 대표적인 영화들 분류
1) 지나친 폭력 과 고어
60년대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신체 훼손영화 장르인 고어 영화의 시작으로 등급이나 개봉에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 고어 장르의 아버지로 불리는 허셀 고든 루이스의 영화들이 이런 논란을 많이 불러 일으켰고 이외에도 잔인하거나 폭력적인 장면을 많이 수록하고 있는 영화들은
발표때 삭제 논란과 검열 폐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샘 레이미의 [이블데드] 1편이나 피터 잭슨의 [브레인 데드 (데드 얼라이브)]도 이런 논쟁을 불러 일으켰고, 존 맥노튼 감독의 [헨리 연쇄 살인자의 초상], 벨기에 영화인 [개를 문 사나이], 스텐리 큐브릭의 [시계 태엽 오렌지], 웨스 크래이븐 감독의 [왼편의 마지막 집], 샘 파킨파 감독의 [지푸라기 개]도 이런 폭력성 논쟁에 휘말려 들기도 했다. ...
키워드
추천자료
비디오저널리즘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 영상이미지의 사회성을
초상권과 알권리의 갈등에 관한 연구 - 영상취재를 중심으로 -
초기의 영화논쟁 - 문자매체와 영상매체에 대한 논의(영화산업)
미디어 생태학을 기반으로 한 영상미디어 비판(Neil Postman의 이론을 중심으로)
블레이드러너의 인물들의 관계와 영화의 의미를 던저주는 사물이나 영상들 그것들의 의미 그...
텔레비전 광고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영상
[장애인복지론] 장애인 관련 영상을 보고 다양한 접급을 하고 이에 따른 자신의 생각을 정리 ...
[지자체][지방자치단체]지자체(지방자치단체)의 영상물촬영지원, 지자체(지방자치단체)의 행...
[원격교육][전통교육][원격][교육][정보통신기술][원격영상교육]원격교육의 의미, 원격교육의...
교구(학습도구) 삼각자, 교구(학습도구) 각도기, 교구(학습도구) 플립차트, 교구(학습도구) ...
[다채널시대]다채널시대의 국민참여채널, 다채널시대의 심의제도, 다채널시대의 영상물유통, ...
[동아시아기업, 구조조정]동아시아기업의 외부환경, 동아시아기업의 구조조정, 동아시아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