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에 대한 정의와 주거의 변천사, 우리나라의 주거변천에 대해서.,,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를 만든 뒤 지붕위에 흙과 볏짚을 이용하여 여름의 더위와 겨울의 추위를 막고자 한 것이다. 평면 형태는 맨 좌측으로 부터 부엌과 안방, 그리고 대청, 건넌방이 나란히 있는 남부형 일자형 평면이며 전면과 우측면에는 툇마루가 놓여 있다.■ 기 와 집 이 집은 약 270년 전에 영암군 군서면에 건축된 주영현 가옥의 안채를 재현한 남부지방의 전형적인 일자형 평면형으로 팔작지붕의 기와집이다. 평면구성은 좌측으로부터 부엌과 안방 그리고 정면 2칸 규모의 대청과 건넌방이 나란히 있으며 안방과 대청의 전면에는 툇마루가, 그리고 건넌방의 우측 문 앞에는 쪽마루가 놓여져 있다. 대청의 뒷편 1칸은 마루를 놓지 않고 반 지하실로 만들어 독을 놓았으며 또한 기둥사이로 중방을 두어 그 상부에 선반을 꾸며 놓은 것이 특이하다.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5.12.15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72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