헥셔올린 무역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헥셔올린 무역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ㅇ헥셔-올린 무역이론의 기본모형
ㅇ헥셔-올린정리
ㅇ요소가격 균등화정리
ㅇ무역후 생산 및 소비의 변화
ㅇ부분특화와 완전특화
ㅇ요 약

본문내용

서나 같아진다. 또한 상대가격이 같아지므로 이와 일대일 대응관계에 있는 요소집약도가 양구에서 같아지게 되고 이는 노동의 한계생산성 MPLX를 같게한다. 따라서 재화가격과 요소의 한계생산성을 곱한 요소의 한계 생산물가치는 같아지게 되며, 이는 임금이 양국에서 같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4.3.3 요소가격균등화 정리의 의의
첫째, 자원배분효과를 생각해볼 수 있다. 요소가격균등화정리에 의하면, 생산요소는 이동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자유무역을 하면 생산요소의 이동이 있는 것과 마찬가질 생산요소가격까지도 균등화되므로, 마치 생산요소가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과 같은 수준의 자원배분 효율성이 달성됨을 의미한다.
둘째, 소득재분배효과를 생각해볼 수 있다. 무역의 결과 풍부한 요소에 유리하게 소득재분배효과가 발생하며 희소한 요소에 불리하게 소득 재분배효과가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4.4 무역후 생산 및 소비의 변화
4.4.1 무역 전과 후의 균형비교
양국이 자유무역을 하게 되면 생산 및 소비점이 변화하게 된다. 생산가능곡선과 사회무차별 곡선을 이용하면 그림 4-10에서는 자본풍부국인 1국과 노동풍부국인 2국의 생산가능곡선이 나타나고 있다. X재는 자본집약재이고 Y재는 노동집약재라고 가정하고 있으므로 1국과 2국의 생산가능곡선이 각각 X재 및 Y재 쪽으로 치우치게 그려지고 있다. 무역을 하면, 헥셔-올린정리에 의해서 1국에서는 X재를 수출하고 2국에서는 Y재를 수출하게 된다. 여기서 공통의 국제가격이 형성되게 되는데 그림에서는 선으로 표시되고 있다. 이데 따라 각국에서는 생산점이 P1' 및 P2'점으로 변하게 되며 소비는 새로운 가격선인
선과 무차별 곡선이 접하는 점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각각 C1 및 C2로 나타나 있다. 이때 무역량은 그림에서 C1AP1' 및 P2'BC2 로 보여지고 있는 삼각형의 크기로 나타나며 이 삼각형을 무역삼각형(trade triangle)이라고 한다. 이 삼각형의 크기가 양국에서 동일하게 될 때 무역균형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무역이 이루어진 후에도 각국은 X, Y재화를 모두 생산하고 있으므로, 리카도 모형에서와는 달리 불완전특화(혹은 부분특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4.4.2 에지워드 박스 그림
양국이 무역을 하기 전과 무역을 개시한 후의 생산점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살펴보면 먼저 두 재화에 대한 등량선을 각각 그릴 수 있다 이중에서 Y재화의 등량선은 평소대로 그려놓고 X재화의 등량선 지도는 거꾸로 뒤집어 붙여서 그림 4-11과 같은 모양을 만들어 보자. 이러한 그림을 에지워드박스 그림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항상 등량선들이 접한 점들에서만 생산한다고 가정하면 이 접점들을 이은 선을 계약곡선이라고 부른다. 이 계약곡선을 기초로 생산가능곡선도 그려지게 된다.
4.4.3 무역개시 후 생산점의 변화
(1) 무역 전 생산균형
그림 4-11에서, 무역을 하기 전에는 A점과 같은 점에서 생산하고 있었다고 하자. 이때의 각 재화의 요소집약도에 대해서 생각해보기 위해, 먼저 Y재의 원점인 OY에서 A점에 직선을 그어보자. 이때 직선의 기울기가 바로 자본-노동투입비율을 나타낸다. 즉 그림에서 kY 가 Y재 생산의 자본집약도이다.
(2) 무역 후 생산균형
이 국가가 1국이라면 자본풍부국이므로, 무역을 하면 자본집약재인 X재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Y재의 생산량이 감소하게 돈다. 이는 그림의 계약 곡선 상에서 A점과 A'점과 같은 점으로 생산이 이동함을 의미한다.
(3) 무역 후 요소가격 변화
자유무역이 이루어지고, 자본풍부국인 1국에서 X재 및 Y재 생산에서의 자본집약도인 kx, kY가 작아지면 이는 임금-임대료 비율인 q1이 작아짐을 의미한다. 자본풍부국에서는 임금이 상대적으로 상승하고 노동풍부국에서는 임대료가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4.5 부분특화와 완전특화
4.5.1 완전특화가 발생하는 경우
그림 4-13에서는 무역을 하기 전, 두 나라의 생산점을 나타내고 있다. 1국에서는 X재에 비교우위가 있고 2국에서는 Y재에 비교우위가 있어서 각각 ①, ②선이 국내가격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생산은 각각 P1', P2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무역을 개시하면 국제가격은 두 국내가격 사이에서 결정된다. 이에 따라 1국에서는 생산점이 B점 쪽으로 옮겨가게 되며, 2국에서는 A'점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B점이나 A점에 도달하기 전에 적절한 점에서 국제가격이 결정된다.
4.5.2 완전특화시 요소가격 균등화정리
무역을 할 때, 부분특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완전특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요소가격 균등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무역이 시작되면 각 국가는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는 재화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데, 한 국가(1국)가 두 재화를 계속 생산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국가(2국)은 이미 자국의 노동과 자본을 모두 투입하여 자국의 수출(Y재)만 생산하고 있는 완전특화가 발생할 수 있다.
4.5.2 어느 경우에 완전특화가 잘 발생하나?
첫째 양국의 요소부존도 차이가 클 때이다. 위의 예에서와 같이 Y재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고자 할 때 금방 완전 특화하는 점에 도달할 것이다. 둘째, 양 재화의 요소집약도가 비슷할 때이다. 이 경우에는 계약 곡선이 대각선에 가까운 모양이 되고, 생산가능곡선이 거의 직선과 비슷한 형태가 된다. 따라서 불완전 특화영역이 매우 좁고, 완전특화가 쉽게 발생한다.
요점정리
헥셔-올린무역이론에서는 1차동차 생산함수를 가정하고 있으며, 이는 모든 생산요소량을 동시에 증가시키면 생산량도 같은 비율로 증가하고, 둘째, 각 생산요소의 생산성은 생산에 투입된 생산요소의 결합비율에만 의존한다.
등비용선의 기울기는 요소가격비율을 나타내며, 등량선의 기울기는 한계기술대체율을 나타낸다.
헥셔-올린정리: 자본풍부국에서는 자본집약재를 수출하고 노동집약재를 수입한다.
요소가격 균등화정리 : 자유무역이 이루어지면, 국가간에 생산요소의 이동이 없어도, 양국의 생산요소가격이 상대적으로나 절대적으로나 동일하게 된다.
헥셔-올린모형은 기본적으로 부분특화모형이다. 하지만 특별한 경우에는 완전특화가 발생할 수도 있다. 완전특화에서는 요소가격 균등화정리가 성립하지 않는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12.19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75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