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의 표현 방식 체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자료의 의미

2. 자료의 표현 용어

3. 진법변환

4. 자료의 표현

5. 수치(계산형) 데이터의 표현 방식


6. 10진 데이터의 표현 방법

7.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문자 코드 (CODE)의 종류

8. 웨이티드 코드와 넌 웨이티드 코드 (수치 자료 표현)

9. 착오(ERROR) 검출 코드의 종류

10. 선형구조(Linear structure)의 종류

본문내용

ecimal Format)
① 존 부분은 F(1111)로 표시한다
② digit 부분은 10진수 1자리를 4bit로 나타낸다
③ 맨 마지막 byte는 부호와 10진수로 나타낸다 (위치에 유의)
④ 부호는 음수이면 D(1101), 양수이면 C(1100)로 나타낸다
⑤ 입출력만 가능 (연산은 불가능)
※ 존 비트의 구성
+ 5789인 경우
F5
F7
F8
C9
- 5789인 경우
F5
F7
F8
D9
7.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문자 코드 (CODE)의 종류
⑴ 비시디(BCD)코드 - 6bit로 구성
① Binary Code Decimal Interchange Code : 이진화 십진 코드, 26= 64개 문자 표현
② 2bit : zone bit, 4bit : digit bit (10진수 표현)
③ 숫자 표현 4bit, 문자 표현 6bit 사용
⑵ 아스키(ASC)코드 - 7bit로 구성 (페리티 비트를 포함하면 8Bit)
① 미국 표준 코드, 27= 128개의 문자 표현
② 데이터 통신과 소형 컴퓨터에 사용
③ 페리티 비트는 자료 전송 시 에러 유무 검사로 사용
④ 페리티 비트를 포함한 아스키-8 코드가 주로 사용
⑶ 앱시딕(EBCDIC)코드 - 8bit로 구성
① 확장 2진화 10진 코드, 28= 256개의 문자 표현
② 현재 대부분의 컴퓨터에 사용
③ 존 비트(zone bit : 4bit), 디지트 비트(digit bit : 4bit)
8. 웨이티드 코드와 넌 웨이티드 코드 (수치 자료 표현)
⑴ 웨이티드 코드(weighted code) : 가중치로 나타낸 코드
① 8421 코드(BCD Code) : 대표적인 웨이티드 코드 4개의 Bit로 한자리의 10진수 표시
② 2421(자기보수형 코드), 5421, 7421 등이 있다
예) 10진수 9를 표현하면
코 드
2421
5421
7421
8421

1111
1100
1010
1001
⑵ 넌 웨이티드(non-weighted code)
① 3초과 코드(excess 3 code)
- 2진수 네 자리의 각 자리마다 고유한 자리값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8, 4, 2, 1 의 값을 나타낸다.
- 8421 코드로 표현된 값에 3을 더해 준 값으로 나타내는 코드를 초과 코드(excess - 3 code)라 한다.
- 각 자리의 고유한 값의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자리값 없는 (non-weighted) 코드의 일종이다.
② 쉬프트 카운터 코드(shift counter code), Johnson code
③ 그레이 코드(Gray code) : 입출력 코드나 A/D 변환기 사용
④ 그레이 코드와 2진수의 상호 변환 관계
예) 2진수 (1011)②를 변환
9. 착오(ERROR) 검출 코드의 종류
⑴ 페리티 비트(Parity Bit) 검사
① Error 검색만 가능하다
② 1의 개수가 짝수이면 parity의 값이 1이 되는 우수 페리티 검사(Even Check) 방식이다
③ 1의 개수가 홀수이면 기수 페리티 검사(Odd Parity Check) 방식이다
⑵ 해밍코드(Hamming Code) : Error 검출과 수정(교정)이 가능한 코드
10. 선형구조(Linear structure)의 종류
⑴ 스택은 LIFO(Last In Fist Out) 방식으로 가장 나중에 입력된 노드가 제일 먼저 삭제되는 리스트
⑵ 삽입과 삭제가 한쪽 끝 TOP에서 이루어지는 구조
⑶ 스택의 구조
⑷ STACK의 저장 공간이 n일 때 Overflow(넘침)가 발생하는 경우 : 삽입 시 TOP≥n일 때
⑸ STACK에서 Underflow가 발생하는 경우 : 삭제 시 TOP = 0일 때
⑹ STACK의 이용 분야 : 서브루틴, 서브프로그램의 복귀주소 저장, 산술식 계산
- 큐(QUEUE)의 특성과 구조 -
⑴ 큐는 FIFO(First In First Out) 구조로 먼저 입력된 노드가 먼저 삭제되는 선형 구조이다
⑵ 큐는 뒤(REAR)에서 삽입되고 앞(FRONT)에서 삭제되는 구조이다
⑶ 큐의 구조
⑷ 큐의 기억 공간이 n일 때 Overflow가 발생하는 경우 : 삽입 시 REAR≥n일 때
⑸ 큐에서 Underflow가 발생하는 경우 : 삭제 시 FRONT = 0일 때
⑹ 이용 분야 : 우선 순위, OS 처리 순서, Sort시
- 데큐(DEQUE)의 특성 -
⑴ 데큐는 Double-End-Queue의 약자로 양쪽에서 삽입과 삭제가 가능
⑵ 스택과 큐의 기능을 합한 것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12.15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7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