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의 분류, 프랑스와인의 종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와인의 분류, 프랑스와인의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와인(Wine)

I. 와인의 분류
1. 색에 따른 분류
2. 맛에 따른 분류
3. 알코올(증류주) 첨가 유무에 따른 분류
4. 탄산가스 유무에 따른 분류
5. 식사에 따른 분류
6. 숙성기간에 따른 분류

II. 프랑스 와인(France Wine)
1. A.C법의 4등급 분류
2. 보르도 ACO급
3. 부르고뉴 AOC급 와인 라벨
4. 샤또(Chateau)
5. 보르도 지방와인(Bordeaux Wine)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또 한 가지 방법은 A.C.법이라 하여 원산지 통제명칭으로 이 법은 프랑스 정부가 와인을 생산하는데 엄격한 규제를 하고 있으며 모든 와인은 등급에 따라 병에 기재하게 되어 있다. 와인을 재배하여 발효시키는 생산자 협동조합과 포도원에서 생산한 와인을 판매하는 판매업자조합 그리고 농부성의 관계 공무원이 삼위일체가 되어 포도 품종과 포도원의 토질 헥타르당 수확량 와인 제조과정과 알코올 함량 등 다각적인 검사를 실시하여 4등급으로 분류한다.
이 법은 프랑스 정부가 1935년에 시행하였으나 포도원에서 실시하기 시작한 것은 1936년부터이다.
1) A.C.법의 4등급 분류
(1) Vins de Table(Table Wine)(벵 드 따블)
생산지와 품질에 관계없이 혼합하여 병에 담겨지며 외국에서 수입한 와인도 혼합이 허용되며 주로 자국내에서 소비하게 되는데 알코올 도수가 8.5도 또는 9도 이상이며 15도 이하여야 한다.
(2) Vins de Pays(벵 드 뻬이)
품질검사에 합격한 병 라벨에는 검사일자가 기재되며 다른 지방에서 생산한 와인을 혼합하는 것이 금지되며 알코올 도수가 지중해 지방에서는 10도 이상이여야 하며 그 외에 지역에서는 지역에 따라 9.5도 또는 9도이며 현재 21개 지역에서 생산하고 있다.
(3) V.D.Q.S(Vins Delimites de Qualite Superieure) 벵 델리미에드 깔리테 뉴빼리에
우수품질 제한 와인(벵 델리미에드 깔리테 뉴빼리에) 이 등급은 상급의 와인으로 1948년 2월부터 시행되었으며 심사에 합격한 와인은 우표보다 약간 작은 보증마크에 검사 번호가 기재되어 있다. 이 등급의 와인은 전체 생산량에 2~3% 정도로 생산량이 적어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4) A.O.C(Appellation d'Origin Controlee) 아벨레용 도리진 꽁뜨로레
이 등급은 프랑스에서 생산하는 와인으로는 최상급의 와인이다. 포도원에서 직접 검사를 받게 되며 병 라벨에는 생산지 이름(Appellation Controlee)으로 기재되어 있는데, 검사번호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이 법은 최소의 행정단위(Commune)까지 적용된다.
2) 보르도 AOC급
(1) AOC 보르도 와인
보르도 지방에서 생산되는 AOC급 와인 중에서 품질이 낮은 것으로 포도주 생산량은 헥타르당 5KL이며 최저알코올 도수는 10도이다.
(2) AOC 메독와인
보르도 와인보다는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포도주 생산량은 헥타르당 4.5KL이며 최저 알코올 도수는 10도이다.
(3) AOC 마고 와인
마고는 메독지역의 마을 이름으로 원산지 명칭이 마을의 이름이며, 품질이 최고 우수한 와인으로 포도주 생산량은 제한되며 최저 알코올 도수는 10.5도이다.
