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생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자가 된다. 또, 포자낭 안에 생기고 나중에 분산하는 포자낭포자, 균사의 끝이나 분지에 생기는 분생자(分生子), 균사의 일부가 그대로 나뉘어서 생기는 체포자(體胞子), 세포에서 눈이 나오면서 생기는 출아포자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푸른곰팡이 : 균사의 위쪽에 총채 모양의 푸른색 포자를 만든다. 음식물을 썩게 하지만 페니실린의 원료로 이용된다.
누룩곰팡이 : 균사의 위쪽에 부채살 모양의 노란색 포자를 만든다. 술이나 간장, 된장 등을 만드는 데 이용된다.
효 모 :균사가 없고 단세포로서 구형이며 출아법으로 번식한다. 알코올 발효를 통하여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므로 술이나 빵의 제조에 이용된다.
빵곰팡이: 붉은색 곰팡이로서 빵을 썩게 한다.
깜부기균 :벼, 보리, 옥수수 등에 기생한다.
무 좀 : 사람의 발에 생긴다.
털곰팡이 : 무색의 포자가 균사의 끝에 둥근 공 모양으로 달린다.
3. 생리
곰팡이류는 광합성에 관여하는 것은 전혀 없다. 따라서 곰팡이류는 태양의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소화합물로부터 유기물을 형성하지 못하므로 동식물 또는 다른 균류에 기생하거나 다른 생물의 시체나 배설물에 부생(腐生:死物寄生)한다.
4. 생태
일상생활에서는 떡 등의 식품이나 구두 등의 피혁제품에 생기는 몇 가지 종류와 술·된장 등의 제조에 필요한 누룩곰팡이·효모균 등이다. 천연에서 곰팡이는 공기·물·흙·바닷물 등에 존재하고 있다.
달팽이가 죽으면서 하얀 곰팡이가 생김
식빵 곰팡이
자라는 곳-논이나 연못의 물위
쓰이는 곳-관상용(연못),소변불리,수종,가려움증,두드러기,암종 등에 약용.
- 개구리밥의 모습 -
◆ 색깔
잎은 진한 녹색이고 뿌리는 흰색이다.
◆ 해캄의 색깔과 비교
모두 녹색이다.
◆ 모양
잎은 둥근모양이고 뿌리는 실 모양이다.
<해캄과 개구리밥의 공통점>
◆ 녹색 식물로 광합성 작용을 한다.
◆ 햇빛이 있을 때만 먹이를 생산하여 양이 많이 불어난다. .
다른 이름-부평초, 수평, 머구리밥, 자평
분 류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개구리밥과의 여러해살이풀
크 기
엽상체 길이 5∼8mm, 나비 4∼6mm

엽상체는 도란형으로 앞면은 녹색, 뒷면은 자주색이며 엽상체 뒷면 가운데에서 가는 뿌리가 여러 개 나오고 그 옆에서 새로운 싹이 생겨 번식한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간혹 피기도 하나 아주 작아서 찾아보기 힘들며, 화피는 없다. 열매는 포과로 10월에 익는다.
↑ 솔이끼 / 솔이끼 과의 선태식물. 산지의 습지와 점토질 토양에서 군생한다. 소나무 줄기에 솔잎이 달려 있는 모양을 하고 있으며 광합성으로 양분을 얻는다.
산지의 습지와 점토질 토양에서 군생한다. 소나무 줄기에 솔잎이 달려 있는 모양을 하고 있으며 광합성으로 양분을 얻는다. 줄기는 높이 5∼20cm, 때로는 30cm까지 곧게 자라며 짙은 녹색이다.
뿌리·줄기·잎은 구별할 수는 있지만 뚜렷하지는 않으며, 뿌리는 가는 실 모양의 흰 뿌리를 가지고 있다. 가지가 없고 마른 잎은 꼬이지 않으며 줄기에 붙어 있다. 잎은 길이 6∼7mm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암수딴그루이다. 암그루는 줄기 끝에 포자낭이 달려 있고, 수그루는 줄기 끝에 잎만 있다. 다래자루는 붉은빛을 띤 갈색이고 다래는 달걀 모양이며 주름이 있다. 물과 양분은 몸 전체에서 흡수합니다.
