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폐쇄성 폐질환 케이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성폐쇄성 폐질환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기간 및 방법

Ⅲ. 문헌고찰

Ⅳ. 일반적 사항

Ⅴ. 신체검진

Ⅵ. 현재력

Ⅶ. 자 료 분 류

Ⅷ. 자료해석 및 문제진술

Ⅸ. 간호계획서

Ⅹ. 결론 및 느낀점

본문내용

줄어들었다.
12/3
"어제보다 가래량이 줄어들었어" 라고 말하였다.
가래 뱉는 횟수가 7회에서 2회로 줄었다.
간호진단
기대되는 결과(목표)
간호활동/중재
간호중재의
합리적 근거
평가 및 계획수정
12/6
폐기능의 저하와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환자는 back
care시 스스로의 힘으로 움직인다.
* 환자는 활동수준을 증가시켜야 하는 이유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한다.
* 환자의 과거와 현재의 활동양상을 사정한다.
* 활동과 휴식을 교대로 하도록 한다.
* 수동적 운동요법에 참여시킨다.
* 독립적으로 활동을 수행하도록 도와준다.
* 환자에게 필수적으로 간주되는 활동에 대한 계획을 세우기 위함이다.
부동은 활동 내구성 장애를 조장한다.
지식부족으로 모든 활동을 회피하면 참여할 수 있는 활동까지 불필요하게 제한을 받는다.
12/3
환자는 활동수준을 증가시켜야 하는 이유3가지에 대해 말했다.
"환자는 용변 볼 때 스스로 일어나 앉아서 침상에서 보았으며, back care 시에는 약간의 도움이 필요했다.
간호진단
기대되는 결과(목표)
간호활동/중재
간호중재의
합리적 근거
평가 및 계획수정
12/6
만성질환과 관련된 불안
*환자는 불안정도가 3이하라고 말한다.
*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 환자의 말을 주의 깊게 경청하고, 환자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도와준다.
* 환경의 스트레스를 확인하여 감소시킨다.
* 극도의 불안을 경험하고 있을때는 환자 곁에 있어준다.
* 이완요법을 실시한다.
*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불안이 감소될 수 있다.
* 불안의 촉진요인을 인식하는 것이 불안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데 있어서 첫 단계이다.
*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 옆에 있어주는 것은 환자에게 안정감을 부여한다.
* 이완요법은 불안한 마음을 안정화하도록 돕는다.
12/6
환자는 불안정도가 5라고 말했다.
12/7
12/6일 밤에도 한차례 호흡곤란 증상이 있어 환자의 불안이 3이하로 감소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Ⅹ. 결론 및 느낀점
이번 Case Study를 통하여 COPD에 관련된 참고 자료를 조사하면서 놀랜 점이 있다. COPD는 사망율 원인 중 국내 7위, 세계 4위나 되는 질병인데 COPD에 걸려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조차 COPD가 뭔지 모르고 있고, 자신이 천식 쯤에 걸린 것으로 알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의사들도 COPD에 걸린 환자들에게 COPD에 걸렸다고 설명하는 대신, 천식 등 호흡기 질환에 걸렸다고 한다는 것이다. COPD라는 질병에 대해 설명하기 어렵고, 환자 또한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쉽게 천식 등으로 설명한다고 한다. 물론 병은 천식이라고 설명하고 치료는 COPD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받고 있을 수 있다. 하지만, CODP는 CT촬영을 통해 진단을 내리는데, CT판독 경험이 부족할 경우 정확한 진단을 놓치는 의사도 많다고 한다.
COPD는 한마디로 폐의 노화현상이다. 노화현상이라고는 하지만, COPD는 일으키는 즉, 폐의 노화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문제는 사망율 3대 질병인 심장마비, 뇌졸증, 기타 심혈관계 질환은 당국의 꾸준한 홍보와 국민들의 질병에 대한 이해가 높아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지만, COPD의 경우는 앞에서 말한 것처럼 환자의 이해 부족과 의료계의 설명 부족 등으로 계속 증가 추세라는 것이다.
본인도 COPD에 대한 지식은 수업 중에 들은 간단한 지식 밖에 없었다. 이번 Case Study를 통하여 COPD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었서 다른 실습 때보다 더 남는 것이 많다고 생각된다. COPD는 나이든 환자들이 많으므로, 다른 병도 이미 걸려 있는 상태일 수도 있다. 본인이 담당한 환자 또한 알콜성 치매와 간 질환으로 고생을 하고 있는 환자이다. COPD의 주 증상이 호흡곤란이므로 나이든 환자들에게는 더 힘이 든 질병이라 할 수 있겠다. COPD 환자들을 위한 간호사로서의 역할은 호흡 곤란으로 인해 일상 생활의 불편함과 정신적 불안감 해소가 첫 번째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1. 이광옥 외 46인, (1999년),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p.p 329∼337
2. 서문자 외 7인, (2004년), 성인간호학 上Ⅱ, 수문사, p.p 1136∼1161
3. 전시자 외 61명, (2001년), 성인간호학 上 2, 현문사, p.p 1077∼1090
4. 한윤복 외 2인,(1998년), 간호과정, 현문사, p.p 154∼182
5. 서울대학교병원 편저, (2003년),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p.p 94∼96
6. 의학박사 김기환 감수 외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 편찬, (2002년),
MOSBY'S DICTIONARY, 현문사, p.p 873~874
7. 이우주 엮음, (2004년), 의학사전, 아카데미 서적
8. 이강이, (1995년), 흉부물리요법, 대한간호 제34권 제5호 통권 183호, p.p 15∼19
9. 신현주, (1995년), 호흡기 관리 및 간호, 대한간호 제34권 제5호 통권 183호, p.p 26∼30
8. BITDruginfo, 제품명 검색, available at http://www.druginfo.co.kr/ accessed, Dec 4, 2004
9. 서울아산병원홈페이지, 일반인을 위한 호흡기 건강상식, available at
http://www.amc.seoul.kr/~plm/data_menu1_3.htm accessed, Dec 4, 2004
10. 사단법인 한국성인병예방협회, 만성폐질환, available at
http://www.acdp.or.kr/htm/pamphlet/pamphlet_01.htm?jc_id=85&jc_name=만성폐질환,
accessed, Dec 4, 2004
11. 경희의료원 마취통증의학과 김동수 교수 홈페이지, COPD환자의 약물요법, available at
http://nopain365.com/copd.html accessed, Dec 4, 2004
12. 전문의료정보, 만성폐쇄성 폐질환, available at http://medcity.com/pye.html
accessed, Dec 4, 2004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5.12.04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46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