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e and Form (구조와 형태) (fig 21.16)
① 대략 11000종의 양치류가 있고 1cm에서 열대지방에 사는 25m 까지 있다.
② 양치류의 잎은 대체로 엽상체(megaphylls)이고 깃털모양으로 되어있다.
③ 하지만 어떤 것은 안 나뉘어져있고, 주름이 잡혀있거나 둥지형태로 자라기도 한다.
④ 양치류는 생식과정에 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부분 열대와 온대에 서식지가 있다.(하지만 몇몇은 건조한 지역에 적응)
♠ Reproduction (생식) (fig. 21.17)
- 이 장에서의 식물들은 생활사 중에서 포자체 시기가 우세하다.
※ 참고 - 안테리도겐(antheridogen) - 전엽체의 성숙초기에 분비하는 호르몬으로 자신의 장정기 형성을 방해하나 이웃하는 다른 개체의 배우체에서는 장정기 형성을 촉진 → 타가수정유도
♠ Fossil Relatives of Ferns(양치 계통의 화석)
① 고사리의 선조(fig.21.22) - 데본기의 구성에 기초하여 3억 7천 5백만년 전에 형성
- 습성 상 닮았지만, 폭이 넓은 잎이 없고, true fern보다 whisk fern과 더 닮은 경우도 있다.
- Tree fern의 화석(fig.21.23) - 2억 5천만년 전~3억 2천만년 전의 지질학 상의 층에서 발견
② ‘고사리의 시대’ - 석탄기 후기 - 넘칠 정도로 많았다.
♠ Human and Ecological Relevance of Ferns(사람과 고사리류의 생태학적 관계)
① 가옥 식물 - 빛이 적은 곳에서 살고, 다른 식물에 비해 병균들에게 덜 민감
② 관상용 - 예술가 혹은 사진작가의 카메라의 주제
③ 공기청정기의 기능 - 1시간동안 하나의 평균적인 크기의 Boston fern은 3×3미터 방 안의 공기 중 1,800㎍에 해당하는 포름알데히드를 없앨 수 있다.
④ 다른 식물의 배지로서의 기능 [fig. 21.24]
- 뿌리 수피 - 난초, bromeliad, 석송(staghorn) 고사리의 좋은 매개체
- 껍질이 천천히 분해되면서, 다른 식물에게 필요한 영양소 제공
⑤ 잎자루에 빽빽이 덮힌 실크같은 털 [fig. 21.25]
- 실내장식품베개매트리스 속 재료
- 열대 벌새의 둥지 재료
- 폴리네시아인 - 사람이 죽으면 미라로 만들 틀로 사용
⑥ 줄기는 열대지방의 작은 집 건설에 사용되었다.
⑦ 옷을 물들이는 빨간 염료 - 작은 하와이종 Tree fern, Asia fern
⑧ 사람의 식량으로 이용 - 요리된 땅속줄기와 다양한 어린 잎을 먹는다. 하지만 가축에게 독이 된다고 알려져 있어 음식으로 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⑨ 전통의학에 많이 이용
- 설사나 이질, 구루병, 당뇨병, 열, 눈 질환, 화상, 상처, 습진, 그리고 다른 피부병, 나병, 기침, 찔리고 쏘인 데 해독제같이 이용, 산고, 변비, 비듬, 그 외 만성질병에 이용
- male fern - 장의 벌레(촌충)를 쫓는데 효과적인 약을 담고 있다.
- licorice fern - 목 염증의 치료와 기침, 그리고 향료나 설탕 대신으로 사용
- goldbark fern - 치통을 줄이기 위해
- bird's-foot fern - 코피를 막기 위해
⑩ bracken fern - 집의 지붕(다른 식물의 잎보다 천천히 부식), 잠자리
⑪ 바구니 세공 - 크고 긴 잎자루(petiole)와 엽축(rachis)의 질긴 섬유를 이용
⑫ mosquito fern - 빽빽하고 흐르는 매트를 형성 - 모기 유충을 질식사
⑬ 시아노박테리아(cyanobacteria- 청록색 세균)를 가짐
- 세포사이의 구멍 안에서 공생
- 질소를 고정 - 식물이 잘 자라게 도움
▶Fossils(화석)
♠ introduction(소개)(표 21.1)
① 화석연료- 제한된 에너지 원료. 재활용할 수 없는 원료.
② 화석 - 라틴어인 fossilis에서 온 말인데, 땅에서 파낸 기묘한 물건이란 뜻
→ 처음에는 광물 또는 골동품까지도 화석이라고 하였으나
점차 생물의 유해유적에 대해서만 화석이란 말을 사용하였다.
