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진균―식물
홍조식물
갈조식물
차축조식물
선태식물
양치식물
종자식물
나자식물
은화식물
현화식물
경엽식물
엽상식물
관속식물
등의 정의와 장소 및 생활상
홍조식물
갈조식물
차축조식물
선태식물
양치식물
종자식물
나자식물
은화식물
현화식물
경엽식물
엽상식물
관속식물
등의 정의와 장소 및 생활상
본문내용
러나 양치식물 중에서도 화석의 인목(Lepidendron)이나 현생 속새류·석송류에서 볼 수 있는 포자낭 이삭은 기관학적으로 보면 포자엽의 집합체, 즉 꽃이므로 양치식물은 반드시 은화식물은 아니다.
또 종자식물은 거의 동일한 식물군이지만, 은화식물은 선태식물·조류·균류 등과 계통적으로는 이질적인 군의 집단이다. 현화·은화라고 하는 유형은 계통분류학적으로는 무의미한 것이며, 현재 분류학상으로는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관다발이 없고 포자번식을 하는 하등식물이라고 하는 의미에서 편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꽃이 피지 않고 포자에 의해 번식하는 식물의 총칭.
그러나 양치식물 중에서도 화석의 인목(Lepidendron)이나 현생 속새류·석송류에서 볼 수 있는 포자낭 이삭은 기관학적으로 보면 포자엽의 집합체, 즉 꽃이므로 양치식물은 반드시 은화식물은 아니다. 또 종자식물은 거의 동일한 식물군이지만, 은화식물은 선태식물·조류·균류 등과 계통적으로는 이질적인 군의 집단이다.
현화·은화라고 하는 유형은 계통분류학적으로는 무의미한 것이며, 현재 분류학상으로는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관다발이 없고 포자번식을 하는 하등식물이라고 하는 의미에서 편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현화식물 [顯花植物, flowering plant]
꽃이 피는 식물을 총괄하는 분류군.
밑씨가 나출되어 있는 겉씨식물과 밑씨가 씨방 속에 들어 있는 속씨식물의 2군으로 분류된다. 현화식물에 대응하여 꽃이 없는 식물을 은화식물(隱花植物)이라고 하는데, 계통상 여러 가지 식물군을 포함하고, 현화식물처럼 한 계통의 식물군이 아니므로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경엽식물 [莖葉植物, cormophyte]
조직학적으로 뿌리·줄기·잎의 구별이 확실한 식물의 총칭.
대개 관다발을 가진 관다발식물과 같은 뜻이며, 분류학적으로는 양치식물과 종자식물로 나눈다. 외관상으로는 잎이 퇴화하여 비늘조각 모양이나 돌기 모양으로 되는 것과 줄기가 극히 짧은 것, 뿌리가 변형된 것 등이 있으나 관다발의 구별이 분명하면 경엽식물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끼식물 중에는 외관상 뿌리·줄기·잎이 있는 것 같이 보이므로 경엽식물이라고 하는 것도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그렇지 않다. 경엽식물에 반해서 뿌리·줄기·잎의 분화가 없는 것을 엽상식물(葉狀植物)이라고 한다.
엽상식물 [葉狀植物, thallophytes]
체제상 뿌리·줄기·잎의 분화가 되어 있지 않고 전체가 잎 모양으로 되어 있는 식물의 총칭. 경엽식물(莖葉植物)에 대응하는 말이다. 분류학적으로는 조류(藻類)·균류 및 선태식물이 포함된다.
이 식물군에서는 생식세포가 형성될 때 포자낭 및 배우자낭이 모두 단세포로 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주변세포를 수반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또한 조직학상의 통도조직이 분화되어 있지 않은 것이 보통이다.
식물을 엽상식물과 경엽식물로 대별하는 방법은 1826년 S.L.엔틀리허가 처음 제창하였다.
