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자동제어 시스템[유비쿼터스]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홈 자동제어 시스템[유비쿼터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1.1 동기 및 배경
1.2 연구목적

2.본론
2.1 전체 구성도 플로우 차트
2.2 광량센서를 이용한 액정윈도우 제어
2.3 적외선센서를 이용한 자동문제어
2.4 광량센서와 적외선센서를 연동 현관 LED제어

3.결과
3.1 최종 제출물과 월별진행단계
3.2 동작원리 및 검증방법
3.3 목표량과 완성량의 비교

4.결론
Discussion

5. 참고문헌
6. 회로도
7. 프로그램

본문내용

적외선센서를 이용한 자동문제어
2.3.1 적외선센서
1)적외선이란?
가시광선에 이어지는 파장범위가 0.75㎛에서 1㎜ 정도인 전자기파를 적외선이라고 하며, 빛의 스펙트럼에서 적색 부분의 바깥쪽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1800년에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William Herrochel)이 태양 스펙트럼의 적색 부분보다 긴 파장을 갖는 쪽에 열 효과가 큰 부분이 있음을 최초로 발견했다. 파장이 수 ㎛ 이하이면 근적외선이라 하고, 파장 25㎛ 이상을 원적외선, 그 사이를 중간적외선이라고 분류한다.
적외선은 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명 열선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그 열작용이 적외선의 특징이기도 하다. 물질이 근적외선을 흡수하면 물질내의 열운동이 들뜨게 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2) 적외선 센서
적외선 센서는 일정 주파수의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에서 발산하는 빛을 받아들이는 수광부로 이루어져 있다. 발광부에서 발생된 적외선은 물체에 부딪혀 반사되고, 수광부에서는 이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물체의 유•무 또는, 물체까지의 거리 등을 알 수 있다.
3) 적외선 센서의 이용
아파트의 엘리베이터에서 내리면 천장에 등이 달려 있다. 주변이 어두워지고 사람이 주위에 다가서면 저절로 등이 켜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등은 아파트나 주택의 현관에 많이 설치되어 있으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다. 전등은 계속 적외선을 내보내고 수광부에서는 주변의 벽 등에 부딪혀 들어오는 적외선을 계속 감지하고 있다. 사람이 엘리베이터에서 내리거나, 현관문을 열고 나오면 벽에 부딪히던 적외선이 사람에 반사되므로 수신되는 적외선에 변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를 감지하여 전등에 일정시간 동안 불이 들어오게 한다. 이것은 일정한 거리 안에 새로운 물체가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해 준다. 등이 켜진 후 우리가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정해진 시간 후에 커진 등은 다시 켜지지 않는다. 그러나 움직이는 순간 등은 다시 켜지게 된다. 그리고 빛을 받아들이는 수광부의 또 다른 역할로는 낮에 불이 켜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변의 밝기를 확인하여 어두워지면 전등이 켜지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은 밤새도록 붉을 켜두는 경우에 비하여 전기의 소모를 줄일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5.12.10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3258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