→ 지질시대에 생존한 고생물의 유체 및 흔적 등이 퇴적물 중에 매몰된 채로
또는 지상에 그대로 보존되어 남아 있는 것.
③ 화석의 종류 - 체화석 : 생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화석화된 것
- 흔적화석 : 생물의 생활흔적(발자국, 기어다닌 자국 등)이 남아 있는 것
④ 화석의 형성의 조건.
- 늪, 대양, 호수 등 물이 있는 곳
- 무균 화합물질, 낮은 DO량
- 급속한 매몰
♠ Molds, Casts, Compressions, and Imprints(주형, 점성, 압축, 자극)
① mold - 인상화석에서 외내부 조직을 흙돌 등에 남긴 생물
- 인상화석 -고생대의 조개껍데기가 용해되어 그 자국이 남은 흔적
→ 그 흔적을 남게 한 조개껍데기는 화석의 몰드가 됨)
② cast - 몰드의 공간속에 이산화규소 침전물로 덮이게 되어 형성된 것
③ 화석 형성 과정 - 미사나 침전토사에 의해 유기체가 암석에 묻힘
→ 암석에 난 구멍을 통해 흘러나오는 물로 유기체가 천천히 씻겨져 나감
→ 유기체 내에 공간이 생김(mold)
→ 공간 속에 이산화 규소 침전물이 덮임(cast)
→ 유기체 원래 두께의 5%로 압력이 가함
→ 남아있는 것들은 얇은 필름과 같이 됨(compression - 일반적인 화석)
♠ Petrifactions(석화작용) (fig. 21.27)
① 정의 - 용액 속에 있는 광물질의 포화로 말미암은 화석화.
② 특징
- 세포구조가 그대로 보관됨
- 압축되어지지 않음.
- 규소물이나 소금을 포함하는 약 20여 가지의 다양한 광물이 석화작용을 일으킴.
③ 연구방법
- 빛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얇게 자르거나 좋은 석질(거친 가루)분말로 닦음으로써 연구
→복합현미경으로 관찰
- 잘라짐 표면에 묽은 산으로 부각으로 연구에 사용
♠ Coprolites(분석)
선사시대동물들과 인간들의 배설물이 화석화된 것이다. 과거의 유기체를 알 수 있게 하는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 Unalterde Fossils(불변의 화석들)
예를 들어 동물들이 설원에서 죽고 그들의 몸체는 영구히 얼어있는 경우. 특히 언 것은 아주 희귀하다.
① 대략 11000종의 양치류가 있고 1cm에서 열대지방에 사는 25m 까지 있다.
② 양치류의 잎은 대체로 엽상체(megaphylls)이고 깃털모양으로 되어있다.
③ 하지만 어떤 것은 안 나뉘어져있고, 주름이 잡혀있거나 둥지형태로 자라기도 한다.
④ 양치류는 생식과정에 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부분 열대와 온대에 서식지가 있다.(하지만 몇몇은 건조한 지역에 적응)
♠ Reproduction (생식) (fig. 21.17)
- 이 장에서의 식물들은 생활사 중에서 포자체 시기가 우세하다.
※ 참고 - 안테리도겐(antheridogen) - 전엽체의 성숙초기에 분비하는 호르몬으로 자신의 장정기 형성을 방해하나 이웃하는 다른 개체의 배우체에서는 장정기 형성을 촉진 → 타가수정유도
♠ Fossil Relatives of Ferns(양치 계통의 화석)
① 고사리의 선조(fig.21.22) - 데본기의 구성에 기초하여 3억 7천 5백만년 전에 형성
- 습성 상 닮았지만, 폭이 넓은 잎이 없고, true fern보다 whisk fern과 더 닮은 경우도 있다.
- Tree fern의 화석(fig.21.23) - 2억 5천만년 전~3억 2천만년 전의 지질학 상의 층에서 발견
② ‘고사리의 시대’ - 석탄기 후기 - 넘칠 정도로 많았다.
♠ Human and Ecological Relevance of Ferns(사람과 고사리류의 생태학적 관계)
① 가옥 식물 - 빛이 적은 곳에서 살고, 다른 식물에 비해 병균들에게 덜 민감
② 관상용 - 예술가 혹은 사진작가의 카메라의 주제
③ 공기청정기의 기능 - 1시간동안 하나의 평균적인 크기의 Boston fern은 3×3미터 방 안의 공기 중 1,800㎍에 해당하는 포름알데히드를 없앨 수 있다.