솔이끼속(屬)에는 산솔이끼·솔이끼·큰솔이끼·침솔이끼·고산솔이끼 등이 있다. 한국, 중국 동북부, 일본, 사할린 섬 등의 아시아와 유럽,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그리고 솔이끼의 꽃은 줄기 끝에 생깁니다. 솔이끼의 장정기는 납작하고 넓은 잎들이 꽃잎처럼 겹겹이 모여 있어 얼른 찾을 수 있지만 장란기는 여느 잎과 거의 비슷해 눈에 잘 띄지 않습니다. 하지만 홀씨주머니를 내면 금방 알 수 있습니다. 홀씨주머니는 장란기가 있는 줄기 끝에서 솟아나는데 얇은 솜털 모자 같은 고깔을 쓰고 있습니다.
솔이끼의 홀씨는 땅에 떨어져 알맞은 조건이 되면 실모양의 원사체가 되어 땅위에 퍼집니다. 이 원사체에서 나온 어린 싹은 장란기를 가진 암그루와 장정기를 갖는 수그루로 자랍니다.
이끼가 다 자라면 장정기에서 정자가 헤엄쳐 나와 빗물을 타고 장란기로 가 그 속의 난자와 수정합니다. 수정이 끝나면 암그루의 줄기 끝에서 홀씨주머니가 달린 홀씨 몸을 냅니다.
우산이끼
분 류: 우산이끼목 우산이끼과 선태식물 생김새 :높이 2~3cm. 편평한 엽상체. 녹색.
크 기: 엽상체나비7~ 20mm
뿌리 : 헛뿌리
우산이끼는 줄기, 잎, 뿌리의 구분이 없는 넓적한 모양의 엽상체인데, 엽록체가 있어 짙은 녹색을 띠며 광합성을 하지만 관다발이 없다.
중앙에있는 작은구멍은 기공구(氣孔口)이다.
몸 아래쪽에 나 있는 많은 실모양의 헛뿌리는 물이나 양분을 빨아들이지는 못하고 식물체를 땅에 붙이는 구실만 한다.
암수딴그루이며 암그루는 찢어진 우산 모양의 배우체를 가지고, 수그루는 뒤집어진 우산 모양의 배우체를 가진다. 번식은 포자로 한다.
집 근처나 산지의 그늘지고 습기가 많은 땅 음습한 땅에서 잘 자란다. 특히 집 근처의 암모니아 성분이 많은 곳에 많다.
이끼는 크기가 무척 작을 뿐만 아니라 생김새도 여느 식물과 다르다. 식물은 보통 뿌리, 줄기, 잎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이끼는 다른 식물과는 달리 그 구분이 뚜렷하지 않다.
이끼는 꽃을 피우지 않는다.
줄기 끝이 잎이 크게 변해 꽃처럼 보이거나 우산처럼 솟아나는데 이를 이끼 꽃 이라고도 하지만 암술도 수술도 꽃잎도 꽃받침도 없는 꽃이다.
갈래갈래 찢어진 우산 모양의 암그루는 아래쪽에 홀씨주머니를 가지고 있는데, 그곳에서 홀씨가 떨어져 새로운 우산이끼의 싹을 틔우게 한다.
반면에 동그란 접시 모양의 수그루는 정자를 헤엄쳐 보내 암그루의 난자와 수정한다.
<가운데 있는 뒤집힌 우산 모양을 한 것이 수 그루이다.>
엽상체의 표면에 술잔 같은 무성아기(無性芽器)가 생겨서 짙은 녹색의 무성아가 많이 생긴다.
번식은 포자보다도 무성아에 의한 것이 많다. (수 그루가 귀해서 잘 안 보인다.)
<표면에 술잔 같은 무성아기(無性芽器)>
우산이끼탄생-숫 우산이끼 없이 난 무성아
(우산이끼의 겜마 컵과 무성아)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12.14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63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