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리학 - 순환장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7장 순환장애

정의
원인

<구조적 변화 및 기능적 변화>
1. 허혈
2. 울혈
3. 충혈
4. 부종
5. 혈전증
6. 색전증
7. 경색증
8. 쇼크

본문내용

증가 및 ADH 분비가 증가되지만 혈압과 심박출량은 점차 떨어진다. 그 결과 폐순환 감소로 인한 빈맥, 신장의 순환감소로 인한 뇨배설량 감소 및 유산성 산독증이 발생하고 세포손상이 오지만 이때의 손상은 가역성 손상으로 조속히 치료하면 회복이 가능하다.
그러나 쇽이 더 오랫동안 지속되면 대상부전으로 세동맥이 확장되어 혈압이 게속 하강되고 대사성 산독증은 더 심해지며 모세혈관도 확장되어 혈액이 모세혈관을 서서히 빠져나가므로 혈류가 느려지고 조직의 혈액관류가 매우 감소된다. 그 결과 조직은 저산소증으로 세포괴사가 오고 가끔 사망할수도 있다.
1) 심인성 쇽 : 심장의 혈액박출 기능부전으로 혈액박출량이 감소하면 발생
2) 저혈량성 쇽 : 순환하는 총혈량이나 혈장량이 감소되면 발생
3) 폐혈성 쇽 : 세균감염시의 독소에 의해 발생한다. 세균의 내독소는 말초혈관을 확장시키고 그곳에 순환혈액을 정체시키므로서 혈관벽에 혈액이 응고되어 부착된다. 혈액응고 덩어리가 점차 커지고 혈관협착을 일으켜 조직의 혈액공급량이 감소되며 그 결과 세포막과 내피세포가 손상된다.
4) 신경성 쇽 : 말초혈관의 확장으로 인한 순환혈액량이 감소되면 발생
5) 당뇨병성 쇽 : 당뇨병 환자의 혈액내에 keton체 과다형성으로 인한 산독혈증으로 혼수상태에 빠진 상태로서, 당뇨병 환자가 치료를 잘 받지 못했을 때 발생
6) anaphylactic 쇽 : 감작물질에 대한 전신적 감각과민상태. 때로는 치명적일 수 있다. 감작물질로는 약물, 백신, 음식물, 혈청, allergen, 곤충독소, 화학물질 등이 있다.
7) 전기 쇽 : 전기에 감전될 때 발생

키워드

병리학,   순환장애,   충혈,   울혈,   부종
  • 가격2,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2.18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81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