④ 다른 식물의 배지로서의 기능 [fig. 21.24]
- 뿌리 수피 - 난초, bromeliad, 석송(staghorn) 고사리의 좋은 매개체
- 껍질이 천천히 분해되면서, 다른 식물에게 필요한 영양소 제공
⑤ 잎자루에 빽빽이 덮힌 실크같은 털 [fig. 21.25]
- 실내장식품베개매트리스 속 재료
- 열대 벌새의 둥지 재료
- 폴리네시아인 - 사람이 죽으면 미라로 만들 틀로 사용
⑥ 줄기는 열대지방의 작은 집 건설에 사용되었다.
⑦ 옷을 물들이는 빨간 염료 - 작은 하와이종 Tree fern, Asia fern
⑧ 사람의 식량으로 이용 - 요리된 땅속줄기와 다양한 어린 잎을 먹는다. 하지만 가축에게 독이 된다고 알려져 있어 음식으로 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⑨ 전통의학에 많이 이용
- 설사나 이질, 구루병, 당뇨병, 열, 눈 질환, 화상, 상처, 습진, 그리고 다른 피부병, 나병, 기침, 찔리고 쏘인 데 해독제같이 이용, 산고, 변비, 비듬, 그 외 만성질병에 이용
- male fern - 장의 벌레(촌충)를 쫓는데 효과적인 약을 담고 있다.
- licorice fern - 목 염증의 치료와 기침, 그리고 향료나 설탕 대신으로 사용
- goldbark fern - 치통을 줄이기 위해
- bird's-foot fern - 코피를 막기 위해
⑩ bracken fern - 집의 지붕(다른 식물의 잎보다 천천히 부식), 잠자리
⑪ 바구니 세공 - 크고 긴 잎자루(petiole)와 엽축(rachis)의 질긴 섬유를 이용
⑫ mosquito fern - 빽빽하고 흐르는 매트를 형성 - 모기 유충을 질식사
⑬ 시아노박테리아(cyanobacteria- 청록색 세균)를 가짐
- 세포사이의 구멍 안에서 공생
- 질소를 고정 - 식물이 잘 자라게 도움
▶Fossils(화석)
♠ introduction(소개)(표 21.1)
① 화석연료- 제한된 에너지 원료. 재활용할 수 없는 원료.
② 화석 - 라틴어인 fossilis에서 온 말인데, 땅에서 파낸 기묘한 물건이란 뜻
→ 처음에는 광물 또는 골동품까지도 화석이라고 하였으나
점차 생물의 유해유적에 대해서만 화석이란 말을 사용하였다.
→ 지질시대에 생존한 고생물의 유체 및 흔적 등이 퇴적물 중에 매몰된 채로
또는 지상에 그대로 보존되어 남아 있는 것.
③ 화석의 종류 - 체화석 : 생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화석화된 것
- 흔적화석 : 생물의 생활흔적(발자국, 기어다닌 자국 등)이 남아 있는 것
④ 화석의 형성의 조건.
- 늪, 대양, 호수 등 물이 있는 곳
- 무균 화합물질, 낮은 DO량
- 급속한 매몰
♠ Molds, Casts, Compressions, and Imprints(주형, 점성, 압축, 자극)
① mold - 인상화석에서 외내부 조직을 흙돌 등에 남긴 생물
- 인상화석 -고생대의 조개껍데기가 용해되어 그 자국이 남은 흔적
→ 그 흔적을 남게 한 조개껍데기는 화석의 몰드가 됨)
② cast - 몰드의 공간속에 이산화규소 침전물로 덮이게 되어 형성된 것
③ 화석 형성 과정 - 미사나 침전토사에 의해 유기체가 암석에 묻힘
→ 암석에 난 구멍을 통해 흘러나오는 물로 유기체가 천천히 씻겨져 나감
→ 유기체 내에 공간이 생김(mold)
→ 공간 속에 이산화 규소 침전물이 덮임(cast)
→ 유기체 원래 두께의 5%로 압력이 가함
→ 남아있는 것들은 얇은 필름과 같이 됨(compression - 일반적인 화석)
♠ Petrifactions(석화작용) (fig. 21.27)
① 정의 - 용액 속에 있는 광물질의 포화로 말미암은 화석화.
② 특징
- 세포구조가 그대로 보관됨
- 압축되어지지 않음.
- 규소물이나 소금을 포함하는 약 20여 가지의 다양한 광물이 석화작용을 일으킴.
③ 연구방법
- 빛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얇게 자르거나 좋은 석질(거친 가루)분말로 닦음으로써 연구
→복합현미경으로 관찰
- 잘라짐 표면에 묽은 산으로 부각으로 연구에 사용
♠ Coprolites(분석)
선사시대동물들과 인간들의 배설물이 화석화된 것이다. 과거의 유기체를 알 수 있게 하는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 Unalterde Fossils(불변의 화석들)
예를 들어 동물들이 설원에서 죽고 그들의 몸체는 영구히 얼어있는 경우. 특히 언 것은 아주 희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