그러나 엽상식물 가운데는 계통상으로 보면 극히 이질적인 식물군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자연군(自然群)이라고는 말하기 어려우며, 근래의 분류학에서는 대부분 이 분류는 쓰이지 않고 있다.
관속식물 [vascular plant]
유관속식물(維管束植物) 이라고도 한다. 1813년 A.P.드 캉돌이 식물계를 세포식물과 관다발식물로 대별한 것에서 비롯된 분류군이다. 식물계에서는 녹색식물만이 관다발이 발달되어 있으므로 녹조(綠藻)에서 진화한 관다발을 가지는 식물군이란 의미로 계통분류학적으로도 의의가 있는 분류이다. 양치식물 ·종자식물 (겉씨식물 및 속씨식물)이 이에 포함된다. 일찍이 꽃의 유무에 의해 현화(顯花) ·은화(隱花)의 두 식물군으로 분류하거나 또는 종자의 유무에 따라 양치식물과 종자식물(겉씨식물 및 속씨식물)을 구별하는 분류방법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양치식물 중에서도 속새나 석송의 포자낭이삭은 기관학적으로 꽃이라고 볼 수도 있으므로 양치식물은 반드시 은화식물만이 아니다.
한편, 고생대의 화석 양치식물 중에는 종자를 가지는 것이 있으며, 적어도 양치식물의 일부는 종자식물이라고 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양치식물 이상의 고등식물은 계통적으로는 육상생활 때문에 생긴 관다발을 가진다는 점에서 단일 식물군이라고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관다발식물은 선태식물과 근연으로 각기 공통의 선조인 녹조류에서 진화한 것으로 생각되며 세대교번을 행한다. 양치식물에서는 배우체가 퇴화 축소되는 경향이 있고, 최종단계의 종자식물에서는 배우체가 포자체 내에 기생하고 있다.
또 종자식물은 거의 동일한 식물군이지만, 은화식물은 선태식물·조류·균류 등과 계통적으로는 이질적인 군의 집단이다. 현화·은화라고 하는 유형은 계통분류학적으로는 무의미한 것이며, 현재 분류학상으로는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관다발이 없고 포자번식을 하는 하등식물이라고 하는 의미에서 편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꽃이 피지 않고 포자에 의해 번식하는 식물의 총칭.
그러나 양치식물 중에서도 화석의 인목(Lepidendron)이나 현생 속새류·석송류에서 볼 수 있는 포자낭 이삭은 기관학적으로 보면 포자엽의 집합체, 즉 꽃이므로 양치식물은 반드시 은화식물은 아니다. 또 종자식물은 거의 동일한 식물군이지만, 은화식물은 선태식물·조류·균류 등과 계통적으로는 이질적인 군의 집단이다.
현화·은화라고 하는 유형은 계통분류학적으로는 무의미한 것이며, 현재 분류학상으로는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관다발이 없고 포자번식을 하는 하등식물이라고 하는 의미에서 편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현화식물 [顯花植物, flowering plant]
꽃이 피는 식물을 총괄하는 분류군.
밑씨가 나출되어 있는 겉씨식물과 밑씨가 씨방 속에 들어 있는 속씨식물의 2군으로 분류된다. 현화식물에 대응하여 꽃이 없는 식물을 은화식물(隱花植物)이라고 하는데, 계통상 여러 가지 식물군을 포함하고, 현화식물처럼 한 계통의 식물군이 아니므로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경엽식물 [莖葉植物, cormophyte]
조직학적으로 뿌리·줄기·잎의 구별이 확실한 식물의 총칭.
대개 관다발을 가진 관다발식물과 같은 뜻이며, 분류학적으로는 양치식물과 종자식물로 나눈다. 외관상으로는 잎이 퇴화하여 비늘조각 모양이나 돌기 모양으로 되는 것과 줄기가 극히 짧은 것, 뿌리가 변형된 것 등이 있으나 관다발의 구별이 분명하면 경엽식물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끼식물 중에는 외관상 뿌리·줄기·잎이 있는 것 같이 보이므로 경엽식물이라고 하는 것도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그렇지 않다. 경엽식물에 반해서 뿌리·줄기·잎의 분화가 없는 것을 엽상식물(葉狀植物)이라고 한다.