(4) AOC 그랑크뤼 콜라세, 크뤼 부르주아 와인
라벨에 마을 이름이 들어가면 보르도 지방의 최고 품질 와인이다.이 최고 품질도 여러 가지 내부 등급이 있다. 라벨에 기재된 내용 중 그랑 크뤼 클라세(Grand cru classe 1855)나 크뤼 부르주아(Cru Bourgeois) 표시가 있으면 가장 우수한 품질의 와인이다.
3) 부르고뉴 AOC급 와인 라벨
(1) 지방 명칭와인(Regional Wine)
원산지 표시가 부르고뉴로 되어 있는 와인으로 부르고뉴 와인 중 가장 품질이 낮은 와인이다.
(2) 마을 명칭와인(Village Wine)
부르고뉴지방의 가장 품질이 우수한 포도주를 생산하는 지역은 코트 드 뉘 코트 드 본느(Cote de Beaune)지역이다. 이 지역에는 26개의 마을이 있는데 이를 코뉜느(Connune)라고 부른다. 유명한 마을로는 나폴레옹 황제가 사랑했던 제 브리 샹베르탱(Gevray Chambertin)이 있다. 세계에서 가장 비찰 와인인 로마네 꽁띠(Remanee-Conti)가 생산되는 본 로마네가 있는 마을이 있다. 이 와인들은 품질이 매우 우수하다.
(3) 프리미에 크뤼(Premier Cru)
마을 명칭 와인보다 더 품질이 우수한 와인군으로 라벨에 AOC표시를 할 때 마을의 이름 뒤에 프리미에 크뤼라는 표기를 하기도 하고 바로 프리미에 크뤼를 표기하기로 한다. 이 와인은 포도밭의 이름을 라벨에 쓸 수 있다.
(4) 그랑 크뤼(Grand Cru)
부르고뉴지방 포도주 중 최우수 품질 와인으로 이 와인을 생산할 수 있는 마을은 8개 마을에 불과하다.
생산량도 매우 적어서 부르고뉴 총 생산량의 3%에 불과하다. 라벨에는 그랑크뤼라는 표기를 하며 대표적인 와인은 레드 와인으로 로마네 꽁띠(Remanee-Conti)가 있으며 화이트 와인으로는 몽라세(Montrachet) 등이 있다.
4) Chateau(샤또)
보르도(Bordeaux) 지방에서 생산하는 와인은 90% 이상이 샤또라는 명칭을 붙인다. Chateau는 프랑스에서 성(城) 또는 대저택이나 규모가 큰 별장을 지칭하는 뜻이다. 옛날에는 규모가 큰 포도원은 소유주가 대부분 귀족이나 대지주여서 이러한 포도원에서 생산되는 품질이 우수한 와인을 고풍스럽고 고급스럽게하기 위하여 붙여졌으나 현재는 품질에 관계없이 붙이고 있으며 부르고뉴(Bourgogne) 지방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5) Bordeaux Wine(보르도 지방 와인)
보르도는 프랑스 남서부에 위치한 지방으로 도르도뉴(Dordogne)강 상류와 가론느(Garonne)강 상류에서부터 두 강이 합류하여 큰 강으로 이어지는 지롱드(Gironde)강 유역까지 방대한 지역에서 와인이 생산되며 포도원이 2,000여 곳이나 된다. 세계에서 와인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지역 중 한 곳이다.
이 지방에서 품질이 매우 우수한 와인을 생산하는 세부적인 지역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메독(MDIoc)
(2) 그라브(Graves)
(3) 생떼밀리옹(Saint-Emillion)
(4) 소떼른(SauteRNes) 이 지역은 바르싹(Barsac)지역이 포함된다.
(5) 뽀므롤(Pomerol)
* 참고문헌
외식창업실무론 - 김헌희 저, 백산출판사, 2008
외식산업론 - 강무근 저, 학문사, 2001
외식 프랜차이즈 창업 실무론 - 이종한 저, 형설출판사, 2007
최신외식산업개론 - 홍기운 저, 대왕사, 2009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6.04.25
  • 저작시기201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09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