엽상식물 [葉狀植物, thallophytes]
체제상 뿌리·줄기·잎의 분화가 되어 있지 않고 전체가 잎 모양으로 되어 있는 식물의 총칭. 경엽식물(莖葉植物)에 대응하는 말이다. 분류학적으로는 조류(藻類)·균류 및 선태식물이 포함된다.
이 식물군에서는 생식세포가 형성될 때 포자낭 및 배우자낭이 모두 단세포로 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주변세포를 수반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또한 조직학상의 통도조직이 분화되어 있지 않은 것이 보통이다.
식물을 엽상식물과 경엽식물로 대별하는 방법은 1826년 S.L.엔틀리허가 처음 제창하였다.
그러나 엽상식물 가운데는 계통상으로 보면 극히 이질적인 식물군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자연군(自然群)이라고는 말하기 어려우며, 근래의 분류학에서는 대부분 이 분류는 쓰이지 않고 있다.
관속식물 [vascular plant]
유관속식물(維管束植物) 이라고도 한다. 1813년 A.P.드 캉돌이 식물계를 세포식물과 관다발식물로 대별한 것에서 비롯된 분류군이다. 식물계에서는 녹색식물만이 관다발이 발달되어 있으므로 녹조(綠藻)에서 진화한 관다발을 가지는 식물군이란 의미로 계통분류학적으로도 의의가 있는 분류이다. 양치식물 ·종자식물 (겉씨식물 및 속씨식물)이 이에 포함된다. 일찍이 꽃의 유무에 의해 현화(顯花) ·은화(隱花)의 두 식물군으로 분류하거나 또는 종자의 유무에 따라 양치식물과 종자식물(겉씨식물 및 속씨식물)을 구별하는 분류방법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양치식물 중에서도 속새나 석송의 포자낭이삭은 기관학적으로 꽃이라고 볼 수도 있으므로 양치식물은 반드시 은화식물만이 아니다.
한편, 고생대의 화석 양치식물 중에는 종자를 가지는 것이 있으며, 적어도 양치식물의 일부는 종자식물이라고 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양치식물 이상의 고등식물은 계통적으로는 육상생활 때문에 생긴 관다발을 가진다는 점에서 단일 식물군이라고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관다발식물은 선태식물과 근연으로 각기 공통의 선조인 녹조류에서 진화한 것으로 생각되며 세대교번을 행한다. 양치식물에서는 배우체가 퇴화 축소되는 경향이 있고, 최종단계의 종자식물에서는 배우체가 포자체 내에 기생하고 있다.
추천자료
[에비레포트]쌍자엽식물과 단자엽 식물의 관찰
동식물 조직의 종류와 특성
수생식물 생태학습장, 생태공원 조성과 관리요령
양치식물 - 조사, 정리 자료
식물의 잎과 줄기의 관찰 - 결과 보고서
식물조사
식물성유지 완결판
4)과학-3. 식물의 한살이 - 식물의 한살이를 비교해봅시다.
자원식물 (2011 인천대)
초등4) <과학 지도안 (3/10)> 3-2 1.식물의 세계 1) 식물의 생김새 - 잎의 생김새와 특징을 ...
[관찰, 꽃, 꽃 관찰, 줄기관찰, 잎 관찰, 뿌리 관찰, 양파 관찰, 줄기, 잎, 뿌리, 양파, 자연...
[신경계, 뉴런, 시냅스, 반사, 뇌사, 식물인간, 말초신경계, 자율신경계, 신경, 뉴런반응]신...
[산성염료, 식물염료, 혼방직물염색, 면섬유염색, 양모염색]산성염료의 정의, 산성염료의 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